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0 0

한국 현대 소설과 정치성

Title
한국 현대 소설과 정치성
Other Titles
Politics reflected in Korean modern novels
Author
현길언
Keywords
소설과 헤게모니; 소설과 지배이데올로기; 소설의 정치성; 소설의 본질; 변동기 사회와 소설
Issue Date
2003-06
Publisher
한국현대소설학회
Citation
현대소설연구 no. 18, page. 29-54
Abstract
이 글에서는 한국 현대소설에 나타난 정치 권력의 실상을 통시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변동기 사회에서 정치와 소설의 관계를 논의하려 한다. 변동기 사회에서는 소설이 헤게모니를 강력하게 행사하여 지배이데올로기의 기반을 마련하는데 기여하도록 정치성을 발휘하게 된다. 한국은 근대사회로 진입한 이후에 정치이데올로기가 사회 문화 전 분야를 선도해 왔기 때문에 소설도 여기에 바탕을 두고 헤게모니를 행사하여 왔다. 그러한 사실은 통시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대한제국 과도기 신소설은 동시대 사회를 계도하는 근대화 이데올로기를 적극적으로 교육 전파하였다. (2) 3.1운동 이후 일제 강점기 소설은 민족주의와 사회주의적 성향을 띄게 되는데, 이것은 식민체제를 극복하려는 정치이념의 한 발로였다. (3) 해방 이후 정부수립 기간에 소설이 지향했던 자유민주주의와 사회주의는 세계 동서 냉전체제의 조류에 따른 이념적 성향이지만, 그것은 역사 전환기에 새 국가 체제를 지향하는 열망으로서, 이러한 소설의 성향은 문학적이면서 정치적이다. (4) 한국전쟁기에 자유주의와 인간주의는 결국 반공이데올로기와 호응하게 된다. (5) 군사정부시대에 통치 이데올로기를 강화하기 위한 민족주의 이데올로기는 인간의 자유와 정치의 민주화를 요청하여 소설에서는 자유와 억압의 문제로 일반 대중의 가치로 자리잡게 된다. (6) 1980년대 민주주의 과도기에는 민주화가 민족주의와 손잡고 헤게모니를 행사했는데, 그 여력은 2000년대까지도 지속되었다. 이 이데올로기는 1990년대에 민족 통일이라는 정치이념으로 위장되어 나타나는데, 그 예를 황석영의 <손님>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작품에서는 민족주의 입장에서 마르크시즘과 기독교를 극복할 때에 조국통일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면에는 새 체제를 지향하는 정치적 의도가 숨어 있다. 한국근대소설에 나타난 이러한 소설의 정치성은 소설의 본질 문제이다. 소설과 정치의 관계는 변동기 사회에서 새 세계를 꿈꾸는 문학의 정치성과 새 체제를 구축하려는 정치의 낭만적 혁명성이 만남의 결과이기 때문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political power reflected in Korean modern novels and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power and novels. In the period of political upheaval, novels contributes a lot in developing the ideology for the power. Since Korea became the modern society, poIitical ideology dominated all the aspects of society and culture and thus, novels also reflected this tendency. The following examples can be given for this tendency. (1) The so-called "New Novels" during the DAEHANJEKUK had spread the modern ideology which dominated and led the thought of the society. (2) After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and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Korean novels reflected nationalism and socialism and these tendencies showed the political desire of people to overcome the Colonization. (3) After the liberation, democracy and socialism were depicted in novels that were the main ideology during the period of cold war. These novels reflected political desire of the people for the new country during the politically transitional period. (4) During Korean war, novels reflected democracy and humanism, which were then mixed with anti-communism. (5) During the period of military regime, the nationalism had dominated. This resulted in the suppression of the people s freedom and democracy and thus, novels started to deal with the problems related with people s desire of freedom and political democracy. (6) During 1980s, nationalism wilded a great power and continued to show its power until 2000s. Nationalism was combined with democracy and the ideology was disguised as the desire for the reunification of people in North and South. One such example is Guest by Hwang Suk-Young. The author argues that the real sense of reunification and reconcilation between people in the South and the North can take place only if one can overcome Marxism and Christianity with Nationalism. The political tendency shown in Korean modern novels is one of the basic tenets of novels. The political tendency of novels, the desire to construct a new society, meets with the romantic revolutionary thought of politics, and thu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novels and politics has resulted.
URI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66987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5806
ISSN
1229-3830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E](국제문화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