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3 0

포스트드라마에서 극 공간과 관객의 상호작용 연구

Title
포스트드라마에서 극 공간과 관객의 상호작용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teraction of the Theatrical Space and the Audience in Postdramatic Theater
Author
전새미
Alternative Author(s)
Jeon Saemi
Advisor(s)
권용
Issue Date
202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포스트드라마의 확장된 공간성과 관객성, 그리고 이로 인해 새로운 양상을 띠게 된 극 공간과 관객의 관계를 조명함으로써 포스트드라마가 지향하는 ‘현존’을 공간과 인간의 관계를 통해 현상학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포스트드라마 연극’을 확립한 한스-티스 레만은 미메시스를 이루는 데에만 집중하던 동시대의 연극들을 비판하며 앞으로의 연극들은 기존의 관습적인 연극을 구성하던 요소들에서 탈피하고 새로운 연극성을 지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더불어 연극은 무수한 기호들의 총합으로써 이를 통해 이야기가 전개될 수 있으므로, 텍스트 중심의 드라마 진행에서 벗어나 연극이 수용할 수 있는 더 많은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포스트드라마에서 텍스트의 가치가 축소됨에 따라 ‘현존’이 대두되게 되었다. 현실과 연극을 넘나드는 포스트드라마의 ‘현존’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존재의 두 대상, 즉 공간과 관객의 본질에 대한 심도 있는 통찰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본 연구가 정의하는 포스트드라마에서의 ‘현존’은 철학가 에드문트 후설과 마르틴 하이데거가 주장한대로 인간은 공간을 인식했을 때 비로소 존재함을 깨닫는 점에서 이 둘의 근원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필수불가결한 관계라는 것에 기반을 둔다. 포스트드라마에서 관객은 자신의 신체를 통해 공간을 지각하고, 공간이 주는 자극에 반응함에 따라 자신을 포함한 공간 내의 존재들을 확인하는 과정을 겪게 된다. 이렇게 얻은 함께 존재한다는 인식, 그리고 같은 공간에서 벌어지는 퍼포먼스를 개별적으로 지각하되 함께 완성시키는 경험은 궁극적으로 극 공간을 다채로운 토론과 공동체 형성의 장으로 만든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현상학적으로 공간 구성이 관객의 몰입을 장려할 수 있도록 재배치되어야 극 공간과 관객의 상호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음을 강조하고, 관객이 연극을 일방적으로 경험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닌, 적극적으로 연극이 주는 존재론적 성찰과정을 겪을 기회를 확장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레만이 말한 대로 연극이 끊임없이 발전하기 위해선 현대 연극인들의 극 공간과 관객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며, 다양한 시도를 통해 ‘새로운 관객’과 연극 형식이 출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phenomenologically examine the very presentness of the Postdramatic Theater by focusing on its expanded spatiality and audienceship and the new dimens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eatrical spaces and Audience. Hans-Thies Lehmann, who established 'postdramatic theaters', criticized his contemporary theater practices that intransigently limited their realm to the traditional theater of representation, "Mimesis", insisting that they should transcend the confines of traditional customs and move toward finding new theatricalities. In his theory, theater is a composition of miscellaneous symbols, through which its narrative can be developed, and therefore it needs to escape from text-oriented narrative and actively use more diverse factors that it can embrace. Therefore, postdramatic theater considerably limited the value of the texts, which led to the emergence of the ideal of 'presentness'. To understand the ideal that straddles the line between the reality and the illusion, the study had to first philosophically explore the essences of 'space' and 'audience' in depth. The concept of 'presentness' in this study is based on the philosophies of Edmund Husserl and Martin Heidegger that human beings can realize their existence by perceiving their surrounding spaces and therefore the essences are mutually related and necessary to each other. In the postdramatic theater, the audience perceive the spaces with their bodies, and affirms the beings, including themselves, co-existing in the spaces, by reacting to the stimuli given by the spaces. The perception of coexistence and the shared experience of completing the performance happening in a same space (while perceiving it individually) eventually make the theatrical space be a place for lively discussions and community formation. From this angle, this study emphasizes that space should be phenomenologically reconfigured in a way that encourages audience's immersion to promote their interaction with it. It also emphasizes that theaters should maintain their efforts to avoid unilateral pattern of communication in traditional theaters, and provide more opportunities for their audience to actively experience the existential reflection through their practices. As Hans-Thies Lehmann said, this study calls for the continued research and interest of modern theatrologists, performers, and producers in spaces and audience, and anticipates that the 'post-audience' and the new forms of theater will be emerged through various attempts and approache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310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881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HEATER & FILM(연극영화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