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7 0

조선시대 민간 정원의 공간구성과 지리환경간의 상관관계 분석

Title
조선시대 민간 정원의 공간구성과 지리환경간의 상관관계 분석
Other Titles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spatial relations of architectural elements in private gardens of Joseon era and their geographical characters
Author
민아람
Keywords
Spatial relationship; Traditional Korean garden; Histogram of Forces (HoF)
Issue Date
2019-06
Publisher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Citation
한국디자인리서치, v. 4, no. 2, Page. 64-76
Abstract
전통정원의 디자인은 당대의 사상과 철학을 나타낸다. 한국의 전통정원의 경우 정원 조성 시 주변 자연환경과 지형을 인위적으로 조작하지 않아 ‘자연주의’특징을 가지고 있다. 한국의 정원은 도교 정신을 바탕으로 자연과 함께 더불어 사는 철학적, 종교적 사상을 가지고 있는 조선시대 관료층이 민간 정원을 조성하면서 한국 전통정원만의 자연적 디자인 특징이 확립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전통 민간정원의 공간구성을 정량화하고 지리환경과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한국 전통정원의 특징으로서 ‘자연적’ 요소를 어떻게 설계 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공간구성으로 표현할 수 있는지 알아본다. 공간구성은 민족지학 분야에서 수시로 증명되었듯 한 민족성을 나타내는 요소 중 하나이기에 본 연구에서는 공간구성만을 살펴본다. 이 연구는 한국 전통정원 특징이 가장 잘 나타나는 조선시대의 민간 정원을 대상으로 하며, 그중 공간구성 분석을 위해서 공통 출현 빈도가 가장 높은 구성요소인 안채, 사랑채, 안마당이 모두 포함된 22곳의 한국 전통정원을 분석하였다. 첫 번째로 연구 대상 정원을 선정하고 각 정원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두 번째로 해석에 사용할 지리환경 요소를 선정하고 각 정원에 대한 지리환경 자료를 수집하였다. 세 번째로 정원 공간구성을 포스히스토그램(Histogram of Forces, HoF)을 활용하여 마당과 건물 간의 관계를 정량화하였으며, 네 번째로 정량화된 공간구성과 지리환경요소에 대해 정원 간의 유사매트릭스(similarity matrix)를 각각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서 산출된 공간구성 유사매트릭스와 지리환경요소 유사매트릭스 간의 상관관계를 Mantel Test 알고리즘을 통해 도출하였다. 그 결과, 안채-안마당 공간 관계에 대한 유사매트릭스와 경사와 향에 대한 유사매트릭스 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한국 전통정원에서는 입지의 경사와 향이 안채와 안마당의 공간적 상관관계를 좌우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한국 전통정원을 새로이 디자인할 때에도 안채와 안마당의 배치에 있어 정원이 위치할 장소의 경사와 향이 중요한 고려 요소인 것을 수치적으로 증명한다. Garden designs reflect society’s philosophy and the mind of the time. For instance, traditional Korean private gardens of Joseon period are described to be ‘naturalistic’ by the landscape scholars and historians in which the garden designs took the nature as it is adapting to the surrounding without much of human intervention including the topography. The reason for such naturalistic design was because of the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background of the time which heavily depended on ideas like yin and yang, feng shui, and Taoism. In this research, we statistically and quantitatively identify what it means to be naturalistic concerning the spatial layouts of the gardens. For the study, 22 cases of traditional Korean gardens that include the main building, reception building, and inner yard altogether were selected. First, Histogram of Forces (HoF) was used to quantify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garden components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each of the gardens were collected. Second, the similarity matrices of the gardens were calculated for the spatial layouts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Third, we used a Mantel test to discover any correlation between the similarity matrices derived using the spatial layout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When the Mantel tests were performed, we found out that there were two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main building-inner yard spatial relationship and slope distance matrices and the main building-inner yard and aspect distance matrices. Additionally, the geographical distances of the gardens were the least significantly correlated indicating that the geographical proximity amongst gardens does not influence the spatial layout of the gardens. Our research shows that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buildings and the inner yards of 22 traditional Korean gardens are correlated with the slope and the aspect factors of the environment. The result emphasizes that the relative positioning of the inner yard and the main building are dependent on the natural factors (slope and the aspect) which allows a possible interpretation to say that traditional Korean gardens are naturalistic or climatic responsive regarding the positioning of the inner yards and facing of the main building for better sunlight.
URI
http://scholar.dkyobobook.co.kr/searchDetail.laf?barcode=4010027329714#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1429
ISSN
2508-2817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 ECOLOGY[S](생활과학대학)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