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4 0

부모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부모-유아 간 의사소통의 관계에서 부모의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

Title
부모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부모-유아 간 의사소통의 관계에서 부모의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Expression of Par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Author
박미향
Alternative Author(s)
Park, Mi Hyang
Advisor(s)
하정희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만 3~6세 사이의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부모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부모-유아 간 의사소통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부모의 정서표현성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하여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을 지닌 부모들이 유아기 자녀와의 의사소통 과정에서 겪는 문제를 돕기 위한 개입의 초점을 확인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전국의 만 3~6세 사이의 자녀를 둔 부모들을 대상으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척도, 정서표현성 척도, 의사소통 척도를 포함한 설문을 온라인을 통해 실시하였고, 총 301명의 자료를 얻어 분석을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5.0을 사용하였으며, 우선 상관분석을 통해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였고,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부모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부모-유아 간 의사소통의 관계에서 부모의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부모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부모-유아 간 의사소통, 부모의 정서표현성은 모두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부모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부모-유아 간 의사소통의 관계에서 부모의 정서표현성이 완전매개 하였다. 이 결과는 부모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부모-유아 간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시사한다. 또한 부모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부모의 정서표현성’을 통해서만 부모-유아 간 의사소통으로 이행됨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성향을 가진 부모들이 유아기 자녀와의 의사소통 과정에서 문제를 경험할 때 부모의 정서표현성에 초점을 두어 개입할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0081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3769
Appears in Collections:
ETC[S]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