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4 0

고등학교 화학교과와 대학교 일반화학의 연계성 연구

Title
고등학교 화학교과와 대학교 일반화학의 연계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High School Chemistry and the General Chemistry of the University
Author
서영은
Alternative Author(s)
Seo, Young-Eun
Advisor(s)
이휘건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초 · 중 · 고등학교의 과학교과가 국가적 수준의 교육과정에 의해서 교과내용의 연계성이 잘 이루어지도록 개정되었다. 하지만 현대인들은 높은 대학 진학률을 보이기 때문에 중등교육과 대학교육간의 연계성도 중요하다. 따라서 제7차 교육과정에 나타난 ‘과학’, ‘생활과 과학’, ‘화학Ⅰ’, ‘화학Ⅱ’의 교육과정과 교육목표에 대해서 살펴보고 한국의 대학 2곳을 선정하여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일반화학’의 교육과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또한 고등학교 화학교과 중에서 계열이 가장 높은 화학Ⅱ의 3종 교과서와 일반화학 3종 교재의 내용을 화학Ⅱ의 20개 소단원에 기준하여 수직적 내용 연계성을 연구하였다. 연계성 기준틀(A, B, C, D, E유형)에 의해서 연계성을 조사한 결과, 내용의 격차가 크다고 볼 수 있는 C이상의 유형이 50%로 나타나 내용의 연계성이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고체 결정 구조, 원자의 파동 역학적 표현, 분자 궤도함수, 적분 속도 상수, 열역학, 전지 반응에서 격차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학 3곳에 설문지를 배포하여 고등학교 시절에 화학Ⅱ를 배운 학생들이 실제 일반화학 수업에서 느끼는 고등학교 화학교과와의 수준차이를 조사한 결과, 격차가 크다고 보는 비율이 37.2%로 교재 비교에 의한 격차보다 적게 학생들이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화학Ⅱ를 배우지 않은 학생들의 60.6%는 수준 차이가 크다고 느끼고 있었다. 이공계 기피현상이 더욱 심해지고 있는 와중에 본 연구를 통해 내용 연계성이 부족한 부분을 수정하여 제8차 교육과정 개편에 도움이 되고, 대학의 일반화학 수업의 개선방향에 참고가 되어 화학교육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onnection between the high school chemistry and the general chemistry of the university. Because the ratio of students who go on to a university is on the increase. Also it is necessary to plan and operate chemistry curriculum considering connection by keeping pace with students' cognitive development. In accordance with connection of reference ( A, B, C, D, E types), I analyzed three kinds of text books in the high school chemistry and three kinds of textbooks in the general chemistry for vertical connection. It was found that the rate of C type and C-D type is 50 percent. Especially there were huge differences in solids, atomic structure, molecular orbital theory, reaction rate, thermodynamics, electrochemisrty. A survey of 328 university freshmen has found that they almost were interested in chemistry when they were in high school. However after they learn the general chemistry in university, 62.5 percent of them were decreased interest in chemistry. As well as 37.2 percent of students who learned 'chemistry Ⅱ' in high school feel that the gap of between the high school chemistry and the general chemistry is wide. The rate in comparison with the rate of textbooks connection result is lower than expected. But on the other hand, 62.5 percent of students who didn't learn 'chemistryⅡ' in high school feel that the gap of between the high school chemistry and the general chemistry is huge. I hope that this study is useful and helpful to organize the chemistry curriculum in high school and universit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91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567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SCIENCE AND MATHEMATICS(이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