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6 0

소도구를 활용한 한국춤 학습이 노인의 뇌 기능에 미치는 영향

Title
소도구를 활용한 한국춤 학습이 노인의 뇌 기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learning Korean dance with props on the brain functions of seniors: Using the two-channel EEG system
Author
서연수
Alternative Author(s)
SEO YEON SOO
Advisor(s)
김운미
Issue Date
2021.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국문요지 본 연구의 목적은 소도구를 활용한 한국 춤 학습이 노인의 뇌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에 따른 연구대상은 60세 이상의 노인으로 실습에 참여한 실험집단 43명,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17명이다. 무용 프로그램은 소도구를 활용한 부채춤 프로그램과 소고춤 프로그램 그리고 소도구를 활용하지 않은 한국춤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2주간 주 2회 60분씩 실시하였다. 각 집단은 실험 전후 뇌파검사 EEG를 통해 뇌 기능분석을 측정하였으며, 한양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IRB) 심의 승인을 받아 연구윤리를 준수하여 진행하였다(과제번호: HYU-2020-078). 자료 처리는 SPSS 25.0(IBM, USA)을 이용하여 네 집단의 뇌파검사에 대해 변인 별 처치 전과 후의 변화량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네 집단의 변화량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사후검증(post-hoc)은 LSD를 적용하였고,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뇌 기능지수 분석결과 8가지의 분석데이터 중 첫 번째로 자기조절지수에서 자기조절 변화량은 집단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고(p<.001), 사후검증 결과 부채춤, 소고춤이 한국춤, 통제군보다 변화가 크게 나타났고, 한국춤도 통제군보다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두 번째로 기초율동에서 좌뇌는 집단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우뇌에서 집단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고(p<.05), 사후검증 결과 부채춤, 소고춤, 한국춤이 통제군보다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세 번째로 주의지수에서 좌뇌는 집단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고(p<.05), 사후검증 결과 부채춤, 한국춤이 소고춤보다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우뇌는 집단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네 번째로 활성지수에서 좌뇌는 집단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우뇌도 집단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 번째 정서지수는 집단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고(p<.001), 사후검증 결과 부채춤, 소고춤이 한국춤, 통제군보다 변화가 크게 나타났고, 한국춤도 통제군보다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여섯 번째 항 스트레스 지수에서 좌뇌는 집단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우뇌는 집단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고(p<.05), 사후검증 결과 한국춤이 통제군보다 크게 나타났다. 일곱 번째 좌우뇌균형지수는 집단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고(p<.001), 사후검증 결과 부채춤, 소고춤, 한국춤이 통제군보다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브레인지수는 집단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고(p<.001), 사후검증 결과 부채춤, 소고춤, 한국춤이 통제군보다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자기조절지수’, ‘정서지수’, ‘기초율동지수’, ‘좌 우뇌 균형지수’, ‘브레인지수’ 총 5가지의 변인에서 소도구를 활용한 한국춤 학습이 활용하지 않은 집단보다 뇌기능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주의지수’, ‘활성지수’, ‘항 스트레스 지수’는 소도구를 활용한 집단이 한국춤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낮게 나타나 소도구의 활용 가치를 찾을 수 없었으나, 거시적으로 무용교육의 효과를 검증할 수 있었다. 이처럼 소도구를 활용한 한국춤 혹은 한국춤 프로그램은 노인들의 뇌 기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다가오는 초고령화 시대에 사회적으로 노인들을 위한 문화예술프로그램이 시급한 시점에서, 뇌 기반 한국춤 프로그램은 과학적, 교육적, 사회적 등 다양한 영역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다루어진다. 이 외에도 다양한 관점에서 한국춤과 뇌 기능 향상 원리를 탐색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소도구를 활용하는 한국춤의 특성 안에서 보다 다양한 소도구 활용에 따른 뇌 기반 프로그램과 실험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포괄적인 관점에서도 뇌 과학 기반의 무용연구를 지속하여 한국춤 고유의 특징과 본질적 가치를 과학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노력이 다방면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948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8608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ANCE(무용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