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4 0

아동기 학대경험이 데이트폭력에 미치는 영향 : 거부민감성과 관계중독의 매개효과

Title
아동기 학대경험이 데이트폭력에 미치는 영향 : 거부민감성과 관계중독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Childhood Abuse on Dating Violence : Th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Relationship Addiction
Author
정하은
Advisor(s)
하정희
Issue Date
2020-0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아동기에 경험한 학대경험이 초기성인기의 데이트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거부민감성과 관계중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한 번 이상 연애경험이 있는 미혼의 20, 30대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아동기 학대경험과 데이트폭력(피해/가해), 거부민감성, 관계중독의 관계를 알아보고 둘째, 아동기 학대경험과 데이트폭력(피해/가해)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관계중독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아동기 학대경험 척도(CTQ-SF), 데이트폭력 척도인 갈등관리척도-1(CTS-1), 거부민감성 척도(RSQ), 관계중독 질문지(RAQ-30)를 사용하여 조사를 진행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293부를 통해 SPSS Statistics21를 사용하여 신뢰도 검증,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 으며 PROCESS macro v3.5와 통계 프로그램 AMOS 20.0을 사용하여 구조모형 검증과 부트스트래핑을 통한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주요 변인인 아동기 학대경험, 데이트폭력(피해/가해), 거부민감성, 관계중독 모든 변인 사이에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아동기 학대 경험과 데이트폭력(피해/가해)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은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아동기 학대경험과 데이트폭력(피해/가해)의 관계에서 관계중독은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넷째, 아동기 학대경험과 데이트폭력(피해/가해)의 관계에서 거부민 감성과 관계중독은 유의한 이중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아동기의 학대경험이 거부민감성을 높이며, 거부민감성은 관계중독의 경향성을 유발하여 데이트폭력의 피해와 가해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검증하였다. 이는 아동기 학대경험 자체가 데이트폭력(피해/가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거부민감성을 거쳐 관계중독의 성향을 가진 사람이 데이트폭력(피해/가해)로 가는 경로를 증명함으로써 거부민감성과 관계중독이라는 심리내적구조가 데이트폭력(피해/가해)의 원인에 기인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데이트폭력(피해/가해)의 문제를 호소하는 내담자에게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 이해와 더불어 자기구조 및 체계의 회복과 발달을 돕는 구조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286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38592
Appears in Collections:
ETC[S]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