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51 0

한국 성인의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수준과 경제적 이유로 인한 미충족 치과의료의 불평등과 추이: 2007-2018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Title
한국 성인의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수준과 경제적 이유로 인한 미충족 치과의료의 불평등과 추이: 2007-2018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Other Titles
The inequality and trend of self-rated oral health status and unmet dental care for economic reasons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and income levels of Korean adults: 2007-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Author
공영희
Alternative Author(s)
Kong, Young Hee
Advisor(s)
김유미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Introduction Oral health is essential for improving overall health and quality of life. Since 2012, dental health insurance coverage has been expanded, and improvements in the oral health status of Koreans have been reported. Income levels and education levels are known to affect self-rated oral health status and unmet dental care needs. The reported studies mainly explored factors related to self-rated oral health status and unmet dental care needs in one period through a cross-sectional study. It is important to monitor the current status and trend of oral health inequality in order to resolve the oral health gap by socioeconomic position. This study was intended to measure and analyze inequalities in self-rated oral health status and unmet dental care for economic reasons by the education level and income level of adults in Korea 2007-2018 and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oral health policies. Methods Using raw data from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KNHANES) the 4th(2007-2009), 5th (2010-2012), 6th (2013-2015), and 7th (2016-2018), 38,396 out of 43,866 adults aged 30-64 were self-rated oral health status subjects. In addition, 41,504 out of 47,735 adults aged 30-64 were subject to the final analysis of unmet dental care for economic reason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were confirmed using a complex sample frequency analysis. In order to exclude the effect of age difference in the population, the age standardized rate was suggested, which was calculated through a complex sampl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ated oral health status by education level and personal income level and unmet dental care for economic reasons, and the odds ratio and 95% confidence interval (95% CI) was presented. To calculate the inequality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level and income level of self-rated oral health status and unmet dental care for economic reasons, the slope inequality index (SII) and the relative inequality index (RII) were calculated by applying a generalized linear model. The annual trend was presented as p value by performing log-binomial regression. Results The poor self-rated oral health status of adults in Korea was 48.9%, 47.0%, 43.8%, and 36.5% in the 4th (2007-2009), 5th (2010-2012), 6th (2013-2015) and 7th (2016-2018), respectively. Unmet dental care for economic reasons of adults in Korea was 18.9%, 13.5%, 10.0% and 5.9% respectively in the 4th (2007-2009), 5th (2010-2012), 6th (2013-2015), and 7th (2016-2018).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age-adjusted rates for each period, both men and women showed that the age-adjusted rates of poor self-rated oral health status and unmet dental care for economic reasons was decreasing. Absolute inequality (SII) and relative inequality (RII) of poor self-rated oral health status according to men's education level were on the rise. Absolute inequality (SII) and relative inequality (RII) of poor self-rated oral health status according to women's education level were on the rise. Absolute inequality (SII) and relative inequality (RII) of poor self-rated oral health status according to men's income level did not change, but have been increasing since the 7th period (2016-2018). Absolute inequality (SII) and relative inequality (RII) of poor self-rated oral health status according to women's income level were on the rise. The absolute inequality (SII) of unmet dental care for economic reasons according to men's education levels has been decreasing since the 6th period (2013-2015), but relative inequality (RII) has continued to increase. The absolute inequality (SII) of unmet dental care for economic reasons according to women's education levels was on the decline, but relative inequality (RII) was on the rise. Absolute inequality (SII) of unmet dental care for economic reasons according to men's income level was on the decline, but relative inequality (RII) was on the rise. Absolute inequality (SII) of unmet dental care for economic reasons according to women's income level was on the decline, but relative inequality (RII) was on the rise. All p for SII and RII trends were significant, with a value of <.0001. Conclusions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age-adjusted rates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and income level, the age-adjusted rates of poor self-rated oral health status and unmet dental care for economic reason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so the overall subjective oral health level of Korean adults improved. It could be evaluated that the unmet dental care for economic reasons was also improved. However, measuring the size of inequality with the measurement tools of absolute inequality (SII) and relative inequality (RII) has shown that the absolute inequality and relative inequality in self-rated oral health status is consistently increasing. In addition, the absolute inequality of unmet dental care for economic reasons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level and income level was decreasing while the relative inequality continued to increase.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although the level of oral health of Korean adults has increased, the level of subjective oral health is not good in the group with low income and education level compared to the group with high level of education, and the experience of unmet dental care for economic reasons is higher.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oral health projects should be developed to promote oral health of groups with low socioeconomic position and to improve the equity of oral health. In addition, by calculating indicators that can monitor oral health inequality and inequality in dental care in Korea, the current status of problems related to oral health inequality is continuously identified, and the reality of oral health inequality and its determinants at the national and regional level is analyzed. It is considered that specific and comprehensive monitoring activities are needed.|서론 구강건강은 전신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 있어 필수적이다. 2012년부터 치과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가 있었고 우리나라 국민의 구강건강수준의 향상이 보고된 바 있다.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은 주관적 구강건강수준과 미충족 치과의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 연구들은 단면연구를 통해서 한 시기의 주관적 구강건강수준과 미충족 치과의료의 관련요인들을 주로 탐색하였다. 사회경제적 위치에 따른 구강건강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 구강건강불평등의 현황과 추이를 모니터링 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 연구는 2007-2018 우리나라 성인의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수준과 경제적 이유로 인한 미충족 치과의료의 불평등을 측정하고 추이를 분석하여 구강보건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2007-2009), 제5기(2010-2012), 제6기(2013-2015), 제7기(2016-2018)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30-64세의 성인 43,866명 중에서 38,396명을 주관적 구강건강수준의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30-64세의 성인 47,735명 중에서 41,504명을 경제적 이유로 인한 미충족 치과의료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복합표본 빈도분석을 이용하여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현황을 확인하였다. 인구집단의 연령 차이로 인한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연령표준화율을 제시하였고 이는 복합표본 회귀분석을 통해 산출하였다.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수준과 경제적인 이유로 인한 미충족 치과의료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복합표본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였고 교차비(odds ratio)와 95%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CI)을 제시하였다. 주관적 구강건강수준과 경제적 이유로 인한 미충족 치과의료의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에 따른 불평등을 계산하기 위하여 일반화 선형 모델을 적용한 경사불평등지수(SII)와 상대불평등지수(RII)를 산출하였고, SII와 RII의 연도별 추이는 로그 이항 회귀분석(log-binomial regression)을 시행하여 p value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성인의 양호하지 않은 주관적 구강건강수준은 제4기(2007-2009), 제5기(2010-2012), 제6기(2013-2015), 제7기(2016-2018)에 각각 48.9%, 47.0%, 43.8%, 36.5%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성인의 경제적 이유로 인한 미충족 치과의료는 제4기(2007-2009), 제5기(2010-2012), 제6기(2013-2015), 제7기(2016-2018)에 각각 18.9%, 13.5%, 10.0%, 5.9%로 나타났다. 각 시기별로 연령표준화율을 산출하여 추이를 살펴본 결과 남성과 여성 모두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에 따른 양호하지 않은 주관적 구강건강수준과 경제적 이유로 인한 미충족 치과의료의 연령표준화율은 감소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남성의 교육수준에 따른 양호하지 않은 주관적 구강건강수준의 절대적 불평등(SII)과 상대적 불평등(RII)은 증가하는 추세였다. 여성의 교육수준에 따른 양호하지 않은 주관적 구강건강수준의 절대적 불평등(SII)과 상대적 불평등(RII)은 증가하는 추세였다. 남성의 소득수준에 따른 양호하지 않은 주관적 구강건강수준의 절대적 불평등(SII)과 상대적 불평등(RII)은 변동이 없다가 제7기(2016-2018)부터 증가하는 추세였다. 여성의 소득수준에 따른 양호하지 않은 주관적 구강건강수준의 절대적 불평등(SII)과 상대적 불평등(RII)은 증가하는 추세였다. 남성의 교육수준에 따른 경제적 이유로 인한 미충족 치과의료의 절대적 불평등(SII)은 제6기(2013-2015)부터 감소하는 추세였지만, 상대적 불평등(RII)은 계속 증가하는 추세였다. 여성의 교육수준에 따른 경제적 이유로 인한 미충족 치과의료의 절대적 불평등(SII)은 감소하는 추세였지만, 상대적 불평등(RII)은 증가하는 추세였다. 남성의 소득수준에 따른 경제적 이유로 인한 미충족 치과의료의 절대적 불평등(SII)은 감소하는 추세였지만, 상대적 불평등(RII)은 증가하는 추세였다. 여성의 소득수준에 따른 경제적 이유로 인한 미충족 치과의료의 절대적 불평등(SII)은 감소하는 추세였지만, 상대적 불평등(RII)은 증가하는 추세였다. 모든 p for SII, RII trend는 <.0001로 유의한 수준이었다. 결론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에 따른 연령표준화율을 산출한 결과 양호하지 않은 주관적 구강건강수준과 경제적 이유로 인한 미충족 치과의료의 연령표준화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우리나라 성인의 전반적인 주관적 구강건강수준은 향상되었고, 경제적 이유로 인한 미충족 치과의료도 개선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절대적 불평등(SII)과 상대적 불평등(RII)의 측정도구로 불평등 크기를 측정한 결과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에 따른 양호하지 않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의 절대적 불평등과 상대적 불평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에 따른 경제적 이유로 인한 미충족 치과의료의 절대적 불평등은 감소하는 추세였던 반면 상대적 불평등은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성인의 구강건강수준은 증대되었지만 여전히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에 비해 주관적 구강건강수준이 양호하지 않고 경제적 이유로 인한 미충족 치과의료 경험이 많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사회경제적 위치가 낮은 집단의 구강건강증진 도모와 구강건강의 형평성 제고를 위한 구강보건사업이 전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우리나라의 구강건강불평등과 치과의료이용의 불평등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지표 산출을 통해 구강건강불평등과 관련된 문제적 현황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국가와 지역수준에서 구강건강불평등의 실체와 그 결정요인에 대한 구체적이고 포괄적인 모니터링 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0007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374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S](보건대학원) > MEDICAL SCIENCE(의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