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95 0

비건 패션과 딜레마

Title
비건 패션과 딜레마
Other Titles
Vegan Fashion and Dilemma : Macroscopic Approach using Social Big Data
Author
최영현
Alternative Author(s)
Yeong-Hyeon Choi
Advisor(s)
이규혜
Issue Date
2021.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The cruel exploitation and slaughter of animals for fur and leather products has been criticized as an unethical problem in the fashion industry. In particular, Singer's announcement of 'Animal Liberation' in 1975 served as an opportunity to spread industry and consumer awareness about animal ethics. Vegan fashion is an ethical fashion that aims “cruelty-free” as a basic principle and does not use animal materials in consideration of animal ethics. However, while vegan fashion is positively evaluated as an ethical advancement in the fashion industry, it is also criticized for ignoring the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 caused by the use of synthetic materials. In order for vegan fashion to be fully accepted as ethical fashion by consumers, it is necessary to solve this dilemma. This study h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overall perception, attitude, and behavior of consumers about the vegan fashion and its dilemma using social big data analysis. The unstructured data was collected through web crawling; data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social media channels (Google, Naver, Twitter, YouTube, Instagram). Programs such as Python 3.7, Ucinet 5, NodeXL 1.0.1, SPSS 25, and MAXQDA 2020 were used for analysis. In Study 1, macroscopic awareness and behaviors of consumers on vegan fashion consumption were examined, and then microscopic consumer awareness, attitudes, behaviors were examined through sentiment analysis. In European and American countries where veganism has spread as a cultural trend from an early age, elements of actual purchases or products were more prominent than the concept of vegan fash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Korea, which entered the early introduction stage of vegan fashion, the search for ethical concepts was intensive. The dilemma of the use of synthetic materials and environmental problems appeared as common to consumer awareness in both groups, and more diverse ethical influences were considered in the awareness of problems of vegan fashion products among Korean consumers. In both groups, the ethical meaning of vegan fashion included positive consumption benefits, and the ethical conflict between animal rights and environmental rights, confrontation between animal rights and plant rights, dissatisfaction with prices, and emotional criticism of veganism were included in negative attitudes. Regarding product purchase, the global consumer group mainly considered the shopping channel or external attributes of the product, such as where to buy, brand, and size information, but the Korean consumer group mainly considered price and functional aspects (durability, airiness). In both groups, refraining from purchasing and substituting animal materials was observed. In Study 2, we investigated how consumers' emotions toward animal materials and synthetic materials changed over time, and examined changes in consumers' interests through changes in each index of the network. Animal materials except fur (down, leather, silk, and wool) showed a decrease in positive attitudes and an increase in negative and neutral attitudes in the present than in the past. In contrast, all alternative materials except viscose rayon (wellon, faux leather, polyester, and acrylic) showed increased positive attitudes and decreased negative and neutral attitudes. Even in the same animal material series, consumer sentiment remained constant regardless of fashion or external factors for fur or down. Leather, silk, and wool, which had a lower degree of severity than fur and leather, were found to be influenced by fashion or external factor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nge in the dynamic structure of the network, it was found that while consumer interest in down decreased over time, consumer interest increased in wellon (artificial down), an alternative material. Polyester and acrylic materials, which are alternatives to artificial wool, have been positively evaluated by consumers over time. The point at which consumers' interest in animal materials began to decline was in the mid-2010s, and as a result of this, interest in artificial alternative materials has increased since then. In Study 3, the sub-factors constituting the dilemma of vegan fashion were categorized, and each sub-type was analyzed. As a result, confusion or transference of veganism and vegan fashion, conflict between animal rights and environmental rights, connection with specific political ideologies, and heterogeneous and uncomfortable emotions were included as negative discourse of veganism and vegan fashion dilemma. In addition, consequent to applying the dilemma situation of vegan fashion material to the prisoner's dilemma game situation, it was most appropriate for animals and the environment to have cooperation-cooperation strategy by Pareto optimiza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ponses between informants and consumers to the dilemma of vegan fashion materials, a conflict between animal ethics and environmental ethics was found in vegan fashion materials as in the previous results. Third, the brand-driven image of the cruelty-free brand was compared with the actual consumer-perceived image, and the communication performance was measured. The higher the degree of agreement between the brand-driven image and consumer-perceived image, the more positive responses were elicited from consumers. Accordingly, it was found that the more the brand-driven image and the consumer-perceived image match,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resolving the dilemma of vegan fashion.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dilemma of vegan fashion could be solved by acknowledging that the scope of use of animal materials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individual circumstances, and refraining from ethical coercion and criticism for the use of animal materials. Finally, it is impossible for humans to live without any impact on the ecosystem, but nevertheless efforts should be made to minimize the impact on both the environment and animals for future gener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tributed to the diversification of ethical fashion research and provided fact-based insights as basic data to vegan fashion brands and designers.|모피와 가죽 제품을 얻기 위한 잔인한 동물 착취 및 도살은 패션산업이 가진 비윤리적인 문제로 비난 받아 왔다. 특히, 1975년 피터 싱어의 ‘동물 해방’ 발표는 동물 윤리에 대한 기업 및 소비자 차원의 관심이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 비건 패션은 이에 따른 결과로서, 크루얼티 프리를 기본 원칙으로 하며, 동물 윤리를 고려하여 동물성 소재를 사용하지 않는 윤리적 패션이다. 그러나, 비건 패션은 패션산업의 윤리적 진보라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음과 동시에, 인조 합성 소재의 사용에 따른 환경 오염 문제에 대해서는 외면한다는 등의 비판도 받고 있다. 소비자들에게 비건 패션이 온전하게 윤리적인 패션으로 받아들여지기 위해서는 이러한 딜레마 문제의 해소를 고민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비건 패션과 비건 패션의 딜레마에 대한 소비자들의 전반적인 인식, 태도, 행동에 대해 다각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비정형 데이터는 웹 크롤링을 통해 얻었으며, 구글, 네이버, 트위터, 유튜브 등의 소셜 미디어에서 연구의 목적과 분석 상황에 적절한 데이터를 선택하여 사용하였다. Python 3.7, Ucinet 5, NodeXL 1.0.1, SPSS 25 등의 프로그램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1에서는 소비자들의 비건 패션 소비에 대한 거시적인 인식과 행동을 살펴보고, 감성분석을 통해 미시적인 소비자 인식, 태도, 행동의 하위 요인을 살펴보았다. 비거니즘이 일찍부터 문화적 트렌드로 확산된 영미권 국가에서는 비건 패션에 대한 직접적인 개념보다는 실제 구매나 제품에 대한 요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나, 비건 패션의 초기 도입 단계에 진입한 한국의 경우에는 윤리적 개념에 대한 탐색이 보다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인조 합성 소재의 사용과 환경문제에 대한 딜레마가 두 집단에서 모두 공통된 소비자 인식으로 나타났으며, 한국 소비자들에게서 비건 패션제품의 문제 인식에서 보다 다양한 윤리적 영향이 고려되고 있었다. 두 집단에서 모두 비건 패션의 윤리적 의의가 긍정적인 소비 편익으로 나타났고, 동물권과 환경권의 윤리적 상충, 동물권과 식물권의 대립, 가격에 대한 불만, 비거니즘에 대한 감정적 비난이 부정적인 태도로 나타났다. 제품 구매와 관련하여, 글로벌 소비자 집단은 주로 구매처, 브랜드, 사이즈 정보와 같이 쇼핑 채널이나 제품의 외재적 속성을 고려하였으나, 한국 소비자 집단은 가격과 기능적 측면(내구성, 통풍)을 주로 고려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집단에서 모두 동물성 소재의 구매 자제 및 대체 행동이 관찰되었다. 연구결과 2에서는 동물성 소재와 인조 합성 소재에 대한 소비자들의 감성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떠한 변화를 보였는지 알아보고, 네트워크의 각 지표 변화를 통해 소비자들의 관심사 변화를 살펴보았다. 모피를 제외한 동물성 소재(다운, 가죽, 실크, 울)가 과거보다 현재에 긍정적인 태도가 감소하였고, 부정 및 중립적인 태도가 증가하였다. 대조적으로, 비스코스 레이온을 제외한 모든 대안 소재(웰론, 인조 가죽, 폴리에스터 및 아크릴)는 긍정적인 태도가 증가하고, 부정 및 중립적인 태도가 감소했다. 같은 동물성 소재 계열에서도 모피나 다운은 유행이나 외부 요인과 상관없이 소비자 감성이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며, 엄격함의 정도가 보다 낮은 가죽, 실크, 울은 오히려 유행이나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트워크의 동적 구조 변화를 살펴본 결과, 다운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동안, 인조 다운(웰론)에 대한 소비자 관심은 증가하였다. 인조 울의 대체 소재인 폴리에스터 및 아크릴 소재는 시간이 지날수록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동물성 소재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줄어들기 시작한 시점은 2010년대의 중반기에 해당되는 지점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영향으로 이후 인조 대안 소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 3에서는 비건 패션의 딜레마를 구성하는 하위요인들을 세분화하여 다루고 있다. 첫째, 비거니즘과 비건 패션의 딜레마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비교 및 분석한 결과, 식습관에서의 비거니즘과 비건 패션의 혼동 또는 전이, 동물권과 환경권의 상충, 특정 정치적 이념과의 연관, 비건 식습관 및 비건 패션 소비를 실천하는 사람들에 대한 이질적이고 불편한 감정들이 부정적인 담론을 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죄수의 딜레마 상황에 비건 패션 소재의 딜레마 상황을 적용한 결과, 비건 패션에서 동물과 환경이 협력-협력 조건을 가지는 것이 파레토 효율적 관점에서 가장 적절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둘째, 비건 패션 소재에 나타난 딜레마에 대한 정보원과 소비자들 간의 반응을 확인한 결과, 앞선 연구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비건 패션 소재에 나타난 동물 윤리와 환경 윤리의 상충이 발견되었다. 셋째, 크루얼티 프리 브랜드의 브랜드 주도적 이미지와 실제 소비자 지각 이미지를 비교하고, 커뮤니케이션 성과를 측정하였다. 브랜드 주도적 이미지와 소비자 지각에 대한 인식의 일치 정도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브랜드 주도적 이미지와 소비자 지각 이미지가 더 많이 일치될수록 비건 패션에 대한 딜레마 문제를 해소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상황에 맞게 동물성 소재의 사용 범위를 조절할 수 있음을 인정하고, 동물성 소재 사용에 대한 윤리적 강요와 비난을 삼가하는 것이 비건 패션의 딜레마를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인간이 생태계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살아가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후속 세대를 위해 환경과 동물에게 모두 미칠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노력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윤리적 패션 연구의 다양화에 기여하고, 비건 패션 브랜드 및 디자이너들에게 기초 자료로서 사실 기반의 통찰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0013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357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LOTHING & TEXTILES(의류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