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49 0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 자아 존중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itle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여성 독거노인의 우울, 자아 존중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Impacts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on quality of life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the community
Author
이영주
Alternative Author(s)
Lee Young Joo
Advisor(s)
신용순
Issue Date
2021.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노인인구 비율증가와 함께 여성독거노인은 남성보다 평균수명이 길고, 가족형태의 변화로 특수한 환경과 열악한 조건으로 인해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고통을 경험 한다. 취약한 환경 속에서 높은 우울과 낮은 자아존중감, 삶의 질의 변화를 겪을 수밖에 없는데 이는 노인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의 전반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독거노인과 여성노인, 또는 시설에 입소하여 돌봄을 받는 노인에 관한 선행연구는 많으나,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잠재적이고 실제적인 문제들이 많은 여성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이는 지역사회 여성독거노인의 우울과 자아존중감, 삶의 질의 정도를 파악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파악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과 간호중재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횡단적 조사연구로서 자료수집기간은 2020년 10월 23일부터 2020년 10월 28일까지 서울과 인천 2개 지역의 노인대학, 재가복지센터, 복지관등의 65세 이상 여성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를 한 91명의 설문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로는 한국어판 단축형 노인 우울척도(조맹제 등 1999), 자아존중감 측정도구(전병재, 1974), 한국어판 수정 삶의 질 측정도구(민성길, 2000)을 사용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PASW) for Window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들의 우울 평균점수는 4.60±4.18점으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정도의 차이는 연령, 외부활동 참여여부, 경제수준에 대한 자기인식, 지각된 건강상태에 따라 우울정도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아존중감 영역의 전체 평균점수는 2.73±0.42점이었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 정도는 연령별, 경제수준에 대한 자기인식, 월수입, 지각된 건강상태에 따라 자아존중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삶의 질 영역에 대한 전체 응답자의 평균 점수는 2.94±0.58점이었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차이를 분석한 결과 경제수준에 대한 자기인식, 월수입, 지각된 건강상태에서 삶의 질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우울, 자아존중감, 삶의 질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우울이 낮을수록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음(-)의 상관관계가 있으며(r=-.695, p=<.001),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729, p=<.001). 우울, 자아존중감, 경제수준에 대한 자기인식, 월수입, 지각된 건강상태 등 5개 변수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쳤고 우울, 자아존중감과 일반적 특성 중 경제수준에 대한 자기인식(어려운편), 월수입(70만원 이상), 지각된 건강상태(좋음)를 다중회귀분석 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5개의 변수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F=40.276, p=<.001).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는 자아존중감이(β=.402, p=<.001)로서 가장 높은 영향을 주는 변수였고, 우울(β=-.232, p=.019), 월수입(β=.235, p=<.001), 경제수준에 대한 자기인식(β=-.158, p=.015), 지각된 건강상태(β=.159, p=.032)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모형의 설명력은 69%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우울, 자아존중감을 비롯해 지역사회 여성독거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을 파악하여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풍요롭게 할 수 있는 정책 마련과 구체적인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 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요 개념어:여성노인, 자아존중감, 우울, 삶의 질; Impacts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on quality of life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the community Lee, Young Joo The Graduate School of Clinical Nursing Hanyang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Shin, Yong Soon, PhD, RN Along with the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the elderly women living alone have a longer average life expectancy than men, and experienc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pain due to the special environment and poor conditions due to changes in family form. Under the fragile environment, people have no choice but to suffer from high depression, low self-respect, and changes in quality of life, which have emerged as an overall problem in society, not an individual problem for the elderly. However, while there are currently many prior studies on elderly people living alone, women, or elderly people being cared for in facilities, there are not many studies conducted on elderly women living alone with many potential and practical problems living in the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policies and nursing arbitration program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y identifying the depression,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the community, which show a steady increase in the trend, and by identifying variable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As a transversal research study,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analyzed from October 23, 2020 to October 28, 2020, by 91 elderly women aged 65 or older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including Senior college, home centers, and welfare centers in Seoul and Incheon. For research tools, we used the Korean version of the shortened elderly depression scale (Jo Mengje et al. 1999), the self-respecting measurement tool (Jeon Byung-jae, 1974),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quality of life measurement tool (Min Seong-gil, 2000), and the data analysis used the SPSS (PASW) for Window 21.0 statistical program to actual number and percentages, t-test, ANOVA' Scheffe'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average score of depression among the subjects was 4.60 ± 4.18, and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depress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age, participation in external activities, self-awareness of economic levels, and perceived health conditions. The overall average score for the self-esteem area was 2.73 ± 0.42,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steem depending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depending on age, economic level self-awareness, monthly income, and perceived health conditions. The average score of all respondents in the quality of life area was 2.94 ±0.58, and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quality of life in self-awareness, monthly income and perceived health conditions for economic levels.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shows that the lower the depression, the higher the quality of life (r=-.695, p=<.001), the higher the sense of self-esteem, the higher the quality of life (r=729, p=<.001). Five variables - depression, self-esteem, self-awareness of economic level, monthly income, and perceived health condition - affected the quality of life and re-analyzed self-awareness (difficult), monthly income (more than 700,000 won), and perceived health (good)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five variables affect the quality of life.(F=40.276, p=<.001). The magnitude of the influence that affects quality of life is self-esteem (β=.402, p=<.001) It w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and was depressed (==-.232, p=.019) monthly income (β=.235, p=<.001), self-awareness of economic level (β=-.158, p=.015), perceived health condition (β=.159, p=.032) It was analyzed that the effects. The model's explanatory power was 69%.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identify various variables that affect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in the community, including depression and self-respect,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policies and specific nursing arbitration programs that can improve and enrich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Key Words:Elderly Women, Self-Esteem, Depression, Quality of Lif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909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86338
Appears in Collections:
ETC[S]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