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75 0

<리틀 포레스트>에 나타난 청년세대의 재현 양상

Title
<리틀 포레스트>에 나타난 청년세대의 재현 양상
Other Titles
A study of the Representation of Young Generation in
Author
임혜린
Alternative Author(s)
Yim, Hye Lin
Advisor(s)
유성호
Issue Date
2021.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2000년대 이후의 청년세대는‘88만원 세대’, ‘N포세대’등 불안정한 그들의 삶을 대변하는 단어들로 칭해졌다. 본 연구는 미디어에서 재현된 청년세대의 양상, 그중에서도 농촌을 배경으로 한 힐링 미디어들을 통해 청년세대의 실재와 괴리감을 파악하고자 한다. 자세한 연구를 위해 임순례 감독의 영화 <리틀 포레스트>를 연구의 중심에 두었으며, <청춘시대>, <미생>, <소공녀>, <삼시세끼>, <효리네 민박>, <여름방학>과 같은 미디어들의 분석을 뒷받침하여 보다 더 다양한 함의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의미를 밝혀내기에 앞서, 청년세대에 대한 개념과 현 청년세대의 라이프 스타일, 최근 미디어에서 재현된 청년세대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판타지와 미메시스의 개념과 미디어가 만들어내는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리틀 포레스트>에 나타난 청년세대의 현실을 지적하고, 형성되는 판타지와 괴리감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분석한 결과, 첫째, <리틀 포레스트>는 ‘먹방’과 ‘쿡방’의 포맷을 기반으로 다양한 음식의 재현을 통해 집밥 판타지를 생성하였다. 둘째, 청년 주인공 혜원, 재하, 은숙은 농촌에서 내면의 성숙을 거치고 그들만의 공간을 만들어나갔다. 그리고 혜원의 엄마는 그동안의 미디어 속 모성 신화를 답습하면서도 자신을 위한 선택을 하는 모습을 통해 모성 신화의 타파를 보여주었다. 셋째, 영화 속 휴식과 주거공간의 분석을 통해 청년세대가 공간에 대해 갖는 판타지가 ‘스테이케이션’과 ‘집방’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발견했다. 넷째, 영화 속 농촌은 잦은 롱 숏과 롱 테이크를 사용하여 도시와는 정반대로 아름답고 느리게 흘러가는 공간임을 강조했다. 또, 청년 주인공들의 관계를 통해 실제 청년세대가 SNS로 만들어나가는 휘발성 관계와는 다르면서도 공동체의 정서적 관계에 메말라있던 청년세대의 만족을 채워주었다. <리틀 포레스트>는 청년세대가 지속되는 불안감 속에서 선택한 현실에서의 도피 공간을 ‘농촌’으로 표현하였다. 그러나 <리틀 포레스트>가 타 농촌 미디어들과 다른 점은 청년세대가 농촌을 도피의 공간보다 앞으로 살아나갈 공간으로 삼으며 판타지를 넘어 자급자족의 가능성을 타진하였다는 점이다. 그렇다고 <리틀 포레스트>가 귀농을 대안적 삶으로 제시하는 영화는 아니다. 청년세대에게 가끔은 잠시 쉬어가도 괜찮다는 위로의 메시지와 쉬어갈 내면의 ‘작은 숲’을 찾는 것을 제안했다. 이를 바탕으로 영화는 청년세대에게 긍정적인 카타르시스로 작용하고 있었다.; The young generation since the 2000s has been called as words that represent their unstable lives such as ‘880-thousand-won generation’ and ‘N-po generation’.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reality and sense of disparity between the young generation through the aspects of the young generation reproduced in the media, especially the healing media based on the rural area. For the detailed study, the film directed by Lim Soon-rye was focused on the research and the media analysis such as , , , , , was supported to reveal more various implications. Before finding out the meaning, the concept of the young generation, the lifestyle of the current young generation, and the aspects of the young generation that have been recently reproduced in the media were examined. And I tried to analyze the concept of fantasy and mimesis and the heterotopia created by the media. Based on this theoretical understanding, this study tried to point out the reality of the young generation in and to discover sense of disparity and fantasy that is formed.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 created a home-cooked meal fantasy through the reproduction of various foods based on the format of ‘Mukbang’ and ‘Cookbang’. Second, the young protagonists Hye-won, Jae-ha, and Eun-sook went through inner maturity in rural areas and created their own space. And Hye-won's mother showed the breakdown of maternal myth through the way she made a choice for herself while following the maternal myth in the media. Third, through the analysis of rest and residential space in the movie, it was found that the fantasy of the young generation about the space appeared as a ‘Staycation’ and a ‘Jipbang’. Fourth, the rural area in the movie emphasizes that it is a beautiful and slow-flowing space opposite to the city using frequent long shot and long take. In addition,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oung protagonists, it filled the satisfaction of the young generation who was not in the emotional relationship of the community, although it was different from the volatile relationship that the actual young generation made into SNS. expresses the space of escape from the reality that the young generation has chosen amid continuing anxiety as ‘a rural village’.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and other rural media is that the young generation has made the rural area a space to live in the future rather than a space of escape, and has explored the possibility of self-sufficiency beyond fantasy. But, Little Forest is not a film that presents ear farming as an alternative life. It seemed to suggest to the younger generation that it was okay to take a break sometimes and to find an inner “small forest” to take a break. Based on this, the film was acting as a positive catharsis for the young generatio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945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8596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MASS MEDIA AND SCENARIO CONTENTS(대중문화·시나리오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