1237 0

DeFi 생태계에서의 합성자산 프로토콜 사례연구 기반 신규 금융비지니스 모델 도출

Title
DeFi 생태계에서의 합성자산 프로토콜 사례연구 기반 신규 금융비지니스 모델 도출
Other Titles
Derivation of a new financial business model based on a case study of a synthetic asset protocol in the DeFi ecosystem
Author
이장훈
Alternative Author(s)
LEE JANGHOON
Advisor(s)
강형구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DeFi합성자산 프로토콜 중 Mirror Protocol 프로젝트의 사례를 분석하며 블록체인 기술의 혁신성과 탈중앙화 가치에 기반한 창의성으로 기존 금융과 차별화된 영역들을 통한 시사점 및 신규 금융 서비스 모델의 탄생 가능성을 모색한다. 합성자산은 실제 자산을 보유하지 않아도 보유한 것과 같은 효과를 내는 상품이다. 이 특징이 DeFi의 합성자산 Protocol 적용되어 상품 종류, 발행의 권한을 탈중앙화하는 시도가 진행하고 있다. 사례연구 대상인 Mirror Protocol의 경우 24개의 미국 주식 및 비트코인, 이더리움등을 추종하는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프로토콜에서 거래되는 자산의 종류 또한 참여자들이 제안을 하고 이를 탈중앙화된 Governance를 통해 투표로 결정된다. 또한, 실제 자산 없이도 추종 자산의 가격 데이터만으로 해당 자산 보유에 따른 자본차익을 기대할 수 있다. 이런 특징에 기반하여 한정된 재화 중 대중이 선망하지만 소유나 투자가 어려웠던 부동산등의 자산에 대한 합성자산 복제를 통한 소액, 상품 복제등을 통해 투자의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실물이 없이도 데이터만으로도 다양한 투자 상품을 공급 인프라로서 최근 금융권의 핀테크 영역인 마이데이터와 로보어드바이저 기술 및 서비스와의 융합을 통해 초개인화된 투자 상품이 포트폴리오로 제공되는 새로운 금융 모델의 탄생이 가능할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국가 경제 활성화 및 개인의 자산 증식에 기여가 가능할 것으로 보여진다. 물론, 블록체인 산업의 경우 특금법 제정으로 이전에 비해 제도들이 정립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특금법 적용 여부와 일부 DeFi서비스들의 경우 자본시장법상의 증권 혹은 파생상품등에 포함으로 규제를 받게될 불확실성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1) DeFi합성자산 프로토콜 등장 배경을 기존 연구를 통해 확인하고 2) DeFi 합성자산 프로토콜인 Mirror Protocol을 사례연구를 진행하고 3) 이를 통한 시사점 도출 및 한계점을 파악하고 4) 마지막으로 앞선 특징들에 기반한 새로운 금융서비스 모델의 탄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것을 제공한다.|This paper analyzes the case of Mirror Protocol projects among DeFi synthetic asset protocols and seeks implications and the possibility of the creation of new financial services models through areas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finance with innovative and decentralized value-based creativity of blockchain technology. Synthetic assets are products that have the same effect as they do without having actual assets. This feature is applied to DeFi's synthetic asset protocol to decentralize the product type and issuance authority. Mirror Protocol, which is the subject of a case study, operates services that follow 24 U.S. stocks, Bitcoin, Ethereum, etc. The types of assets traded in the protocol are also proposed by participants and voted through decentralized governance. In addition, the entity can expect capital gains from holding the asset only from the price data of the following asset without the need for the actual asset.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it can contribute to the popularization of investments through small amounts and product replication through the replication of synthetic assets such as real estate, which the public envies among limited goods but was difficult to own or invest. In addition, data alone will enable the creation of a new financial model in which hyper-personalized investment products are provided as portfolios through the recent convergence with MyData and RoboAdvisor technologies and services in the financial sector. Based on thi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revitalizing the national economy and increasing individual assets. Of course, in the case of the blockchain industry, institutions are being established compared to before with the enactment of the Special Charges Act. However, there is still uncertainty about whether the special law will be applied and some DeFi services will be regulated by including securities or derivatives under the Capital Markets Act. In this work, we provide 1) background of DeFi synthetic asset protocol emergence from existing studies 2) case studies of the DeFi synthetic asset protocol 3) Implications derived and limitations identified 4) Finally, predicting the possibility of a new financial service model based on prior features.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848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399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PARTMENT OF BLOCKCHAIN AND CRYPTOCURRENCY(블록체인융합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