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9 0

니토베 이나조·량치차오·신채호의 무사도·화랑도 수립 비교 연구

Title
니토베 이나조·량치차오·신채호의 무사도·화랑도 수립 비교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Exploration of the Busido/Hwarangdo of Nitobe Inazo, Liang Qi-Chao, and Sin Chae-Ho
Author
최형욱
Keywords
무사도; 화랑도; 니토베 이나조; 량치차오; 신채호; 상무정신; 국민성; Busido; Hwarangdo; Nitobe Inazo; Liang Qi-Chao; Sin Chae-Ho; Militaristic spirit; National character
Issue Date
2020-01
Publisher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Citation
동양학, No. 78, Page. 93-116
Abstract
근대 전환기 서세동점의 시기에 한중일 삼국의 민족주의·계몽주의 지식인들은 우승열패·적자생존의 엄혹한 시대환경 속에서, 전파자/가해자인 서구의 정신문화는 물론이고 수용자/피해자인 한중일 자신의 정신문화에 대해서도 성찰하고, 대체로 민족주의적, 심지어 군국주의적인 경향 속에서 위기를 극복하고 나아가 부국강병을 이룰 수 있는 방법들을 찾고자 노력했다. 한중일 지식인들은 무엇보다 국민·국가 – 국민성·국가정신을 수립하고 유지하려는 소명의식을 지니고 있었다. 간략히 정리하면, 사회진화론 → 민족주의·계몽주의 → 국민성담론 → 국혼론의 사유흐름 속에서 이상적 국민성을 모색하며 특히 상무정신을 고취하고자 했고, 이때 그 표상으로서 무사도·화랑도를 수립하고자했다. 무사도·화랑도는 한중일이 전환 또는 위기의 국면을 맞아, 국가와 국민이라는 개념부터 만들어가며 이를 어디로 어떻게 이끌고 나가야 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한 지식인들의 해답 중 하나였다고 할 수 있다. 무사도·화랑도의 수립에 노력을 기울이고 성과를 거둔 대표적인 인물로는 일본의 니토베 이나조, 중국의량치차오, 한국의 신채호를 꼽을 수 있다. 그들이 추구했던 것은 근대 전환기 또는 수난기에 국가를 부국강병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진취적이고 강건한 리더십과 그것이 일반 국민들에게까지 보편적으로 내면화되는 것이었다. 이에 자국의 고대 역사·인물로부터 그 모범을 추출하여 정립하고, 자신들의 문학가·사학자·언론인·교육자로서의 역량을 발휘하여 대내외적으로 선전·계몽하는 데 진력했다. 차이가 있다면, 당시 그것이이미 상당히 진행되고 이미 군국주의적 성과도 이룬 일본의 경우는, 무사도론을 통해 그 기제와 자신들의 성과를 대내외적으로 설명하거나 과시하는 데 중점을 두었고, 한창 절실하게 필요성을 느낀 한중의 경우는 개념을재구하고 계몽·선전하는데 힘썼다는 점이다. 물론 오늘날의 관점에서 보면, 무사도·화랑도론은 민족주의 기반 위에서 계몽주의와 군국주의를 결합시킨산물로서의 한계가 있지만, 니토베·량치차오·신채호 등 선각자들도 한창 ‘상상의 공동체’를 만드는 데 매몰되어 전혀 여유가 없었고, 특히 량치차오·신채호의 경우는 국가적으로 참담한 수난을 당하는 입장에서 현실적 고려가 우선이었을 것으로 이해된다. The key point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fact that Nitobe Inazo, Liang Qi-Chao and Shin Chae-Ho, the leading intellectuals of Japan, China, and Korea, respectively, developed a discussion of spiritual culture, including Busido, Militaristic spirit, National character, and National spirit in the face of the turbulent modern transition period. Nationalists and enlightened intellectuals tried to reflect on the Western spirit culture, as well as their own spiritual culture, in largely a nationalist and even militaristic trend, to find ways to overcome the crisis of the transition and achieve a strong and rich nation. The intellectuals of Korea, China and Japan had a sense of duty to establish and maintain the equilibrium of the people, the nation, and the national spirit, among other things. In short,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 Nationalism → Enlightenment → the discourse of National character → Militaristic spirit was promoted in the stream of the national confusion, and at that time, Busido and Hwarangdo were to be established as symbols. Busido and Hwarangdo were some of the answers of the intellectuals who thought about where and how to lead the three nations in the face of a transition or crisis. Among the representative figures who have made efforts and made achievements in the establishment of Busido and Hwarangdo are Japan’s Nitobe Inazo, China’s Liang Qi-Chao and Korea’s Shin Chae-Ho. What they sought was an enterprising and robust guidance that could lead the nation to might and wealth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that could be universally internalized to the general public. In this regard, the figures extracted and established an example from their own country’s ancient history and characters, and exerted their ability as a writer, historian, journalist, and educator to promote and enlighten the people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5440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8846
ISSN
1229-3199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S](인문과학대학) > CHINESE LANGUAGE & LITERATURE(중어중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