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5 0

국내 공공청사 신축 및 이전에서 일정과 비용 계획이 실제 프로젝트 결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

Title
국내 공공청사 신축 및 이전에서 일정과 비용 계획이 실제 프로젝트 결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 of schedule and cost planning management on actual project results in the construction and relocation projects of domestic public buildings 
Author
이호현
Advisor(s)
강창욱
Issue Date
202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국내 공공청사는 이전 시대의 보수적이고 경직된 이미지를 벗어나 공간과 용도에 적합한 계획을 세우고, 기초자료를 토대로 현 시대에 부합하는 국내 공공청사 신축 및 이전 프로젝트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몇몇 공공청사 프로젝트에서 호화청사 논란이 있었으며, 주민과 공무원 관점에서 고려하지 않고 의도를 벗어난 프로젝트에 따른 다양한 문제점이 나타났다. 예를 들면 막대한 자원과 예산이 들어가는 대형 프로젝트임에도 불구하고, 에너지 다소비 상위 30위 안에 든 청사 중 10개 청사가 모두 최근 5년 사이에 지어진 청사이고, 주사용자인 공무원 및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공공청사의 공용공간이 위 대상자들의 관점과 의견을 고려하지 않은 프로젝트로 인해 공간의 이용률이 떨어져 나무만 보고 숲은 보지 못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이렇듯 공공기관의 신청사 건립공사는 사용자와 건축물의 목적을 고려하지 않은 채 이전에만 급급하여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호화청사 논란으로 정부에서는 법률을 개정하는 등 많은 노력을 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호화청사 논란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요구사항, 일정, 비용 등 프로젝트관리에 집중하였다면 호화청사 논란은 없었을 것이다. 공공청사 프로젝트에서 프로젝트관리가 부족한 부분을 도출해 내기 위하여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에 정보공개청구 및 미디어를 통해 공공청사 프로젝트 문제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위 자료를 토대로 프로젝트 착수 시 계획한 비용과 일정, 프로젝트 종료 후 실제 투입된 비용과 일정의 사례조사 자료를 Paired T-Test 분석을 실시하여 비용과 일정의 차이를 알아보았고, 비용과 일정의 상관관계 분석을 위해서는 비모수 스피어만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미디어 자료를 수집해 단어의 빈도수가 많은 단어들을 활용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PMI(Project Management Institute)의 PMBOK에서 정리한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그룹과 지식영역 하고 비교하여 국내 공공청사 신축 및 이전 프로젝트에서 프로젝트관리가 부족한 부분을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 번째, Paired T-Test를 통해 프로젝트 착수 시 계획한 비용과 일정, 프로젝트 종료 후의 비용과 일정은 차이가 없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두 번째, 비모수 스피어만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비용과 일정은 국내 공공청사 신축 및 이전 프로젝트에서는 상관관계가 없다는 흥미로운 결과가 도출되었다. 세 번째, 미디어 자료를 통한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단어들의 빈도수로 문제점을 파악하고, PMBOK의 프로젝트관리 프로세스 그룹과 지식영역을 위에서 파악한 문제점과 비교 한 결과 프로젝트의 기획단계에서의 프로젝트관리가 부족 했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앞으로 본 연구를 통해 국내 공공청사 신축 및 이전 프로젝트에서 프로젝트관리가 부족한 기획단계에서의 프로젝트관리를 통해 호화청사 논란이 없어지기를 기대한다.; There have been a lot of constructions and relocation projects in the Korean government buildings, which include trying to make suitable plans for the space and purpose as well as break stiff and conserve images from the past as to re-build more modernized images based on the basic material. However, there were extravagance issues in some government office projects and multiple problems caused by wrong projects off the point of residents and government employees’perspectives. For example, in spite of the huge project consumed massive resources and budgets, 10 buildings which were in the top 30 energy glutton buildings were built in the past 5 years. Due to these projects, non considering main users, who are the government employees and residents’ perspectives and opinions, the rate of using the space has been decreased. It led to the point not seeing the wood for the trees. For these reasons, the new government office constructions were too busy at just relocation to fulfill the purpose of user and building. Even though the government was reforming the related-laws, the extravagance issue has still been controversial. If they had focused on project management such as requirement, schedule, and budget, the extravagance issues would not have been even mentioned. To draw the lack of project management, we collected data concerning the government office’s projects issues through information release window, media of central administrative agency, and the local government. Based on the data collected, we demonstrated Paired T-Test analysis of the budget and schedule they planned during the project, and the ones put into after the project. The results showed the differences and demonstrated correlation analysis only on Non-Parametric Spearman Analysis. Collecting media data and using frequently used words, we drew the problems, compared project management process group managed in PMI(Project Management Institute)’s PMBOK to knowledge territory, and then deducted the management-insufficient point from Korean government office relocations and previous projects. The conclusions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ing: Firstly, through the Paired T-Test, we drew the result that there are not differences on the budget and schedule which were planned and put into during the project, and the ones where were done after the project’s done. Secondly,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on Non-Parametric Spearman Analysis, there are no correlation on the budget and schedule in terms of Korean government office’s construction and relocation, which is very interesting. Thirdly, through frequency analysis by the media data, we caught the point by the words’ frequency, compared PMBOK’s project management process group to knowledge territory, which led to the result that project management was insufficient at the point of the project planning stage.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 controversy over luxury government building could be eliminated through project management in the planning stage where project management is insufficient in the construction and relocation of public buildings in Korea.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325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836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MECHANICAL AND PLANT ENGINEERING(기계ㆍ플랜트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