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8 0

교과서의 국어 규범 내용 및 문제점 분석

Title
교과서의 국어 규범 내용 및 문제점 분석
Other Titles
Korean Norm Contents in Textbook and Its Problem Analysis
Author
안홍근
Alternative Author(s)
An, Hong-Keun
Advisor(s)
장경희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Korean norm would be the basis for the normal Korean use, and language use followed by the norm would be fundamental knowledge ordinary people ought to keep up with.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the norm, we can see a lot of cases that they use broken or incorrect language around us. Usually we have a difficulty in writing or speaking something wondering it is right or not in a situation, because the education for the Korean norm has not been fulfilled in our schools. Thanks to the indication, many educators have tried to solve the problems presenting the boundary as 'Korean norm and Application' of Korean language in the 7th curriculum. The textbook, the product of curriculum has hardly included the Korean norm without the original objective of Korean education, so Korean teachers can't appropriately have taught the normative language use.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the contents of Korean norm in Korean textbooks during citizens' common basic education period and providing the desirable direction of Korean norm education in the classrooms. Generally, Korean norm consists of 'Standard language regulations', 'Korean alphabet orthography', 'Borrowed word notation', and 'Roman alphabet notation', but I limit the thesis the contents of 'Korean norm', that is to say, standard language, standard pronunciation, and orthography. First of all, I have inquired the concept of standard language and the composition of standard vocabulary and pronunciation in the textbook in order to examine the contents of the standard language on chapter III. Though the education for the concept of standard language ought to be carried out at the early grade, the first advent in the textbook is at the 9th grade and the book has not reflected the whole contents in the curriculum. Although standard vocabulary has much something to do with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the contents in the textbook are only composed of the Korean knowledge. Moreover, the knowledge is mainly focused on the Korean refinement. In case of standard pronunciation, my thesis is divided into phoneme(consonants, vowels, and the length of sound) and phonological signs(pronunciation of the final consonant on the end of a Korean orthographic syllable, assimilation, fortis, and epenthesis), and the problems on that are follows: selection of contents, sequence of grades, maintenance of learning, connection of contents, and relation of lessons. Next, I have researched the concept of orthography and the composition of the orthography divided into consonants, vowels, sounds, morphemes, spacing words, punctuation marks, and so on, in order to search for the contents of orthography in the textbook on chapter IV. As a result, the term 'Orthography' is repeatedly used in the textbooks not having opportunities in teaching the concept about the orthography. A small part of the consonants, vowels, spacing words, and punctuation mark in appendix has appeared in the context and the students can't see the other regulations in the book. Although Korean knowledge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principle of orthography, the knowledge is dropped in the textbook and the education connecting the orthography has not been accomplished. Korean norm is the basis for the goal of teaching Korean. Higher competence for using Korean language can't be anticipated under the circumstance they misuse Korean. Many educators didn't know the serious problems and language ruin has been continued more and more. At this crisis, it is important task for the problem solving to review the textbooks and study the composition of Korean norm in the books.; 국어 규범은 정상적인 국어 생활을 위한 기초가 되며, 규범에 맞는 언어 생활은 교양인이라면 누구나 지켜야 할 기본적인 소양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규범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주변에서 규범에 맞지 않은 언어 생활을 하는 경우를 자주 접하게 된다. 우리말을 오랫동안 사용해 왔음에도 규범을 어려워하고 말을 하거나 글을 쓸 때마다 과연 규범에 맞는 표현인지 고민을 하게 되는 이유는 바로 학교에서 기초적인 규범에 대한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반성의 결과로 제7차 교육 과정에서는 국어지식 영역에 ‘국어의 규범과 적용’이라는 범주를 설정함으로써 나름대로 규범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러나 교육 과정의 구현물이라 할 수 있는 교과서를 살펴보면 본래의 목표와 달리 규범을 매우 소홀히 다루고 있어 규범적 언어 사용을 제대로 가르칠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기간에 해당하는 국어 교과서에 구성된 국어 규범의 교육 내용을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분석함으로써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규범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일반적으로 국어 규범은 ‘표준어 규정’, ‘한글 맞춤법’, ‘외래어 표기법’, ‘로마자 표기법’을 말하지만, 본고에서는 교육 과정에 제시된 ‘국어의 규범’ 범주의 교육 내용 즉 표준어와 표준 발음, 맞춤법으로 범위를 한정하여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교과서에 구성된 표준어의 교육 내용을 검토하기 위해 먼저 표준어의 개념에 대한 교육 내용을 살펴본 후 표준 어휘와 표준 발음의 내용이 교과서에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았다. 표준어의 개념 교육은 이른 시기에 이루어져야 함에도 9학년에 처음 제시되어 있었으며, 교육 과정의 내용이 교과서에 구체적으로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준 어휘는 듣기, 읽기, 쓰기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에도 국어지식 영역에서만 교육 내용이 편성되었으며, 그 내용 또한 국어 순화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이에 대한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표준 발음의 경우 ‘표준 발음법’의 음운(자음, 모음, 소리의 길이)과 음운 현상(받침의 발음, 소리의 동화, 된소리되기, 소리의 첨가)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내용의 선정, 편성의 순서, 학습의 연속성, 내용의 연계성, 단원의 위계성의 문제를 드러내었다. Ⅳ장에서는 교과서에 구성된 맞춤법의 교육 내용을 검토하기 위해 맞춤법의 개념에 대한 교육 내용을 살펴본 후 맞춤법을 자모, 소리에 관한 것, 형태에 관한 것, 띄어쓰기, 그 밖의 것, 문장 부호로 나누어 이들이 교과서에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맞춤법에 대한 개념 교육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면서 두루뭉술하게 ‘맞춤법’이라는 용어만 빈번하게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글 맞춤법’ 규정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것은 자모와 띄어쓰기 일부, 부록으로 제시된 문장부호에 그쳤으며, 그 외의 규정은 교과서에 전혀 구성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맞춤법의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국어지식이 뒷받침이 있어야 함에도 이와 관련된 지식들이 빠져 있었으며, 맞춤법과의 연계 교육도 전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국어 규범은 국어과의 교육 목표를 이루기 위한 기초가 된다. 우리말을 바르고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보다 고차적인 언어 사용 능력을 기대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학교 현장에서는 아직도 이에 대한 문제의 심각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언어 파괴가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어 규범에 대한 내용이 교과서에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문제 해결을 위한 중요한 작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841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573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LINGUISTICS AND LITERATURE SCIENCE(어문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