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38 0

남녀 중년 성인의 권태 성향 및 외로움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의 관계에서 소외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 효과

Title
남녀 중년 성인의 권태 성향 및 외로움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의 관계에서 소외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 효과
Other Titles
The Mediating Effects of Fear of Missing Out and Gender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Boredom Proneness, Loneliness and Over-Dependence on Smartphone for Middle Aged Adults
Author
이주연
Alternative Author(s)
Lee, Joo Yeon
Advisor(s)
하정희
Issue Date
2021.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남녀 중년 성인의 권태 성향, 외로움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의 관계에서 소외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 효과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만 40세~만 60세 한국중년기 성인 398명(남자 163명, 여자 235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과 AMOS 26.0을 사용하여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고 최종모형의 매개효과 유의성 및 다중집단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성인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스마트폰 과의존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살펴보았으며, 성별과 연령에 따라 스마트폰 과의존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중년 성인의 권태 성향, 외로움, 소외에 대한 두려움, 스마트폰 과의존 각 변인들이 서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음을 보였다. 셋째, 소외에 대한 두려움이 권태 성향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 효과를, 외로움과 스마트폰 과의존 관계에서 소외에 대한 두려움의 완전 매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권태 성향, 외로움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이 스마트폰 과의존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매개 역할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측정 동일성 검증과 다중집단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 동일성 분석에 의하면 남녀 집단이 측정 도구를 동일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측정 동일성이 적정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권태 성향, 외로움 소외에 대한 두려움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에 있어서 남녀 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각각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 있어서 남녀 간 차이가 관찰되었으며, ‘소외에 대한 두려움 ➝ 스마트폰 과의존’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의의는 중년 성인의 권태 성향, 외로움이 소외에 대한 두려움을 매개로 하여 스마트폰 과의존에 이르는 경로에서 남녀 간에 차이가 있음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상담 장면에서 개입 근거를 마련하고 연구의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주요어: 중년기 성인, 권태 성향, 외로움, 소외에 대한 두려움, 스마트폰 과의존, 성별 차이, 다중집단 분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fear of missing out and gender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boredom proneness, loneliness and over-dependence on smartphone for middle aged adul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98 adults(male 163, female 235) who were selected between 40 and 60 of aged. This study conducted verification of the measurement model and the structure model through SPSS 20.0 and AMOS 26.0 and analyzed mediating effect significance and multi group of the final model. The following are the study results. First, it was examined whether there is as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 and middle aged adults of age in the degree of influence of over-dependence on smartphone. There was difference in the degree of influence between the gender and age. Second, in the case of middle aged adults, the boredom proneness and lonelines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with fear of missing out, and over-dependence on smartphone. Third, fear of missing out par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oredom proneness and over-dependence on smartphone, and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over-dependence on smartphone. Forth, measurement equivalence and multiple 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fear of missing out an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boredom proneness, loneliness and over-dependence on smartphone. It was examined whether there is as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the degree of influence of fear of missing out an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boredom proneness, loneliness and over-dependence on smartphone. There was difference in the degree of influence between the gender, and the interaction patterns of ‘fear of missing out ➝ over-dependence on smartphone’ were found to be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the pathways mediated of fear of missing out and gender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boredom proneness, loneliness and over-dependence on smartphone for middle aged adults. It also provided a basis for intervention in the counseling scene and discussed limitations of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Key words: middle aged adults, boredom proneness, loneliness, fear of missing out, over-dependence on smartphone, gender difference, multi-group analysi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905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85901
Appears in Collections:
ETC[S]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