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4 0

실감형 인터렉션 미디어 환경의 경험적 가치향상을 위한 프레즌스 요소에 관한 연구

Title
실감형 인터렉션 미디어 환경의 경험적 가치향상을 위한 프레즌스 요소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the Presence Factors for Improving the Experiential Value of Realistic Interaction Media
Author
성민정
Advisor(s)
김성훈
Issue Date
202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실감형 컨텐츠의 급성장과 비대면(언텍트) 디지털 경제의 가속화로 실감 미디어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사용자의 관점에서 감각과 인지를 유발하여 실제와 유사한 경험 및 감성을 확장하는 상호작용 기술로 기존과는 다른, 다양한 경험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이것은 미디어 몰입과정에 고려되는 속성들을 이해하는 것과 더불어 사용자의 경험에 의한 가치발현 정도를 해석하는 것은 실감형 인터렉션 미디어 환경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터렉션 환경의 실감 미디어인 실감형 인터렉션 미디 어 속에서의 사용자의 욕구와 몰입 특성을 고려하여 해당 미디어의 효율적인 사 용과 경험 만족도를 이끌어 내고자 실감형 인터렉션 미디어의 경험적 가치향상 을 위한 효과적인 프레즌스 요소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구체적인 연구 진행방법은 다음과 같다. 선행연구와 문헌연구 고찰을 통해 실감 미디어의 개념과 이해, 경험적 가치, 프레즌스의 개념과 구성 요소 등을 살펴보고, 실감형 인터렉션 미디어의 경험적 가치 유형을 ‘기능적 가치’, ‘정서적 가치’, ‘관계적 가치’로 분류하였다. 또한 미 디어 프레즌스 요소를 ‘감각적 프레즌스’, ‘지각적 프레즌스’, 물리적 프레즌스 ‘로 분류하였다. ’감각적 프레즌스‘의 세부요소는 가시감, 공간감, 시간감 ’지각 적 프레즌스‘의 세부요소는 아이콘, 텍스트, 물체인식 ’물리적 프레즌스‘의 세부 요소는 네비게이션, 입력 제스처, 맵핑으로 각 요소별 3가지 세부 요인을 도출 하였고 요소별 사례의 이미지와 영상을 추출하여 사용자 조사에 적용하였다. 사례를 통해 각 요소별 사용자의 경험적 가치 반응의 의견을 조사하고자 설문 을 실시하였으며, 설문 대상은 디지털 미디어 사용이 익숙한 20대 이상 50대 미만의 남, 녀로 설정하였다. 질문은 인구통계학적 특성 5문항, 감각적 프레즌 스에 관한 질문 9가지, 지각적 프레즌스 9문항, 물리적 프레즌스 9문항으로 설정하였으며, 기능적 가치, 정서적 가치, 관계적 가치 3섹션으로 도합 33문항으 로 구성하였다. 응답을 분석한 결과 각 실감형 인터렉션 미디어 프레즌스 요소마다 경험적 가 치 유형별 발현 정도가 다른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각 가치유형에 따라 사용자 가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세부요소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감각적 프레즌스, 지각적 프레즌스, 물리적 프레즌스 모두 3가지 경험적 가치 중 기능적 가치 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능적 가치의 경우 감각적 프레즌스에서는 공간감, 지각적 프레즌스에서는 물체 인식, 물리적 프레즌스는 네비게이션이 세부요소의 가장 긍정적인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크게 지각적 프레즌스, 물리적 프레 즌스, 감각적 프레즌스 순으로 긍정적인 반응이 나타났다. 정서적 가치의 경우 감각적 프레즌스에서는 시간감, 지각적 프레즌스에서는 물체 인식, 물리적 프레 즌스는 입력 제스처에서 가장 긍정적인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크게 감각 적 프레즌스, 물리적 프레즌스, 지각적 프레즌스 순으로 긍정적인 반응이 나타 났다. 마지막으로 관계적 가치의 경우 감각적 프레즌스에서는 시간감, 지각적 프레즌스에서는 물체 인식, 물리적 프레즌스에서는 네비게이션에서 가장 긍정적 인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크게 물리적 프레즌스, 감각적 프레즌스, 지각적 프레즌스 순으로 긍정적인 반응이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실감형 인터렉션 미디어는 획일적인 전략 구성이 아닌 각 요소에 맞는 복합적이고 체계적인 디자인 방안을 구현해야 할 필요성을 인지 하여야 한다. 또한 실감형 인터렉션 미디어 사용에 있어 각 요소를 구성하는 프 레즌스 요인을 고려한다는 것은 기존의 단순한 정보제공 형태의 미디어를 벗어나 생생하고 실재감 있는 미디어로서 사용자의 경험적 가치와 몰입을 더욱 향상 시킬 뿐만 아니라 미디어와 사용자 간의, 혹은 사용자와 사용자간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의 도구로 작용할 것을 기대할 수 있으며, 실감형 인터렉션 미디어 와 사용자의 경험적 가치에 맞는 전략적 몰입 구조를 구축해야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실감형 인터렉션 미디어 프레즌스 요소와 사용자의 경 험적 가치를 연구하여 해당 분야의 향후 연구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예측하며, 이를 통해 더욱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것을 기대하는 바이다. 또한 해당 분야 뿐만 아니라 다양한 3차원 미디어 분야에서의 사용자 경험분석 의 자료로써 미디어와 서비스 이용자간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도구 구축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될 것으로 전망하는 바이다.; With the rapid growth of realistic content and the acceleration of the non-face-to-face digital economy, interest in the realistic media environment has been augmented. As an interactive technology that expands experiences and sensibility similar to reality by inducing sensation and cognition from the user's perspective, it provides diverse experience environment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s. It is thus vital in the realistic interaction media environment to comprehend the attributes considered in the media immersion process and to interpret the degree of value expression based on the user's experienc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user's needs and immersion characteristics were considered in the realistic interaction media, the sensational media in the interaction environment. In order to elicit effective use and experience satisfaction of the media, we conducted a study of effective presence elements to enhance the empirical value of realistic interaction media. The specific research method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rough previous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the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realistic media, experiential values, and concepts and components of presence were examined. The empirical value type of realistic interaction media was categorized into 'functional value', 'emotional value', and 'relational value'. Furthermore, the media presence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sensory presence', 'perceptual presence', and ‘physical presence’. The detailed elements of 'sensory presence' are visual, spatial, and time. The detailed elements of' ‘perceptual presence' are icons, text, and object recognition. The detailed elements of' ‘physical presence' are navigation, input gesture, and mapping. Detailed factors were derived, and images and video of each case were extracted and applied for user surveys. A surve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opinions of users' experiential value responses for each element through cases, and the survey subjects were set to males and females between their 20s and 50s, who were familiar with using digital media. The questions were set to 5 demographic characteristics, 9 sensory presence questions, 9 perceptual presence questions, and 9 physical presence questions. It was composed of 33 questions in three sections: functional value, emotional value, and relational value. Having analyzed the responses, it was found that the expression level of each empirical value type was different for each realistic interaction media presence factor, and it was confirmed that each value type has a detailed factor that the user thinks positively. Sensory presence, perceptual presence, and physical presence have the highest functional value among the three empirical values. In the case of functional value, spatial sense in sensory presence, object recognition in perceptual presence, and navigation in physical presence are the most positive of the detailed elements. Positive responses were found in the order of perceptual presence, physical presence, and sensory presence. In the case of emotional value, time perception in sensory presence, object recognition in perceptual presence, and physical presence were the most positive responses in input gestures. Positive responses were found in the order of sensory presence, physical presence, and perceptual presence. Last not least, in relational value, the most positive response was found in the sense of time in sensory presence, object recognition in perceptual presence, and navigation in physical presenc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296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858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SIGN(디자인학부)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