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42 0

공동체 문화 실험공간으로서 청년 셰어하우스

Title
공동체 문화 실험공간으로서 청년 셰어하우스
Other Titles
Youth Share House as an Experimental Place of Communal Living : An Ethnographic Study on a Housing Cooperative
Author
한효주
Alternative Author(s)
Han, Hyo Joo
Advisor(s)
정병호
Issue Date
202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한 셰어하우스에 입주한 청년들이 주거공간을 공유하는 과정을 참여 관찰한 것으로 이를 통해 주거공간 공유라는 주거 양식이 청년들에게 미치는 영향과 그 특징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셰어하우스는 다수가 한 집에 살면서 개인공간은 확보하되 거실, 주방, 화장실 등과 같은 공간이나 설비는 공유하는 주거공간이다. 기존의 가족, 친척과 같은 혈연관계를 중심으로 주거공간을 꾸려왔던 것과 달리 이해관계를 중심으로 새로운 주거공간이 시도되고 있다. 셰어하우스의 등장 배경에는 1인 가구가 증가하는 인구사회학적 맥락과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 열악한 1인 주거환경의 개선 요구가 정책적 과제로 떠오른 것과 관련돼 있다. 민간영역에서는 청년들의 경제적인 어려움을 해소하고 주거환경을 개선할 대안으로 셰어하우스라는 주거유형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본 연구의 대상인 A주택협동조합의 A셰어하우스도 청년주거문제 해결을 주요 목적으로 청년들 간의 협력과 연대를 추구한다. 주거문제 해결을 위해 입주자들은 1차적으로 부담가능한 비용으로 주거지를 찾는 과정에서 셰어하우스를 선택하였으며 공동체 경험을 추구하는 A조합의 A호 셰어하우스에서 관계 형성을 기대했다. 매월 진행되는 반상회는 입주자들이 생활문제를 대면하고 규칙들을 재정립해나가는 상호협력의 장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입주자들은 평등하고 공정한 공동체를 만들고자 노력하면서 가사노동은 최소한으로 분담하고 나머지 부분은 입주자의 능동성을 강조하는 모호성을 나타냈다. 이런 모호함과 공유의 불명확성은 공동체의 잠재적 위기 요소로서 갈등을 불러일으키는 주요 요인이었다. 한편 이들은 일상생활을 공유하면서 안정적 관계를 형성했다. 고민을 상의하고 여가생활을 함께 즐기고 자발적인 소모임을 형성하는 등 공동체 활동을 다양하게 만들어나갔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입주자들은 2인실과 같은 개인 공간 부족과 공동체에 대한 부담 등으로 자기만의 공간을 찾아 퇴실했다. 특히 의지했던 입주자의 퇴실로 인한 관계 상실과 새로운 입주자와의 만남을 반복하는 불안정한 상황은 남겨진 입주자에게 큰 부담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입주자 간 공동체 생활에 대한 상이한 이해는 반상회를 통해 조정되었지만 과정의 반복은 부정적인 감정을 누적시켰으며 결과적으로 퇴실로 이어졌다. 한편 최근 청년주거정책이 확대되면서 입주자들은 셰어하우스보다 경제적으로 유리한 1인가구의 주거로 이동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으로 보았을 때 청년 주거문제에 있어 셰어하우스라는 대안은 개별화된 공간으로 정착하기 전 단계인 임시적 대안으로서 존재할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는 민족지 연구를 통해 셰어하우스에서 작동했던 청년들의 공동체성에 주목했다. 공간의 공유와 가사노동의 문제는 공동체의 주요한 문제임이 다시금 드러났지만 청년들의 일상생활을 통해 공동체적 가능성도 나타났다. 본 연구는 1인가구의 개별화가 당연하게 여겨지는 사회에서 함께 삶을 시도했던 청년 셰어하우스의 실험적 의미를 포착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338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834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ULTURAL ANTHROPOLOGY(문화인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