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1 0

이별 후 핵심신념 붕괴와 이별 후 성장간의 관계

Title
이별 후 핵심신념 붕괴와 이별 후 성장간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lapse of Core Beliefs and Posttraumatic Growth Following Romantic Breakups: The Serial Mediation Effects of Deliberate Rumination and Meaning in Life
Author
김세영
Alternative Author(s)
KIM SE YOUNG
Advisor(s)
장유진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20~30대 미혼남녀의 핵심신념 붕괴와 이별 후 성장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와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해 전국에서 이별을 경험한 20~30대 미혼남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이메일 발송 3,085명 중 접속수 577명이 설문에 응답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연구대상 미자격 응답자 207명을 제외한 37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결과 분석을 위해 SPSS 26.0과 Process Macro 3.5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및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신념 붕괴와 의도적 반추가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으며, 의도적 반추가 핵심신념 붕괴와 이별 후 성장 사이에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핵심신념 붕괴는 삶의 의미와 이별 후 성장을 정적으로 설명하였고, 핵심신념 붕괴와 이별 후 성장 사이에서 삶의 의미가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핵심신념 붕괴가 의도적 반추와 삶의 의미를 통하여 이별 후 성장에 이르는 간접효과가 유의하여 직렬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외상에 대해 부정적인 측면을 살펴본 연구와는 달리 외상으로 인한 긍정적인 영향에 관한 연구를 함으로써 외상 후 성장이론의 확대와 다각화를 통해 외상 후 성장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는 데 있다. 특히 국내 연구에서는 연인 간의 이별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일 뿐 아니라 이전 이별 후 성장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핵심신념 붕괴와 삶의 의미와 같은 심리적 변인을 도입하여 이별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설명력을 높였다. 둘째, 이별 후 성장에 이르는 과정에서 핵심신념을 재고하고 경험에 대한 반추가 뒤따르고 이 반추가 확대되어 삶의 의미로 이어질 때 성장을 경험한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개인적 차원의 긍정 심리요인들이 순차적으로 작용할 때 성장을 경험한다는 단계 모델의 가능성을 보여줌을 시사한다. 셋째, 이 연구를 통해 이별을 경험한 Millennial Z(MZ)세대들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경험적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이 이론적 모델을 다른 연령층이나 다른 문화권에도 적용해볼 수 있다. 넷째, 이별 후 성장에 대한 이해를 높였을 뿐 아니라 핵심신념 붕괴와 이별 후 성장의 관계에서 의도적 반추, 삶의 의미라는 매개변인을 밝힘으로써 의도적 반추와 삶의 의미가 이별 후 성장을 일으킬 수 있는 변인으로 예측되었기에 이별에 관한 심리치료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는 데 일조했다. 다섯째, MZ세대의 이별 경험을 극복하고 적응과 성장을 돕는 상담 개입과 정보를 제공하고, 상담프로그램에 대한 치료적 방향성을 제시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9987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3781
Appears in Collections:
ETC[S]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