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0 0

한국 가톨릭교회 지도자들의 한반도 평화에 대한 인식 연구

Title
한국 가톨릭교회 지도자들의 한반도 평화에 대한 인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Korea Catholic Church Leaders on Peace on the Korea Peninsula
Author
김용찬
Alternative Author(s)
Kim Yong Chan
Advisor(s)
최진우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e Korean Peninsula is divided for over 70 years, and confrontations and conflicts continue to be. Religions within Korea, reguardless of their sect, have been constantly pushing for peace and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o overcome these confrontations and conflicts. Since the division, academic and practical efforts have been made for peace and unification by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too. For unity and peace on the divided Korean Peninsula, Catholic Church leaders have consistently issued bulls and encouraged believers to practice prayer and love. Also, since the late 1980s, the Church has provided practical material and food aid to the North Korean region, and has been helping North Korean defectors to settle in South Korea. Related data and research papers are also being published. However, in the papers so far, research on the epistemological level for peace practice is insufficient. Therefore,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that the epistemological approach for practice cannot be ignored, the following questions are asked: What is the Catholic theory of peace and how does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perceiv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divided Korean Peninsula situation? What are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secular peace theory, the Catholic peace theory, and the Korean Catholic peace theory? This thesis examines the secular peace theory, the Catholic Church peace theory, and the Korean Catholic Church peace theory based on the above problem awareness. The mutual aspect of these theories is the absence of war. In realism, the way to achieve peace is the maximization of force, especially military power, so that the enemy cannot attack. However, the Catholic Church clearly opposes the strengthening of military power, deterrence policies, and balance of power. The common perception of peace between liberalism and the Catholic Church is the institutional stabilization through mutual cooperation. However, the biggest difference is that, while liberalism insists on efficient allocation of resources by the market economy, to which the Catholic Church agrees to some extent, she criticizes the dysfunctional function of capitalism: the-rich-get-richer and the-poor-get-poorer. Galtung and the Catholic Church have in common that they should eliminate structural violence as a preventive measure through peaceful means, and that they should eliminate blasphemy against human needs and anything that harms human dignity.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warfare. Galtung argues that just as the ends cannot justify the means, neither can the cause of war for the sake of peace. However, the Catholic Church recognizes a certain amount of military power to uphold the right and duty to defend. But it is permitted on the premise that the damage is continuous, serious and certain, or that all other measures to restrain it are impractical or ineffective. The original characteristic of the Catholic Church's theory of peace is the principle of gratuitousness, the realization of social justice, and the pursuit of peace through sacrifice and forgiveness by preferentially selecting the socially disadvantaged based on the principle of common good, the principle of solidarity, and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From the liberation up to 2012, the characteristic feature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s theory of peace is that it constantly criticizes North Korean communism's violence. Secular peace theory, Catholic peace theory, and Korean Catholic peace theory all have consistent positions, but the emphasis is different whenever issues in the world change. Secular peace theory and papal literature reveal little critique of communism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But the Catholic Church in South Korea criticizes North Korea's communism even after the Cold War. The biggest reason that South Korean Catholics criticized North Korean communism is the special situation of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conflict of ideologies. North Korea's communist regime threatened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direct violence such as repression on Catholicism, armed provocations, and missile and nuclear tests. For this reason, South Korean Catholics criticized North Korean communism's violent behavior. However, while criticizing North Korean communism's violent behavior, they say that true peace is possible through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and that peace must be realized through prayer and sharing of love. Another characteristic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s theory of peace is theological reflection on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It applies the explanation how Jesus Christ sacrificed himself to achieve reconciliation and unity between man and God to achieve salvation and true peace to the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nd based on this spirit of love and sacrifice, it is recommended that we first reflect on ourselves and practice prayer, sacrifice, and sharing for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This year, 2021, is the 76th year of liberation, and 73 years have passed since the division of governments in South and North Korea. The territories that should be united have been divided, the peoples that should be united have been divided, and separated families are enduring separation. Can it be said that religion and the Catholic Church have nothing to do with the fact that the Korean people are divided, hating each other, and aiming guns at each other as human dignity is being lost? This situation is clearly anti-human, anti-evangelistic and anti-peaceful. In a situation where the Korean Peninsula is divided into North and South Korea and is in conflict, achieving national reconciliation and unity and striving for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is the earthly task of our people, and the church cannot be an exception. Although the issues that appear in the world such as war, inequality, human rights, and clash of civilizations differ according to the times, the value of peace is a consistent theme. Although various issues have emerged on the Korean Peninsula, the biggest issue that runs throughout the times is peace. In the process of democratization in Korea,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played a role of civil society, and in this process, its social status, weight and role increased. It is the mission and the direction that the Catholic Church of Korea should take to strive for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changing world and the special circumstances of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order to br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it is required, not to change according to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order, national policies, or ideological trends, but to prepare practical measures from a consistent and long-term perspective, and to pursue them continuously. And in order to come up with that plan,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should form a common perception of peace through continuous research while communicating with secular studies and play a role for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that common perception.|한반도는 70년이 넘도록 분단 상태로 있으면서 남북 간 대립과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대립과 갈등을 극복하고자 한국 종교계는 종파를 막론하고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위한 노력을 끊임없이 추진해 왔다. 한국 가톨릭교회도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위한 학술적, 실천적 노력들을 기울여 왔다. 분단된 한반도의 일치와 평화를 위해 한국 가톨릭교회 지도자들은 꾸준히 교서를 발표했고 신자들에게는 기도와 사랑의 실천을 권고했다. 한국 가톨릭교회는 1980년대 후반부터 북한지역에 실질적인 물자지원과 식량지원을 했고 탈북자들이 한국에서 정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해왔다. 아울러 가톨릭의 관점에서 대북지원 활동, 탈북자 지원, 그리고 북한 선교와 관련된 학술 연구 및 정책연구를 진행해 왔다. 이러한 지원 활동과 연구 활동은 한반도 평화의 실현을 위한 가톨릭교회의 ‘처방’이요 ‘실천’이라 할 수 있다. 평화를 위한 처방은 평화에 대한 위협 요인, 갈등의 원인, 그리고 갈등과 대립의 극복을 위한 방법이 무엇인지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한다. 결국 한국 가톨릭교회의 한반도 평화를 위한 노력은 한국가톨릭 교회의 평화관이 실천적 활동으로 구체화되어 나타난 것이라 할 것이다. 그렇다면 분단 상황에 놓여 있는 한국 가톨릭교회의 평화관은 무엇이며 그 특징은 무엇인가? 이는 보편교회로서의 가톨릭교회의 평화론과 어떻게 연결되는가? 나아가 가톨릭 평화론은 세속의 평화론과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가? 본 논문은 위와 같은 문제의식을 토대로 세속 평화론, 가톨릭교회 평화론, 그리고 한국 가톨릭교회의 평화론을 알아보았다. 이 이론들의 공통적인 평화론은 전쟁이 없는 상태라는 점이다. 평화를 이룩하기 위한 방법으로 현실주의는 힘, 특히 군사력을 길러 적이 공격할 수 없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가톨릭교회는 현실주의의 군사력 강화, 억지정책, 세력균형 정책에 반대의 입장을 분명히 한다. 자유주의와 가톨릭교회의 공통적 평화 인식은 상호 협력을 통해 제도적으로 안정화된 상태이다. 그러나 가장 큰 차이점은 자유주의는 시장 경제에 의한 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주장하지만, 가톨릭교회는 자본주의의 역기능인 빈익빈 부익부 현상을 비판한다. 갈퉁과 가톨릭교회는 평화적 방법을 통해 예방적 차원에서 구조적 폭력을 없애고, 인간의 욕구에 대한 모독과 인간의 존엄성을 해치는 모든 것을 없애야 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전쟁에 대해서는 차이점을 보인다. 갈퉁은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할 수 없듯 평화를 위해서 전쟁을 일으키는 것을 정당화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가톨릭교회는 방어할 권리와 방어의 의무를 지키기 위해 어느 정도의 군사력은 인정한다. 다만 피해가 계속적이고 심각하며 확실하거나 이를 제지할 다른 모든 방법들이 실행 불가능하거나 효력이 없다는 전제 하에 허용하는 것이다. 가톨릭교회 평화론만의 특징이라고 한다면 공동선의 원리, 연대성의 원리, 보조성의 원리를 토대로 사회적 약자들을 우선적 선택하여 무상성의 원칙, 사회정의 실현, 그리고 희생과 용서를 통한 평화추구이다. 한국 가톨릭교회 평화론의 특징은 해방 후부터 2012년까지 꾸준히 북한 공산주의의 폭력성을 비판한다는 점이다. 세속 평화론, 가톨릭 평화론, 한국 가톨릭 평화론 모두 일관된 입장이 있지만 세상 속에서 등장하는 이슈가 달라질 때마다 그 강조점이 달랐다. 세속 평화론과 교황 문헌은 냉전 종식 이후 공산주의를 비판하는 내용이 거의 드러나지 않는다. 그러나 한국 가톨릭교회는 냉전 후에도 북한의 공산주의를 비판한다. 이렇게 한국 가톨릭이 북한 공산주의를 비판한 가장 큰 이유는 한반도 분단과 이념의 대립이라는 특수한 상황 때문이다. 북한의 공산정권은 가톨릭 탄압, 무력 도발 행위, 그리고 미사일 실험과 핵실험 등 직접적 폭력을 통해 한반도 평화를 위협했다. 이러한 이유로 한국 가톨릭은 북한 공산주의의 폭력적 행위를 비판했던 것이다. 그러나 북한 공산주의의 폭력적 행위를 비판하면서도 진정한 평화는 용서와 화해를 통해 가능하고 기도와 사랑의 나눔을 바탕으로 평화를 실현해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한국 가톨릭교회 평화론의 또 다른 특징은 한반도 평화에 대한 신학적 성찰이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자신을 희생하여 인간과 하느님 사이에 화해와 일치를 이루고 구원과 참 평화를 이룩했다는 것을 한반도 상황에 적용해서 설명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사랑과 희생의 정신을 토대로 한반의 평화를 위해 우리 자신을 먼저 성찰하고 기도와 희생과 나눔을 실천할 것을 권고한다. 한국 가톨릭교회 지도자들의 한반도 평화에 대한 신학적 성찰은 분단과 이념의 대립이라는 한반도의 특수성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평화의 추구는 단순히 정치·경제·사회적 가치들 중 하나가 아니라 가톨릭 신앙의 핵심이자 세속에서 이룩해야 할 소명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2021년인 올해는 광복 76년 되는 해이고 남한과 북한 각각의 정부가 수립된 지 73년이 경과되었다. 하나이어야 할 영토가 분단되고 하나이어야 할 민족이 분열되었으며 이산가족들은 생이별을 겪고 있다. 한민족이 갈라져 서로를 미워하고 인간의 존엄성이 상실되어 가며 서로에게 총을 겨누고 있는 상황은 분명 반인륜적이고 반복음적이며 반평화적이다. 한반도가 남과 북으로 분열되어 있고 대립하고 있는 상황에서 민족의 화해와 일치를 이루고 한반도 평화를 위해 노력하는 것은 우리 민족의 지상적 과제이며 교회 역시 예외일 수는 없을 것이다. 시대에 따라 전쟁, 불평등, 인권, 그리고 문명의 충돌과 같이 세상에 등장하는 이슈는 다르지만 평화라는 가치는 일관된 주제이다. 한반도에서도 다양한 이슈들이 등장했지만 시대를 관통하는 가장 큰 이슈는 바로 평화이다. 대한민국의 민주화 과정에서 한국 가톨릭교회는 시민사회 역할을 수행했고 이러한 과정에서 사회적 위상과 비중과 역할이 증대되었다. 변화하는 세상과 한반도 분단이라는 특수한 상황속에서 한국 가톨릭교회가 한반도의 평화를 위해 노력하는 것은 시대의 사명이자 한국 가톨릭이 나아갈 방향이다. 한반도 평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국제질서의 변화, 국가의 정책, 그리고 이념적 경향에 따라 변화되는 것이 아닌 일관된 관점과 장기적인 안목으로 실천적 방안을 마련하고, 그것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한국 가톨릭교회는 세속 학문과 소통을 하면서 꾸준한 연구를 통해 공통된 평화 인식을 형성하고 그 공통된 인식을 바탕으로 한반도 평화를 위한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00324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366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STUDIES(정치외교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