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4 0

구도심지역 마을 만들기 사업의 현실과 과제

Title
구도심지역 마을 만들기 사업의 현실과 과제
Other Titles
The Reality and Challenges in the Town Building Projects for the Old City Centre: A Case Study of Pearl S.Buck Cultural Village in Bucheon City
Author
임지현
Alternative Author(s)
Yim, Jihyun
Advisor(s)
송도영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roblems at the site of urban village development project with the case of Pearl S. Buck Cult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that has been in progress since the early 2000s in Simgokbon-dong, the old city centre of Bucheon. The study specially focused on to identify the problems and implications of promoting village development, especially through cultural resources such as public art. Simgokbon-dong was a regional center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development with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such as Seoul-Incheon railway. However, with the increase in population in the mid-1990s, new cities were built in the nearby Jung-dong and Sang-dong areas, and it has become new cultural-economic center. In the 2000s, the deterioration of the old city centre became more and more severe. Residents felt they lacked green leisure facilities compared to their nearby new cities. In addition, as buildings and infrastructure have deteriorated, residents were faced with problems, such as crime zones in residential areas and waste. World-renowned author Pearl S. Buck Working for mixed-race children in this city center has been one way to solve these problems. Based on her activities, tried to establish a cultural space to honor her spirit and bring about changes to the old city centre.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use the area as an opportunity to promote various local cultural projects and village-building projects by newly symbolizing the area under the title of "Pearl Buck Culture Village." It was aimed at provok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attention under the title of the Pearl Buck Cultural Village Project, while also providing logic to attract national budgets and resources. Through the case of this study, the Pearl Buck Cultural Village project in Bucheon, the modern city seemed to want to acquire a symbolic status and a better identity that can be recognized at the national and global levels and development within the region. For Simgokbon-dong, the district tried to gain international recognition by advocating an international figure, Pearl Buck, as their regional symbol and to attract national and global resources through cultural projects related to Pearl Buck for their urban development. However, the residents considered this type of village development-related project to have produced entirely different results than expected. The benefits of expanding Bucheon's national and international reputation of Bucheon city by using Pearl Buck as symbol were not delivered to the residents of this old city who participated and worked on the village development project. In preserving the outdated facilities to maintain the history, a hometown image, and a traditional image, the practical problem of the old city that the residents wanted to be resolved was not solved. Therefore, it can be construed that the local government was not successful in persuading its residents to share their experience of the improved city while maintaining a consistent direction and failed to suggest or pursue a phased development. Town development attracts residents by “maintaining historicity” and “symbol of cultural value” while active urban space redevelopment or environmental improvement for the worn-out downtown, which is aging economically and spatially, is delayed. Above all else, the ultimate purpose of each entity, including experts, residents, and public officials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and the idea of ​​an appropriate method is not fully converged and remains ambiguous. The expression of symbolic value can be seen as a means used to pursue an end, and maintaining ambiguity without an honest discussion about it are some tasks that need to be solved. This study tried to show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urban development or urban regeneration centered on cultural projects that are being developed while emphasizing the preservation of historicity and the formation of urban communitie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problems and tasks to be solved here clearly show the common problems and tasks not only in the case of a specific site, Simgokbon-dong, but also in the cultural projects-centered urban development an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currently in progress in Korea.| 본 연구는 부천시 구도심인 심곡본동에서 2000년대 초반부터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펄벅 문화 마을 조성 사업을 사례로, 도시에서 이루어지는 마을 만들기 사업이 실제로 전개되는 현장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공공미술과 같은 문화마을 조성 프로젝트를 통해 마을 만들기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와 거기서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함의들을 파악하고자 했다. 경기도 부천시 심곡본동 지역은 일제강점기부터 경인선 철도와 경인 도로 주변으로 발달한 전통적인 지역 중심지였다. 그러나 1990년대 중반 인구 증가와 함께 인근의 중동과 상동 지역에 신도시가 건설되면서 도시의 경제, 문화적 중심지가 이동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구도심의 자존심을 가지고 살던 심곡본동에 남은 주민들은 그에 비교되는 도시환경 낙후를 경험하면서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게 된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심곡본동 일대의 상대적 낙후는 정도를 더하게 된다. 주민들은 신도시와 비교하여 자신들의 지역에 근린생활시설이 부족함을 느끼게 되었다. 또 건물과 인프라가 노후화하면서 주민들은 마을 거주지의 우범지대화, 쓰레기 문제 등 점차 증가하는 문제들을 직면하게 되었다. 그런 문제 상황을 타개해 나가기 위한 방책의 하나로 일부 주민과 시의원, 그리고 문화 활동가와 공무원들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문학가인 펄벅이 부천의 심곡본동 지역에서 혼혈아동들을 위한 활동을 했었다는 역사를 새로 찾아내게 되었다. 즉, 이 지역에 펄벅의 정신을 기리는 의미 있는 문화공간을 설치하는 것으로 지역에 변화를 가져오고자 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지역을 ‘펄벅 문화마을’이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상징화하면서 다양한 지역 문화사업 및 마을 만들기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계기로 삼고자 했다. 그것은 곧 ‘펄벅 문화마을 사업’이라는 제목으로 국내외의 관심을 촉발하는 동시에 국가적 차원의 예산과 자원들을 끌어들일 수 있는 논리를 갖추기 위한 것이었다. 부천시 펄벅 문화마을 조성 사업의 사례를 통해 보았을 때 현대 도시는 지역 내에서의 발전뿐 아니라 보다 광범위한 국가적, 세계적 차원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상징적 위상과 보다 나은 정체성의 계기를 얻고자 하는 것으로 보인다. 심곡본동은 펄벅이라고 하는 국제적 인물을 지역의 상징으로 대외에 표방하면서 국제적 인정을 받고자 했으며, 마을 만들기 활동에서 펄벅과 관련된 문화 사업을 통해 국가 및 글로벌 차원의 자원을 끌어들이고자 노력했다. 그러나 이런 방식의 마을 만들기 사업은 주민들의 입장에서 볼 때 자신들이 기대했던 것과는 전혀 다른 결과를 낳은 것으로 여겨진다. 즉, 마을 조성 사업을 위해 참여하며 일했던 구도심 주민들에게는 부천시가 펄벅 상징을 활용해 국가적으로나 국제적으로 명성을 확대하게 된 데 따른 이익이 전달되지 않았다. 구도심이 역사성, 고향 이미지, 전통적 이미지를 유지하기 위해 낙후한 시설을 계속해서 보존해야만 하는 과정 안에서 주민들이 원했던 구도심의 실질적 문제 해결은 이루어지지 않게 되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실제로는 주민들이 적극적인 의견 개진과 참여를 하기도 어려웠다. 도시 정부는 도시 정부대로 일관성 있는 방향을 견지하며 단계적인 발전 방향을 제시하거나 추진하지 못하였고, 주민들을 설득하면서 개선된 결과와 경험을 공유하지 못했다고 판단된다. 부천시 심곡본동의 사례는 문화사업 중심인 마을 만들기가 가질 수 있는 현실적인 문제를 드러낸다. 경제 및 공간 환경이 노후화되는 구도심 지역이 적극적인 도시 공간 재개발이나 환경 개선을 미루는 상태에서 ‘역사성 유지’와 ‘문화적 가치의 상징’ 개발을 통해 주민들을 끌어들여 진행하는 마을 만들기의 문제인 셈이다. 여기서 드러나는 문제점은 참여자들이 생각하는 궁극적인 지향점 괴리의 문제, 내부 소통의 문제, 지속적인 리더십 부재의 문제, 주민 참여와 능동성을 실제로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들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사업에 참여하는 전문가와 주민, 공무원을 비롯한 각 주체들 사이에서 목적을 추구하기 위해 활용되는 수단이라고 할 수 있는 상징적 가치의 표방과 그에 대한 논의가 솔직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채 모호함을 유지하는 것이 해결해야 할 과제로 드러난다. 주민을 대표하는 주체의 거버넌스가 약하다는 점, 그리고 도시 정부의 지속적인 철학과 지향성이 가져야 할 일관성이 잘 보이지 않는다는 점도 결국 풀어야 할 과제가 될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역사성 살리기와 도시공동체 형성을 강조하면서 전개되는 문화사업 중심의 마을 만들기가 갖는 한계와 문제점들을 보여주고자 했다. 여기서 나타나는 문제점들과 해결되어야 할 과제들은 심곡본동이라고 하는 특정 현장 사례뿐만 아니라 현재 한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문화사업 중심의 마을 만들기와 도시재생 사업들이 안고 있는 문제와 과제들을 보여주고 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8744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393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ULTURAL ANTHROPOLOGY(문화인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