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0 478

면세점 휴게공간의 실내 공간 특성 연구

Title
면세점 휴게공간의 실내 공간 특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terior Space Characteristics of Consumer Rest Space in Duty Free Shops
Author
황연숙
Keywords
면세점; 휴게공간; 실내공간; 배치유형; 공간특성; Duty Free Shop; Rest Space; Interior Space; Layout Type; Space Characteristics
Issue Date
2019-12
Publisher
한국공간디자인학회
Citation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v. 14, no. 7, page. 509-520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소비자의 수요가 다양해짐에 따라 면세점 판매 공간의 기능에 대한 관심보다 고객들의 휴게공간에 대한 관심이 더 많아지고 있다. 휴게공간은 사람들이 쇼핑 활동을 하면서 잠시 휴식을 취하는 장소로, 실내공간의 수준을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휴게공간의 실내디자인, 편리성, 쾌적성 등은 고객들에게 면세점 전체 이미지에 대한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지금까지 면세점에 관한 연구 중 대부분의 논문은 면세점 판매 공간에 대한 연구에 치중하고 있으며, 실내 휴게 공간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면세점 실내 휴게공간의 공간특성에 대해 분석하고, 면세점 휴게공간의 배치 및 공간특성을 파악하여 앞으로 새롭게 출현할 면세점 휴게공간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및 범위) 본 연구의 범위는 서울에 위치한 6곳의 면세점 휴게공간을 대상으로 실내공간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먼저 이론적 고찰을 통해 면세점과 휴게공간의 개념과 구성 등을 분석하였다. 그 후 휴게공간의 특성에 대한 분석의 틀을 마련하기 위한 선행연구를 진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사례조사 대상에 대해 분석 요소로 도출된 편리성, 접근성, 인지성. 쾌적성의 표현특성에 따라 면세점 휴게공간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사례별 비교 분석을 통한 최종적인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과) 조사대상의 공간특성은 두 개 사례를 제외하고 대부분 사례에서 엘리베이터 옆에 휴게공간이 설치되어 있었으며 접근성, 인지성, 쾌적성, 편리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문 휴게공간은 모든 사례에서 설치되어 있었으며 편리성, 쾌적성, 인지성, 접근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즉, 휴게공간은 엘리베이터 위치에 따른 쇼핑공간과 접근이 용이하도록 계획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전문 휴게공간은 다양한 편의시설 및 가구배치 등을 통해 다양성과 선택성을 제공함으로써 편의를 높여주고, 공간의 구획을 통한 소음의 차단, 자연채광의 유입 등으로 쾌적성을 높였다. (결론) 6곳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면세점 휴게공간 특성 중 인지성과 쾌적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은 편리성이었으며, 접근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대부분 사례의 휴게공간은 다양한 조명과 가구 배치 등의 색채, 마감재 등 사용을 통해 다른 공간과 명확하게 구분하였으며, 휴게공간은 조절 장치를 통해 온도, 통풍, 환기 등을 양호하게 조절하였고, 자연채광과 인공조명을 사용하여 공간의 쾌적성을 제공하였다. 휴게공간은 쇼핑공간과의 접근성도 중요하며, 동시에 이용자들에게 휴게공간에서의 프라이버시의 확보도 함께 계획되어야 한다. 또한 휴게공간을 인지하기 쉽도록 하는 안내도나 사인이 명확히 설치 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구의 개수, 다양성을 두어 사람들이 불편함 없이 이용할 수 있고, 다양한 고객들의 편의성을 고려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Background and Purpose)With the diversification of consumer demand, people have paid more attention to the rest space than the function of the duty-free sales space. The rest space is a place where people rest during shopping space activities. The convenience and comfort of the space and the layout design directly affect people's satisfaction with the overall image of the duty-free store. So far, most documents for duty-free stores focus on the sales space of the duty-free store and the external floor space of the build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interior resting space of duty free shops,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on the new duty free rest spaces by grasping the layout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duty free shop resting space.(Method)The scop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six duty-free shops in Seoul. As for the research method, space characteristics for case analysis were deducted through the contemplation of precedent studies on the concept of space composition of rest spaces in duty free shops. Convenience, accessibility, awareness and comfort, which were deducted as analysis elements of rest spaces, were analyzed for each case and final conclusion was deducte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Results)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ed subjects were located next to the elevators of all surveyed subjects except two cases were in order of accessibility, cognition, comfort and convenience. In all cases, professional rest spaces were installed, followed by convenience, comfort, cognition and accessibility. In other words, rest spaces are often planned to be easily accessible to shopping spaces according to the elevator location, and specialized rest spaces increase convenience by providing diversity and selectivity through various amenities and furniture arrangements, and partitioning of spaces. (Conclusions)As a result of analyzing 6 cases, cognition and comfort were the highest among rest space characteristics, followed by convenience and lowest accessibility. In most cases, the resting space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other spaces through the use of various lighting and furniture arrangements, colors, and finishes. The resting space is well controlled by temperature control, ventilation, and ventilation through the control device. In the rest space, access to the shopping area is important, and at the same time, the privacy of the resting space should be planned for the users.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install a guide map or a sign that makes it easy to recognize the resting space, and it is necessary for people to use without inconvenience due to the number and variety of furniture, and to consider the convenience of various customers.
URI
https://www.kci.go.kr/kciportal/landing/article.kci?arti_id=ART002537176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5730
ISSN
1976-4405
DOI
10.35216/kisd.2019.14.7.509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 ECOLOGY[S](생활과학대학)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면세점 휴게공간의 실내 공간 특성 연구.pdfDownload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