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0 0

프로젝트 학습방법을 활용한 아동미술교육에 관한 연구

Title
프로젝트 학습방법을 활용한 아동미술교육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hildren Art Education through the Project Education Method : Focused on Children in Pre-schematic Stage
Author
이춘영
Alternative Author(s)
Lee, Chun-Young
Advisor(s)
노부자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Children art education provides the diversity and creativity of thinking along with the dynamic and integrated activity, and it is recognized as the important means for the promotion of thinking and the development of emotion. However, in the real educational field the situations show that there is the insufficiency of programs of art education fitted for children and that we don't present an effective method of art education to foster the well-rounded development of children. Currently a number of discussions proceed for the measures against such situations, and the project learning method suggesting an efficient educational approach also focuses on a cognitive development such as a social development and an emotional development etc., so there is a little insufficient study on the field related to children ar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how it affects children's development to combine the project approach with children art education. Accordingl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selected three subjects of 'playing lot', 'fire-fighting station', 'gallery' children can approach with interest, really applied it to art education utilizing the project learning method, compared and analyzed it with general art education being currently enacted, and examined how the project learning system had effect on children's art activity procedure and the art expression ability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 in details. This study proceeded with the object of the children in the pre-schema period as the following to apply it to children art curriculum utilizing the project learning method. Firstly, we looked into the concept and features of the project learning method, and arranged the relation between children art education and the project learning method and the theoretical property the developing process of the project learning method. Secondly, we divided the study objects into a control group and a testing group of 15 persons respectively and proceeded in the experiment for about three months. Thirdly, we used the study tool with the evaluation tool of the children art ability formatted by Lee Young-Ja, and proceeded in the order of pre-test, testing places and after-test, and for testing places we had three subjects such as playing lot familiar with the children, fire-fighting station telling the integrity of life, a gallery with aesthetic experiences. In the testing group, we formatted the teaching plan by classifying it into the preparing step, beginning step, developing step and finish step utilizing the project learning method, applied it to the children, and compared its activity process and expression ability with the control group. For the data disposition, we analyzed the art activity process and expression ability of two groups utilizing SPSS statistics program. Fourth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when we see the art activity process in view of the influences the art education using the project learning method has on children's art activity, the average of a testing group marks 3.56 with a higher level compared with a control group marking 2.73, and the item of 'confidence' out of various factors shows a comparatively high point compared with other factors. This means that the art education through the project learning method drew a more positive and active attitude and inspired confidence about the relevant subject through children's direct participation such as the experiences of the selection of the subject, brainstorming, classification, theme network and field trip learning etc. And also in the art expression ability as in the art activity process, a testing group averages 3.59 higher than a control group averaging 2.75. In this respect we can observe that the art education through the project learning method induced children's profound thinking and imagination about the theme. In evaluating children's art expression ability and children's art activity process as above, we could witness that the application of the project learning method to art education had a very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art activity process and art expression ability. In other words, the art education utilizing the project learning method not only draws an active commitment in children's activity process, but also becomes an efficient teaching method in children's art education.; 아동미술교육은 역동적이고 통합적인 활동과 함께 사고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제공할 뿐 아니라, 사고력의 증진과 정서발달에 긍정적이고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아동에게 적합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부족과 함께 아동의 전인적 발달을 도모하는 미술교육 방법이 효과적으로 제시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현재 많은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며, 효과적인 교육방법을 제시되고 있는 프로젝트 학습방법 역시, 사회성 발달, 정서 발달 등의 인지적 발달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아동미술과 관련된 분야에 대한 연구는 다소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프로젝트 접근법이 아동미술교육에 접목되었을 때 아동 발달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이 흥미를 가지고 접근할 수 있는 ‘놀이터’, ‘소방서’, ‘미술관’의 세 주제를 선정하여 프로젝트 학습방법을 활용한 미술교육에 실제로 적용하여, 현재 시행되고 있는 일반적인 미술교육과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아동발달 중 보다 세부적으로 아동의 미술활동과정과 미술표현능력에 프로젝트 학습법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해 보았다. 본 연구는 전도식기 아동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프로젝트 학습방법을 활용한 아동미술교육과정에 적용을 위한 연구로써,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첫째, 프로젝트 학습방법의 개념 및 특징을 살펴보고, 아동미술교육과 프로젝트 학습방법의 관계 및 프로젝트 학습방법의 전개과정의 이론적 특징을 정리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을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으로 구분하고 각각 15명을 대상으로 약 3개월에 걸쳐 실험을 진행하였다. 셋째, 연구도구로 이영자가 작성한 아동미술능력에 대한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사전검사와 실험처지, 사후검사의 순서에 의해 진행하였으며, 실험처지는 아동들에게 친숙한 놀이터, 생명의 고귀함을 알려줄 수 있는 소방서, 미적 체험이 가능한 미술관의 세 가지 주제를 가지고, 실험집단은 프로젝트 학습방법을 적용한 준비 단계, 시작 단계, 전개 단계, 마무리 단계별로 분류하여 학습지도안을 작성한 후 아동에게 적용하여 그 활동과정 및 표현능력을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진행하였다. 자료처치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두 집단의 미술활동과정과 표현능력을 분석하였다. 넷째,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로젝트 학습방법을 활용한 미술교육이 아동의 미술활동에 미치는 영향 중 미술활동과정을 살펴보면, 실험집단의 평균이 3.56로 통제집단의 2.73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여러 요소 중 자신감 항목이 타 요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프로젝트 학습방법을 통한 미술교육이 아동에게 주제 선정 경험과 브레인스토밍, 유목화, 주제망, 현장 견학 등의 직접적인 참여를 통해, 해당 주제에 대해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자세를 유도하여 자신감을 고취시켰다고 볼 수 있었다. 그리고 미술표현능력에서도 미술활동과정과 마찬가지로 실험집단의 평균이 3.59로 통제집단의 2.75에 비하여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는 프로젝트 학습방법을 활용한 미술교육이 아동의 주제에 대한 깊은 사고와 상상력을 유도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아동미술표현능력과 아동미술활동과정을 평가해볼 때 미술교육에 프로젝트 학습방법을 적용할 경우 아동의 미술활동과정과 미술표현능력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프로젝트 학습방법을 활용한 미술교육은 아동의 활동과정에 있어 보다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뿐만 아니라, 아동미술교육에 효과적인 지도방법이라 할 것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87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67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ARTS AND PHYSICAL EDUCATION(예체능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