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5 0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Title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Academic Achievement of Foreign Students-Purpose of Improvement the Curriculum-
Author
김향숙
Advisor(s)
조성문
Issue Date
202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국내 외국인 유학생이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한국어 능력의 부족과 한국 문화 및 대학의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중도에 탈락하는 외국인 유학생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교육과정 및 비교과 프로그램의 보완을 통해 학업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학업성취도는 대학 성적의 누적학점(GPA)으로 측정하였으며,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학습자 변인으로 한국어 능력, 수업태도, 수업만족도로 분류하고, 한국어 능력은 TOPIK 성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수업태도의 하위 항목으로 수업이해도(강의내용 이해, 교재내용 이해, 강의 프레젠테이션과 판서의 이해), 수업참여도(출석, 강의집중), 과제성실도(과제제출, 예습·복습)로 분류하고, 수업만족도는 수업전반에 대한 만족도와 강의추천 의사를 하위 항목으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산에 소재한 H 대학교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 16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9.3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우선 설문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두 번째로, 학습자 변인인 한국어 능력(TOPIK 등급: 3급∼6급)과 학습자의 수업태도, 수업만족도와 학업성취도 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세 번째로, 한국어 능력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상자들이 취득한 TOPIK 등급을 독립변수로, 대학 성적을 종속변수로 하여 일원분산분석 (one-way ANOVA)과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네 번째로, 학습 관련 변인(학습자의 수업태도 및 수업만족도)과 한국어 능력(TOPIK 등급: 3급∼6급)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습 관련 변인(학습자의 수업태도 및 수업만족도)과 한국어 능력(TOPIK 등급: 3급∼6급)을 독립 변수로, 대학 성적을 종속변수로 하여 일원분산분석과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다섯 번째로, 한국어 능력 및 학습 관련 변인(학습자의 수업태도 및 수업만족도)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한국어 능력(TOPIK)과 학업성취도는 r=.3083으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이러한 결과는 토플과 GPA 사이의 상관성에 관한 다수의 해외 연구에서 제시한 상관과 비슷한 상관도를 보여주며 한국어 능력(TOPIK)이 비교적 높은 학업 예측타당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국어 능력(TOPIK 등급)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값 5.41, p값 0.0016). TOPIK 6급인 응답자의 학업성취도가 가장 높고(M=3.6400), TOPIK 3급 응답자의 학업성취도가 가장 낮았다(M=2.9859). 또한 TOPIK 등급 간의 구체적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3급 학생보다 6급 학생이 학업성취도가 더 높게 나온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어 능력이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한국어 능력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 역시 높게 나타남을 보여준다. 안위 외(2016), 전정미(2017), 전요한(2017), 강윤이(2018), 장자추(2018) 등의 연구를 지지하는 결과이다. 2. 수업태도의 하위 항목인 수업이해도(강의내용 이해, 교재내용 이해, 강의 프레젠테이션과 판서의 이해), 수업참여도(출석, 강의집중), 과제성실도(과제제출, 예습·복습)의 상관관계에서는 수업이해도의 한 요인인 강의내용 이해도와 대학 성적은 r=.2300의 상관을 나타냈으며(p˂.001), 프레젠테이션과 판서 이해도와는 r=1812로 각각 긍정적인 상관을 나타냈다(p˂.05). 이는 수업이해도의 하위 항목 중 강의내용과 판서 등을 잘 이해할수록 대학에서 높은 성적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수업이해도의 하위 항목 중 교재내용 이해도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수업참여도의 하위항목(출석, 강의집중) 중 출석과 학업성취도와는 r=.1945로 긍정적인 상관을 나타냈다(p<.05). 출석과는 다르게 강의에 얼마나 집중하여 수업을 듣는지를 나타내는 수업집중도는 학업성취도와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제 성실도의 하위 항목인 과제제출은 r=.2215로 학업성취도와 긍정적인 상관을 나타냈으며(p<.05), 예습․복습은 학업성취도와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성적과 긍정적인 상관도를 보인 출석과 과제제출의 경우 학점 산정 항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학습자 변인간의 상관관계에서 수업태도의 하위 항목인 강의내용 이해도, 교재내용 이해도, 프레젠테이션과 판서 이해도 모두 수업태도 요인과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이는 강의와 교재 내용을 잘 이해하는 학생이 수업에 집중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이러한 좋은 수업태도를 가진 학생이 결국 높은 학업성취도를 달성할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3. 수업만족도의 하위 항목인 수업만족도와 수업추천도는 대학 성적과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강의에 만족하고 수업을 추천한다고 해서 대학 성적이 높은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이상의 결과 분석을 통하여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해 보고자 한다. 1.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맞춤형 교육과정 편성을 제안한다.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결과 한국어 능력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태도와 학업성취도와의 상관관계에서는 수업이해도의 하위 항목인 강의 내용 이해도, 프레젠테이션과 판서 이해도, 과제 성실도의 하위 항목인 과제 제출과 학업성취도와의 긍정적인 상관도를 나타냈다. 외국인 유학생의 성공적인 학업수행을 위해서는 전공이수에 필요한 한국어 능력과 기초소양을 충분히 쌓은 후 전공에 진입할 수 있도록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전공별 맞춤형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제도화해야 한다. 한국어 능력에 따라 내실 있는 기초 교양과목을 단계별로 개설하고, 전공 학문을 탐구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지성인으로서 성장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교과목을 개설해야 한다. 요약하면, 1학년에는 한국어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한국어 기초 교양과목을 집중 개설하고, 2학년에는 전공에 진입할 수 있는 전공기초 과목을 개설하며, 3, 4학년에 비로소 전공과목을 이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제도적으로는 1학년에는 한국어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기초 교양과목을 필수로 지정하고 미 이수 시 강제 휴학이나 유급을 시키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 2.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 활성화를 제안한다. 유학생들은 한국어로 진행되는 수업에서 발표하기, 과제물 작성하기, 토론 하기, 강의내용 이해하기, 교재내용 이해하기 순으로 어렵다고 느끼고 있었다. 또한 교양수업의 내용을 70%이상 이해하는 학생은 33%에 불과했고, 전공수업의 내용을 70%이상 이해하는 학생도 36%로 나타났다. 외국인 유학생들이 학업 부진과 학교생활 부적응으로 인해 중도에 이탈하는 것을 막고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을 유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춰 설계하고 기획하여 많은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비교과 프로그램이 아무리 좋아도 외국인 유학생들과 내국인 학생들이 참여하지 않는다면 아무 소용이 없다. 대학은 내·외국인 학생들에게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참여하는 학생들에게 매력적인 보상을 하여 더 많은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야 한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334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863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LINGUISTICS AND LITERATURE SCIENCE(어문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