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9 0

대학생의 실제-이상 자기불일치와 인터넷 중독의 관계

Title
대학생의 실제-이상 자기불일치와 인터넷 중독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Actual/Ideal Self-Discrepancy and Internet Addiction of College Students : Mediation Effects of Experiential Avoidance and Moderation Effects of Family Function
Author
이소영
Alternative Author(s)
Lee, So Young
Advisor(s)
장유진
Issue Date
2021.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실제-이상 자기불일치와 인터넷 중독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와 가족기능( ‘가족 적응성’, ‘가족 응집성’ )의 조절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해 전국의 19세부터 29세의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제-이상 불일치 척도, 인터넷 중독 척도, 경험회피 척도, 가족기능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과 SPSS PR0CESS Macro 3.5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 간 상관분석 결과, 실제-이상 자기불일치, 인터넷 중독, 경험회피, 가족적응성과 가족응집성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실제-이상 자기불일치 수준이 높을수록 인터넷 중독 경향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경험회피는 대학생의 실제-이상 자기불일치와 인터넷 중독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실제-이상 자기불일치와 인터넷 중독 간의 관계에서 가족기능의 각 차원인 가족적응성과 가족응집성이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의의와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에 대한 연구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둘째, 대학생의 실제-이상 자기불일치가 인터넷 중독으로 이어지는 구체적 심리적 기제인 경험회피를 확인하고, 세 변인을 통합적으로 살핀 것으로 기존의 선행연구 결과를 훨씬 확장하였다. 셋째, 대학생의 실제-이상 자기불일치의 문제로 인해 인터넷 중독에 빠지는 대학생들을 상담할 경우, 경험회피에 초점을 둔 직면과 심리적 수용을 위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해 주었다. 넷째, 대학생의 실제-이상 자기불일치의 문제로 인해 인터넷 중독에 빠지는 대학생들을 상담할 경우, 가족기능을 높이기 위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해 주었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의 연구 방향 또한 논의에 포함하였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905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85931
Appears in Collections:
ETC[S]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