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0 0

식민지 조선영화 속 ‘대동아공영’의 표상 : ˂그대와 나˃(1941)에서의 ‘내선일체’ 양상을 통해

Title
식민지 조선영화 속 ‘대동아공영’의 표상 : ˂그대와 나˃(1941)에서의 ‘내선일체’ 양상을 통해
Other Titles
The Representation of “Greater East Asian Co-Prosperity Sphere” in Colonial Joseon Cinema : In the Case of “Naeseon Ilche” in You and Me (1941)
Author
함충범
Keywords
식민지 조선영화; 대동아공영; 내선일체; 그대와 나; 허영; Colonial Joseon Cinema; Greater East Asian Co-Prosperity Sphere; Naeseon Ilche; You and Me; Heo Yeong
Issue Date
2019-08
Publisher
한국일본학회
Citation
일본학보, v. 120, Page. 187-203
Abstract
일제말기 식민지 조선 문학, 예술계의 창작 경향에 ‘국책’(현재적 용어로 ‘친일’)의 색이 물들어 갔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여기에는 중일전쟁(1937) 이후 국가총동원체제가 구축되었다는 시대적 배경이 자리한다. 1940년대 들어 조선영화에도 전시체제 하에서 국가(식민지) 동원 정책이 반영되었다. 이때 주목되는 영화가 있으니, 바로 ˂그대와 나˃(1941)이다. 이 영화는 재일본 조선인 허영(하나쓰 에이타로)이 감독을, 그와 이지마 다다시가 각본을 맡고, 조선군 보도부에서 제작을 하였다. 또한 조선과 일본은 물론 만주에서까지 제작 스텝과 유명 배우들이 제작에 참여하였다. 게다가, 기획 단계서부터 일본과 조선의 언론으로부터 굉장한 관심을 받았다. 그러면서 영화 기획 및 제작 과정에는 ‘대동아공영’의 기치가 내걸어지고 이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었다. ˂그대와 나˃는 전체적인 스토리 상 조선인의 지원병 지원을 선전하고 내선일체를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영화 곳곳에는 ‘대동아공영’과 배치되는 제국의 모순적 이미지가 다양하게 노출되어 있기도 하다. 그리고 여기에는 ‘보호자’이자 ‘침략자’였던 조선군, 조선인, 중국인이면서 ‘일본인’으로 호명되던 영화인들, 아울러 제국의 영화이자 식민지 영화로서의 조선영화의 이중적이고도 모호한 입장에 따른 분산된 ‘욕망’과 분열된 ‘시선’이 다층적으로 얽혀 있었다. You and Me (1941), which can be categorized both as a colonial Joseon film and a national policy propaganda of “Imperial Japan”, was the first production of Press Bureau of Japanese military in Joseon and was released right before the Pacific War. Its bilateral nature can be confirmed by the production staff as well. The film-director, Heo Young (or Hinatsu Eitaro in Japanese) was a Joseon national residing in Japan, and the script was co-written by Heo Young and a Japanese writer Ijima Tadashi. The actors/actresses and other production staffs from Joseon, Japan and Manchukuo also participated in the project. With such transnational background, the film promoted the concept of Greater East Asian Co-prosperity Sphere (GEAPS), also emphasized the Naeseonilche (內鮮一體, the idea that Japan and Joseon are One) policy through the film characters who joined the Japanese army for the Sino-Japanese War. On the other hand, some inconsistent images of Imperial Japan can be found in the film, which goes against the ideal of GEAPS. The Japanese soldiers in Joseon, for instance, was depicted as a contradictory image of guardians/invaders. This textual complexity can be expanded to the ambiguous contextual environment of that period. This is because a Joseon cinema was typically categorized as a dual category, viz. Imperial Japanese cinema and Colonial “Peninsula”cinema, as confirmed by the transnational composition (Korean/Chinese/Japanese) of the staff. It can be therefore argued that You and Me exhibits dispersed desire and divided perspectives shared/contested by various constituents of Imperial Japan.
URI
http://journal.kaja.or.kr/journal/article.php?code=68229&vol=12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2473
ISSN
1225-1453
DOI
10.15532/kaja.2019.08.120.187
Appears in Collections:
RESEARCH INSTITUTE[S](부설연구소)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