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 0

스마트폰으로 탐색한 관광이미지가 사회적 수용력에 미치는 영향연구

Title
스마트폰으로 탐색한 관광이미지가 사회적 수용력에 미치는 영향연구
Other Titles
The Effect of Tourist Images Viewed through Smartphones on Social Carrying Capacity: Focus on Chinese tourists using SNS
Author
이향란
Alternative Author(s)
LI XIANGLAN
Advisor(s)
김남조
Issue Date
2021.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으로 관광산업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출발한다. 구체적으로 관광산업은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혁신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스마트폰으로 탐색한 관광이미지와 사회적 수용력은 새로운 결합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사회적 수용력의 관련 연구는 1970~1980년대에 시작하여 현재까지 여러 분야에 적용되어 연구되어왔다. 그중에서 새로운 척도 개발과 사회구조의 변화에 따라서 새로운 변수들이 추가되고 새로운 관련 연구제들을 시도하면서 진행되어왔다. 여기서 알 수 있는 점은 관광경험의 질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으로 탐색한 관광이미지가 사회적 수용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문제를 제기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 몇 가지 시사점을 가진다. 먼저, 학술적 시사점으로는 문헌 기여에 의의를 두고,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관광지의 관리방안 모색에 의미를 둔다. 궁극적인 목적은 관광경험의 질을 유지로 지속가능한 관광의 실현이다. 본 연구는 앞서 언급한 상황을 바탕으로 스마트폰으로 탐색한 관광이미지가 사회적 수용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사회적 수용력에 미치는 새로운 영향요인을 도출하고 학술적 기여를 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은 크게 다섯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관광이미지를 인지적 이미지와 정서적 이미지로 구분하여, 방문동기의 세부요인 체험적 동기, 휴식적 동기, 심리적 동기로 각각 분석한다. 이는 스마트폰으로 탐색한 관광 이미지가 관광 방문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의미를 둔다. 둘째, 방문동기를 체험적 동기, 휴식적 동기, 심리적 동기로 구분하여, 혼잡지각의 세부요인 인적 혼잡지각과 공간적 혼잡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보고자 한다. 이는 스마트폰 관광 이미지의 탐색이 방문동기를 추진하여 관광지에 혼잡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의미를 둔다. 셋째, 혼잡지각을 인적 혼잡지각과 공간적 혼잡지각으로 구분하여 감정반응의 세부요인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스마트폰 관광이미지로 인해 혼잡지각을 증가하여 감정반응 미치는 영향에 의미를 둔다. 넷째, 감정반응을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으로 구분하여 영역회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스마트폰으로 사전에 관광이미지를 통해 미리 확인하는 데 있어 감정반응과 영역회피에 미치는 영향에 의미를 둔다. 마지막으로, 영역회피가 만족도의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한다. 스마트폰으로 탐색한 관광이미지로 관광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와 후속 단계(재방문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의미를 둔다. 연구 대상은 SNS를 이용하는 중국인 관광자이다. 먼저 응답자에게 스마트폰으로 관광이미지의 탐색 여부를 확인하고, SNS 관광지에 방문경험 여부에 대해 확인한다. 이러한 조건에 부합하면 본 연구에 참여자로 선정될 수 있다. 또한 연구대상지는 중국 국내에서 SNS로 통해 유명하게 알려진 관광지들을 선정하였다. 분석결과에서 첫째, 인지적 이미지는 체험적 동기, 휴식적 동기와 심리적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이미지는 휴식적 동기와 심리적 동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서적 이미지는 체험적 동기에 영향이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동기는 인지적 혼잡지각과 공간적 혼잡지각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체험적 동기와 휴식적 동기는 인지적 혼잡지각과 공간적 혼잡지각에 각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적 혼잡지각과 공간적 혼잡지각은 모두 부정적 감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인적 혼잡지각과 공간적 혼잡지각은 긍정적 감정에 영향이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정적 감정은 영역회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긍정적 감정은 영역회피에 영향이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영역회피는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탔다. 본 연구의 학술적 시사점은 크게 두 가지로 제시된다. 첫째, 스마트폰으로 탐색한 이미지가 관광에 영향 미치는 것으로 입증 되어 관광이미지 연구를 문헌 기여에 시사한다. 둘째, 관광 이미지와 사회적 수용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새로운 영향 요인의 도출로 문헌 확장에 기여한다. 실무적 시사점은 크게 두 가지로 제시한다. 첫째, 마케팅전략에 초점을 맞추어 관광 이미지의 활용을 통해 지속적인 관광자 유인에 기여할 수 있다. 둘째, 사회적 수용력의 연구로 관광지 관광방안의 모색하는 데 있어서 관광경험 질을 유지하여 지속가능 관광을 실현할 수 있다. 한계점과 향후 연구는 크게 두 가지로 제시한다. 첫째, 코로나-19 시대에서 사회적 수용력 관련 연구 진행에 응답자들은 86.5%로 코로나-19전에 과거의 여행기억으로 설문에 응답하여 연구결과에 대한 정확성이 한계점이 된다. 향후 코로나-19 종료 후에 수용력 초과 문제들이 다시 나타나는 시점에 본 연구를 다시 진행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표본수집에서 있어서 시간적 공간적으로 모두 한계점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여행 성수기에서 같은 시간과 같은 장소로 방문경험에 있는 응답자의 표본수집으로 연구를 다시 진행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현시대의 발생한 관광 문제에 초점을 맞추어, 궁극적인 목표로 관광 문제를 해결하여 지속가능한 관광을 실현하고자 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994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8611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OURISM (관광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