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35 0

급진적 제품 혁신이 생산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 전기자동차 사례

Title
급진적 제품 혁신이 생산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 전기자동차 사례
Other Titles
Impact of Radical Product Innovation on Production System - Electric Vehicle Cases
Author
박근태
Alternative Author(s)
Park, Geun Tae
Advisor(s)
임상훈
Issue Date
2021.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이 연구는 자동차산업 패러다임 전환 과정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전동화를 중심으로 제품의 급진적 혁신과 이로 인한 생산시스템의 변화, 이에 대한 행위자들의 작용을 분석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전기자동차를 내연기관차 중심의 기존 지배 디자인에서 일탈하는 급진적 혁신으로 정의하고, 1단계 분석에서는 BMW i3, 테슬라 모델 S, GM 볼트 EV를 사례로 하여 전기자동차가 생산시스템에 미치는 주효과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2단계 분석에서는 현대자동차의 코나 일렉트릭과 아이오닉 5를 사례로 하여 전기자동차가 생산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사의 생산전략과 노동조합 대응의 조절 효과까지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듈화할 수 있는 급진적 제품 혁신(동력원의 변화)은 기존 생산의 기술시스템의 급진적 변화를 촉발하지 않으나, 모듈화할 수 없는 급진적 제품 혁신(비금속 차체, 분리형 차체)은 기존 생산의 기술시스템의 급진적 변화를 촉발한다. 둘째, 이 연구의 모든 사례에서 차량 조립 작업조직의 근본적인 변화는 없었다. 전기자동차라는 제품 혁신은 차량 조립의 기술시스템의 급진적 변화를 촉발하는 기술적 변동을 갖고 있지 않으며, 전동화 초기인 현재는 전기자동차의 생산량이 많지 않아 작업조직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노사관계의 변화 역시 아직 없기 때문이다. 셋째, 기술적 합리성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는 행위자들의 개입이, 즉 기업의 생산전략과 이에 대한 노동조합의 대응이 제품 혁신이 생산의 기술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수 있으나, 기술적 합리성을 넘어서까지 조절할 수는 없다. 이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면, 우선 전기자동차의 확산이 가속화되고 있지만, 전기자동차가 생산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대표적인 전기자동차들과 생산시스템들을 대상으로 다중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음으로 이 연구는 ‘기존 지배 디자인에서 이탈하는 혁신’을 급진적 혁신으로, ‘기존 지배 디자인 내에서 이루어지는 혁신’을 점진적 혁신으로 정의하여 지배 디자인을 제품 혁신을 분석하는 기준으로 제시하고 이를 사례 분석에 적용하였다. 또한 이 논문은 현재 진행 중인 전동화에 따른 자동차 생산의 기술시스템 변화를 잘 포착할 수 있도록 기업 수준에서 자동차 생산의 기술시스템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에서는 내연기관 엔진에서 전동 모터로 동력원의 변화가 제품의 변화, 다시 생산시스템의 변화로 이어지는 인과 기제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이 연구는 혁신 분야에도 기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산업의 최초 혁신 주기와 다음 혁신 주기를 구분하는 것이 산업 혁신 주기론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에서는 현재 진행 중인 자동차산업 패러다임 전환의 중심에 있는 전기자동차와 그로 인한 생산시스템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대응을 위한 출발점을 마련하는데 기여하였다. 자동차산업 패러다임 전환이 ‘공정한 전환’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변화와 노력이 필요하다: 첫째, 노동조합의 경영 참여에 대한 경영 철학과 관행의 변화가 필요하며, 둘째, 노동조합의 성찰과 변화가 필요하다. 셋째, 재직자의 고용 보장을 넘어 작업장 체제의 질적 도약을 모색해야 하고, 넷째, 완성사 기업 수준을 넘어 산업 차원의 대응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바람직한 산업 전환을 위한 사회적 차원의 노력 또한 필요하다. 핵심 주제어: 전기자동차, 제품 혁신, 지배 디자인, 생산시스템, 생산전략, 노동조합의 대응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990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8587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BUSINESS ADMINISTRATION(경영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