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9 0

방과후학교에서 무학년 선택제를 통한 미술교육연구

Title
방과후학교에서 무학년 선택제를 통한 미술교육연구
Other Titles
The art education study of the elective course for all grades at after school programs
Author
변미섭
Alternative Author(s)
Byun, Mi-Sub
Advisor(s)
노부자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방과 후에 이루어지는 활기차고 다양한 교육활동 “방과후 학교” 학생들은 방과후 학교를 통해서 정규 교육과정의 틀을 벗어나 다양한 프로그램을 접할 수 있어 즐겁다. 학부모 입장에서는 방과후 학교가 학원이 아닌 학교에서 운영됨으로 믿음이 가고 비용이 시중보다 저렴하면서도 프로그램 내용이 알차기 때문에 교육비를 절감할 수 있다. 게다가 학생뿐 아니라 학부모 지역주민에게도 프로그램을 개방하여 많은 호응과 관심을 받으며 발전하고 있다. 특히 방과후 학교는 운영주체에 따라서나 초.중.고 학교 급별 또는 지역별로 프로그램이 차별화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며, 대체로 초등학교에서는 보육과 특기 · 적성 교육이 중심이지만 중학교에서는 교과와 특기적성교육, 고등학교에서는 무학년 수준별 교과 중심이나 질로 관련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방과후 학교 운영수업은 공교육의 신뢰도를 향상하고 교육 격차를 해소하며 사교육비 절감을 위한 새로운 교육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방과후 학교라는 학부모의 인식도와 시행시 예상되는 문제점, 애로 사항 등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보완 방안 및 농어촌에서의 무학년 선택제수업의 프로그램을 제안 하고자 하였다. 먼저 현재 강원도 교육청에서 실시하고 있는 방과후학교의 추진배경 및 비전을 알아보았다. 수요자 중심, 학습자 중심 교육을 핵심 아이디어로 표방한 제7차 교육과정은 종래의 교육과정과 차별화하여 교육과정 체제 및 편성, 운영상의 큰 변화를 도모하였다. 몇 가지 대표적 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10년간의 국민공통기본 교육과정과 2년간의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설치를 들 수 있다. 이는 당초 학제 개편을 염두에 둔 설계였으나, 학제 개편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교육과정 기본 틀에만 반영되어 고등학교 1학년까지는 학년제로 2, 3학년은 단위제로 운영해야 하는 형국에 처해 있다(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9). 또한 종래의 교수자, 교육내용 중심의 교육에서 탈피하여 학습자 중심 교육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으로 학습자의 흥미, 관심, 적성, 학습능력과 학습요구에 상응하는 교육내용, 방법, 기회에 따른 수준별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번 연구를 통해 미술교과에도 수준별 선택제 수업을 실시하여 학생들에게 시너지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현행미술교과의 성격과 교육과정에 따른 체계도 및 교육과정의 개념과 체제에 대하여 다루었다. 현행미술교과에서는 학년의 차이를 두어 학년별 미술교과를 시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교육과정’이라는 개념 속에 이미 학습자의 적성, 능력, 흥미에 적합하게 수준을 조정 한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음을 간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방과후 학교 보육프로그램을 통한 미술수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학교의 우수사례인 인천 송림 초등학교의 ‘송림 사랑방교실’과 울산영화 초등학교의 ‘해내리방’을 살펴보았으며 해외사례로는 스웨덴과 독일, 일본 등의 나라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방과후 학교에 따른 역사적 배경, 보육시설운영, 재정, 시사점을 통해 방과후 학교 무학년 선택제 수업을 실천하기 앞선 법제화가 시급히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번 연구의 주된 목표는 학습프로그램개발 이라고 할 수 있다. 어린이들의 학습 능력, 학습양식, 학습태도, 학습 속도 차 등의 개인차와 그들의 흥미, 관심의 차이를 염두에 두고 선택학습, 집단학습, 통합학습 협동학습 프로그램을 위한 방과후 무학년 선택제 학습 지도안을 만들어 2006년 9월10일 ~ 10월31일 동안 강원도 원주 T초등학교와 강원도 원주시 S미술학원에서의 프로그램 실천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선택 수업을 통해 아이들은 자신에게 흥미 있고 적성에 맞는 미술수업을 선택함으로써 자신의 의사 표현능력이 신장되고 협동작품을 함으로써 작은 공동체를 느낄 수 있던 기회였다. 이러한 방과후 학교가 계속하여 지속되고 학생들의 성취욕을 올리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자신의 소질 · 적성분야를 선택하여 수요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맞춤형 프로그램 구성과 수요자가 원하는 다양한 미술 분야를 만들어 무학년제의 운영이 가능하도록 진행하여 누구든지 방과후 학교를 자유롭게 선택하고 인식되어 질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students of "After-school Programs", composed of active and diverse educational activities, are pleased that they have various programs to participate that are different from the regular education courses. From the parents' point of view, they can rely on after-school programs as it is carried out at schools instead of private institutions. Also, since the program fees are cheaper than those of other institutions while the content is substantial, parents can reduce educational expenses. Moreover, after-school program is open for students as well as for parents and local residents and is advancing further with positive responses and great interests. In particular, one of the distinct features of after-school program is that the programs ar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bodies or elementary/middle/high schools or regions. Generally, the programs are focused on upbringing and developing skills and aptitudes at elementary schools, while at middle schools, courses and aptitudes educations are focused, and at high schools, classes grouped by abilities regardless of grades and programs related to careers are provided. After-school program can be seen as one of the new forms of education which improves the reliability of public education, narrows the educational gap, and reduces the cost of private education. In the study, parents' perceptions on after-school programs and the difficulties and estimated problems of the programs are discussed. Also, solutions to these problems and a program of selecting courses regardless of grades in rural communities are proposed. First, the background and future prospects of after-school programs, presently operated by Gangwon Province are examined. The seventh curriculum which adopted demander-focused or learner-focused education as its core aspect, promoted changes in curriculum systems, composition and management by differentiating itself from the conventional curriculum. There are several representative features. First is establishing a system of ten years of fundamental educational courses common for all citizens with two years of elective system. At first, this was considered as a plan for reorganizing the school system, but as the reform has not been accomplished and the plan was reflected in the education framework, the grading system is adopted until high school freshman years, while the accrediting system is adopted to high school juniors and seniors.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1999) Also, as a concrete solution to accomplish learner-focused education departing from the conventional education which focused on teachers and contents, problems of curriculum based on education levels by learning abilities, interests, concerns, and aptitudes of learners and by education contents, methods and opportunities are discussed along with solutions to such problems. Moreover, through this study, it is recognized that synergy effect from students can be obtained by applying elective classes by levels to art education. The systems corresponding to the features of current art courses and curriculum, the concept of curriculum, and systems of courses are also discussed. Under the present art curriculum, art courses are carried out differently according to grades, and thus conventional curriculum is overlooking the fact that the term 'curriculum' implies that standards are adjusted to the learner's aptitude, ability, and interests. Present conditions of art classes with after-school programs are examined. 'Song Lim Sarang Bang Class' of Incheon Song Lim Elementary School which is a good example of the program, and 'Hae Nae Ri Bang' are studies, and countries such as Sweden, Germany, Japan, etc are inspected as examples from overseas. By looking at different historical backgrounds, operations of nursery, finances, and implications, it was clear that a legal step is necessary before practicing elective after-school programs for students in all grad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tudy programs. Considering students' learning abilities, learning modes, learning attitudes, differences in learning speed, and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s and interests, an elective after-school program curriculum for all grades for elective study, group study, combined study and cooperative study was formed. The programs are carried out from September 10 to October 31 at T Elementary School and S art institution in Wonju, Gangwon Province. Through elective course programs, students could develop their ability to express themselves by choosing art classes for which they had aptitude and interests. Also, it was a good opportunity for students to experience a small community by producing a collaborative piece of work. In order to maintain after-school programs and to enhance students' motivation, a system in which everyone can perceive and freely participate after-school programs should be enforced as soon as possible, through organizing custom programs that will best satisfy students' request by selecting courses according to students' own characters and aptitude, and through carrying out programs for students in all grades by forming various fields of art that they want.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87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597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ARTS AND PHYSICAL EDUCATION(예체능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