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9 0

現代 韓國 命理學의 發展過程 硏究

Title
現代 韓國 命理學의 發展過程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Contemporary Myeongrihak in Korea
Author
김혜련
Alternative Author(s)
Kim Hye Ryeon
Advisor(s)
박정해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changes and development of the contemporary Myeongrihak in Korea and thereby, better understand the essence of the Korean contemporary Myeongrihak and develop it further to construct a higher level of academic ground for i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ed the special books and dissertations published from 1960 till 2020 to analyze the process of the Myeongrihak theories having been systematized and developed and thereby, suggested the directions for the Korean Myeongrihak. In 1960s after the Korean War and the political upheaval, the Korean people would be more fearful and uncertain of their future and therefore, they would be more concerned with and reliant on Saju Myeongrihak. Thus, it would be deemed necessary to develop some theoretical system for it, and after all, the Classics of Myeongrihak would be interpreted into Korean, but due to the poor knowledge of them, they would not be interpreted completely. Nevertheless, various books about the basic theories and principles of Saju began to be published, while some theoretical approach to Myeongrihak would be made. By 1980s, the thoughts and ideologies changed anew would awaken people's perception. Such changes would serve to enhance people's concern with Saju Myeongrihak, which would facilitate the publications of the various books about it. On the other hand, various Classical books would also be interpreted, but most of the books were about reinterpretations of Saju Myeongrihak. Thus, the majority of the books about Saju Myeongrihak did not cover all contents of the original books but only parts of them, being edited partially. In 1990s when the democracy was established in Korea with the remarkable economic development, people's level of consciousness would be higher. In late 1990s, Saju Myeongrihak would draw more attention from the ordinary people as a means of the after-retirement job for the elders. On the threshold of 2000s characterized by rich cultural life and prevalent leisure life, Myeongrihak would begin to affect culture centers and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while the classes about Myeongrihak would increase. On the other hand, ow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IT technology, the age of smart phone would usher in, expanding and diversifying the paths of people's approaching to Myeongrihak. In such social situations, the simple business of Saju Myeongri w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academic system of Myeongrihak. Thus, the number of the dissertations about Myeongrihak would increase rapidly. Although its theoretical system had yet to be established, the academic approaches would expand with the diversified research themes, while its theories, principles and origins would be analyzed through the Classical books. In addition, various books based on Myeongrihak theories would be published much. In late 2000s, the terms 'General Interpretation' and 'Orthodox Interpretation' would appear much, which means that the consulting and research would evolve through precise interpretations and consulting. At the same time, the Classical books about Myeongrihak would be interpreted actively. These books translated were accompanied not only by their original books but also by translators' interpretations and supplementations, and even by their applications. Since 2011, ow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advanced IT technology, people have tended more to put emphasis on the relations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and thus, grafting of Myeongrihak onto newly emerging fields would be attempted in diverse ways. In particular, the number of the dissertations about Myeongrihak would increase, upholding its academic status. Some dissertations applied various theories of Myeongrihak to those of various disciplines, while other dissertations expanded them to other various areas in the contemporary society. During this period, the books would be systemized. Introductions to Myeongrihak would be published much, while its applications combined with new theories would be shown up. Thus, Myeongri would be perceived as a job, while its relevant books about natural phenomena and creations would be written, which served to deepen Myeongrihak as an academic discipline. More original books than before would also be translated. The translators would add their thoughts and interpretations to their translation, while attaching actual data. Many other books were supplemented with personal opinions in terms of theories and their applications. The Korean Myeongrihak has long been internalized in Korean people's culture and life. Nevertheless, it has still to be recognized as an academic discipline, remaining on the peripheral of the main stream culture. Now, it is deemed essential for Myeongrihak to establish its identity correctly and firmly and thereby, develop into an academic discipline befitting our contemporary society. To do so, it is necessary to research into Myeongrihak systematically, while activating its relevant disciplines. Moreover,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new and diverse contents to enhance its valu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graft Myeongrihak onto the psychological consulting requiring communication and sympathy with others. In other words, the psychological consultant should be equipped with the knowledge about Myeongrihak. Moreover, in terms of the practice of Myeongrihak, an active exploration and selection of a future job should be based on it, although secondarily, as well as on Work-Life Balance valued much by our contemporary people. Such a role of Myeongrihak would well be feasible only when it is researched into in terms of not only theories but also practices. Lastly, a fusion research into Myeongrihak would be activated through new approach to diverse academic disciplines to help it grow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being established as a new academic paradigm. This study presents the changes and development of the contemporary Korean Myeongrihak systematically, analyzing its meanings in-depth.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ould suggest a new direction for the Korean Myeongrihak and help it to rise up to the surface culture, and thereby, that it would provide for a new system of recognition as a genre of culture. | 본 논문은 현대 한국 명리의 변화와 전개, 발전과정에 대한 이해와 연구를 통하여 한국 현대 명리학의 본질을 제대로 인지하고 발전시켜 한층 더 높은 수준의 학문적 바탕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1960년부터 2020년까지 발간된 전문서적과 발표된 학위논문을 통하여 현대 한국 명리학의 이론이 체계화되고 발전해가는 과정을 연구, 분석한 후 한국 명리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려고 한다. 1960년대 한국전쟁과 정치적 혼란을 거치며 커진 미래에 대한 두려움과 불확실함은 사주명리에 대한 관심과 의존도의 확산을 유발하게 된다. 그에 따른 이론체계의 필요에 의해 명리학의 고전들이 번역되어 나오기 시작하지만 아직 명리고전에 대한 지식의 습득이 확립되지 않은 시기로 원전의 완역이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하지만 사주의 기본이론과 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이루어진 여러 서적들이 출간되면서 명리학에 대한 접근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1980년대 새롭게 변화된 사상과 이념은 사람들에게도 인식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변화는 사주명리에 관한 관심의 증가와 함께 명리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서적들의 출판으로 표출된다. 또한 여러 고전들의 번역이 이루어지만 여전히 재해석을 바탕으로 한 서적들로 다양한 관점과 방향에서의 내용부족과 문헌 전체가 아닌 일부의 편집으로 이루어진 번역서들이 주를 이루었다. 1990년대 민주주의의 정착과 경제적인 발전까지 더해져 대중들의 의식수준이 높아지게 되고 1990년대 후반 제2의 직업을 위한 평생교육의 하나로 명리학이 대중들의 관심을 받게 된다. 2000년대 이후 풍부한 문화생활과 자기계발을 위한 여가생활의 발달로 인하여 문화센터와 평생교육원에도 영향을 주며 명리관련 강좌도 늘어나게 된다. 또,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스마트 시대가 시작되며 디지털 기기의 대중화로 인터넷 명리의 상담이 확대되며 명리와 접하는 경로가 다양해졌다. 이런 사회적 상황 속에서 단순한 영업위주의 사주명리에서 명리학이라는 제도권 안에서의 학문으로 전환되는 시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명리학에 관한 논문의 수가 급격히 늘어나는데 이론의 체계가 아직 정립되지는 않았지만 연구주제에 대한 다각도 접근으로 학문적 확장이 이루어지기 시작했고 기본적인 이론과 원리, 연원에 대하여 고전을 통한 연구와 분석이 이루어졌다. 또한 명리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다양한 분야로의 확대가 이루어진 저서들도 많이 출간하게 된다. 2000년대 후반으로 갈수록 통변과 정해라는 표현이 많이 나타나는데 이는 정확한 해석으로 상담과 연구가 진행되고 발전되어 간다는 의미일 것이다. 명리고전에 대한 번역도 활발하게 이루어지는데 이들 번역서들은 원문, 번역문과 함께 번역자의 해석과 보충설명, 활용까지 서술되었다. 2011년 이후 첨단 IT기술의 발달로 개인과 사회와의 관계성을 중시하는 성향이 높아짐에 따라 관련 분야와 현대의 다양한 직업과 가치관에 맞추어 새롭게 대두되어 문제가 되고 있는 분야와의 다양한 방향으로 접목과 새로운 시도가 진행되었다. 특히 이론연구에 의한 연구논문수가 증가하며 학문적 위상을 높였고, 명리학의 여러 이론들을 타학문에 적용하여 비교, 연구하는 논문부터 사회의 변화에 따라 달라진 현대의 여러 가지 문화에까지 확대 적용된 논문까지 발표되었다. 이 시기의 서적 또한 체계화되고 일반화된 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명리 입문서와 새로운 이론들의 결합으로 만들어지는 활용서들이 출간된다. 명리가 직업의 하나로 인식되어 이에 필요한 물상론과 통변위주의 서적들까지 많은 서적들이 저술되며 넓은 폭의 학문으로 깊이를 더해가는 발전된 형태를 띠게 된다. 또 이전 시대에 비해 더 많은 원서들의 수준 높은 번역이 이루어지는데 원문의 번역과 더불어 저자의 생각과 해석으로 주(註)를 더하고 실제 자료를 첨가하여 번역서로서의 가치를 더하게 되었지만 개인의 의견으로 된 이론과 응용도 많이 첨가되어 있는 형태도 보인다. 한국의 명리는 오랜 시간동안 한국인들에게 하나의 문화로 삶 그 자체에 녹아들어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학문적으로 인정받지 못하며 가장자리 문화에 그치고 있는 현실이다. 이제는 명리의 본질을 바르고 확실하게 깨달아 정체성을 확립한 후 4차 산업혁명시대인 현대사회에 맞는 명리학으로 발전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제도권 안에서 명리학 관련학과의 활성화와 명리에 대한 체계적이며 전문화된 연구 아래 새롭고 다양한 컨텐츠를 개발하여 명리학의 가치를 증대시켜야 한다. 또, 다른 사람과의 소통과 공감이 중요한 현대사회에서 심리 상담분야와 명리와의 접목을 통한 문제해결을 위하여 전문상담가로서 명리학자들의 역량과 자질이 반드시 갖춰져야 한다. 더불어 명리학의 경험연구와 이론적 모색에 따른 실천영역으로 확장된 연구를 통하여 현대인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워라벨(Work-Life Balance)을 기준으로 하는 능동적인 진로 탐색과 직업선택을 할 수 있도록 열린 진로코칭이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편향된 연구가 아닌 다양한 학문과의 새로운 접근과 더 많은 시도를 통한 활발한 융합연구가 이루어져 명리학의 양적, 질적 팽창이 함께 일어나는 학문으로서의 패러다임을 구축해 나가야 된다. 본 논문에서는 현대 한국 명리의 변화와 발전과정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그 의미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제안된 한국 명리의 나아갈 방향으로 오랜 시간 한국인의 기층문화로 자리해온 명리학이 표층문화로 비상하며 하나의 문화로서의 새로운 인식체계를 만들어 나갈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6975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380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CONVERGENCE[E](융합산업대학원) > DEPARTMENT OF ORIENTAL CULTURE(동양문화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