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3 0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서 바라본 미술 교육의 활용 방안

Title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서 바라본 미술 교육의 활용 방안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rt Education from the Holistic Education Perspective
Author
홍우희
Alternative Author(s)
Hong, Woo-Hee
Advisor(s)
노부자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오늘날 학문의 분야가 통합적으로 연구·발전되기보다는 분석적, 논리적 문제의 세부적 상황에 대한 관심을 두게 되면서 교육에 대한 통합적, 근원적 접근의 부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물질주의적 세계관이 팽배해 짐에 따라 자연을 정복의 대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만연되면서 학교의 황폐화 현상과 청소년 문제 등의 학교 현장에서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인성 교육과 도덕 교육, 기초 교육 등 여러 분야의 교육이 조화와 균형을 이루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인식하며, 그 해결책으로 1980년대부터 조금씩 알려지기 시작한 홀리스틱 교육(Holistic Education)을 사상가들은 제안하고 있다. 전인적 교육을 강조하는 홀리스틱 교육은 전반적인 ‘관계성’에 초점을 둔 교육으로서, 사상적으로 ‘영원의 철학(Perennial Philosophy)’에 근원을 두고 있고, 심리학적으로는 ‘초개인 심리학(Transpersonal Psychology)’에 기초하고 있으며, 사회적으로는 ‘환경 및 생태계’에 배경을 두고 있다. 홀리스틱 교육의 목적은 지식의 전달은 물론 학생들의 가능성, 잠재성, 창의성을 최대한으로 끌어내는 생산적인 지식을 추구하는 것이며, 인간 개개인 존중, 경험적 학습, 민주시민 교육, 지구시민 교육, 공생을 위한 생태교육, 영성 교육 등의 내용을 강조한다. 홀리스틱 교육에서 이용되고 있는 방법은 다양하고 포괄적이며, 홀리스틱 교육과정은 전달 단계(Transmission), 교류 단계(Transaction), 변용 단계(Transformation)를 기본 관점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홀리스틱 교육의 내용을 미술 교육으로 흡수하여 학생의 내·외적인 균형과 조화 있는 성장을 도울 수 있는 미술 교육 방법을 연구해 보았다.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과 과정을 기초로 하여 미술 교육에서 홀리스틱 교육의 접근 방법을 고안하고, 프로그램 실천 사례를 통해 적용된 결과를 분석 및 해석하여 홀리스틱 교육을 미술 교육에 접목 시켜 초·중등 교과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입증하고자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본 연구는 내용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으로 국내에 소개된 홀리스틱 교육에 관한 문헌 조사를 기초로 하여 미술교육학, 예술학, 인문사회과학 등의 다양한 문헌을 활용하여 이들의 분석, 종합, 정리하였다. 둘째,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홀리스틱 교육 이론의 방법을 미술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통합 학습 측면에서 미술 교육의 접근, 협동 학습 측면에서 미술 교육의 접근, 환경 친화적 측면에서 미술 교육의 접근을 제안하였다. 셋째, 이 연구를 차후에 미술 교육의 현장에서 적용하기 위해 교수 - 학습 지도안을 연구하고, 인천 소재의 초등학교 4, 5, 6학년과 중학교 1, 2, 3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지도해보면서 홀리스틱적인 미술 교육의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미술 교육에서 홀리스틱 교육과 연계성에 근거하여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도 방안을 크게 세 가지 측면으로 통합 교육, 협동 학습, 친환경 학습에 대한 수업을 실현해 봄으로써 수업과정과 완성 작품, 학습자들이 작성한 활동 체크지를 통해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서 미술 교육 지도 방안의 가능성을 증명하였다. 참된 교육을 통한 참된 인간을 양성함에 홀리스틱 교육 실천 운동은 본연의 궤도를 벗어난 우리 교육을 제자리로 돌려놓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란 생각으로 시작된 본 연구는 다른 교과에 비해 심상활동과 자율성이 있는 미술 교과에서 홀리스틱 교육의 사상을 접목하여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근본적인 교육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가능성과 효율성을 밝히고자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서 미술 교육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As today's academic fields take more interest in the detailed situations of analytical and logical matters rather than conducting and developing in an integrated manner, there happens an absence of integrated and fundamental approaches to education. Furthermore, the trend to regard nature as the object of conquest gains popularity with the wide spread of materialistic views of the world, which has caused many problems at school such as desolation of school and teen problems. Recognizing that those problems are attributed to the lack of harmony and balance among the many different areas of education including personality, moral, and basic education, many thinkers have suggested holistic education, which started to get noticed in the 1980s, as the solution. Emphasizing a whole person education and focusing on the overall 'relationship,' holistic education originated in 'perennial philosophy' in terms of ideology, is rooted in 'transperosnal psychology' in terms of psychology, and has the background of 'environment and ecosystem' in terms of society. The goals of holistic education are not only to deliver knowledge, but also to pursue productive knowledge that can induce the possibility, potential, and creativity from the students to the maximum. The contents it emphasizes include respect for individual humans, experiential learning, education of democratic citizen, education of global citizen, ecological education for symbiosis, and spirituality education. The methods employed in holistic education are diverse and comprehensive. The curriculums of holistic education take the three basic stages of transmission, transaction, and transformation. This study applied the contents of holistic education into arts education and investigated the methods of arts education to help the students with their internal and external balance and harmonious growth. The study set out to design the approaches of holistic education in arts education based on the curriculum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o integrate holistic education into arts education by analyzing and interpreting the application results of the program application, and to test the possibility of using them i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s. For those purposes, the following procedures were taken: First, a variety of literature including arts education theory, arts theory, and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was analyzed, combined, and arranged based on the literature study of holistic education introduced in Korea in order to approach the contents. Second, the ways to apply the methodology of holistic education theory to arts education were devised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three approaches to arts education were suggested including the perspective of integrated learning, cooperative learning, and environment-friendly learning. Third, teaching and learning instruction plans were examined to apply the study to the field of arts education later. After teaching the students in the fourth, fifth and six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ade in middle school in Incheon with the plans, the possibility of holistic arts education was suggested. The three perspectives of integrated, cooperative, and environment-friendly learning were covered during the class as the teaching plans applicable to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based on the connections between arts education and holistic education. And the possibility of the teaching plans of arts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holistic education was proved by using the class process, finished works, and the activity checklists filled by the students. This study started with the expectation that the holistic education movement could make a huge contribution to putting the Korean education back on the track in bringing up truthful individuals through truthful education. By integrating the ideas of holistic education into the arts subjects, which allow for more mental images and autonomy than other subjects, the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y and efficiency of the trial in resolving the fundamental educational tasks we're facing and suggested some plans to utilize arts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holistic educatio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91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74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ARTS AND PHYSICAL EDUCATION(예체능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