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4 0

경제활동 노인의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일 만족도의 매개효과

Title
경제활동 노인의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일 만족도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e Impact of Depression on Life Satisfaction of the Working Elderly
Author
오영경
Keywords
노인; 매개효과; 삶의 만족도; 우울; 일 만족도; Depression; Job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 The Elderly
Issue Date
2019-06
Publisher
한국콘텐츠학회
Citation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v. 19, no. 6, Page. 271-280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경제활동을 하는 노인의 우울과 일 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데 있어 일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자료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주관한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근거로 이차 자료분석을 실시하였으며 65세 이상의 노인 중 경제활동을 하는 노인 3060명을 대상으로 하여 경로모형을 만들고 경로분석과 매개효과 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결과: 우울과 일 만족도, 삶의 만족도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의 효과 크기는 우울(.38, p=.019)과 일 만족도(.22, p=.009) 모두 유의하였으며 일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우울(.20, p=.009)의 효과도 유의하였다.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일 만족도의 매개효과(Z=7.17, p<.001)가 유의하여 우울은 일 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경제활동을 하는 노인의 우울과 일 만족도는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며 그 중 우울은 일 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정책 및 간호 중재가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depression and job satisfaction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nd prov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Methods: This study is a pathway analysis study using 3060 working elderly. This study was performed as secondary analysis using the data from the 2017 Korean Elderly Examination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way analysis. Results: Depressio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Life satisfaction was directly affected by depression(.38, p=.019) and job satisfaction(.22, p=.009). Job satisfaction was also directly affected by depression(.20, p=.009). Depression was mediated by job satisfaction in affecting to life satisfaction. Conclusion: Depression and job satisfaction affect to life satisfaction of the working elderly and life satisfaction is affected by depression via job satisfaction. It suggests that it needs to provide nursing intervention for job satisfaction for life satisfaction of the working elderly.
URI
http://koreascience.or.kr/article/JAKO201919263352600.page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0274
ISSN
1598-4877; 2508-6723
DOI
10.5392/JKCA.2019.19.06.271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NURSING[S](간호학부) > NURSING(간호학부)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