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 0

고등학교 영어 정기고사 문항 분석

Title
고등학교 영어 정기고사 문항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est Items in High School English Examinations
Author
고자경
Alternative Author(s)
Ko, Ja-Kyung
Advisor(s)
김명희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앞으로 대학 입시에서 중요한 도구가 될 현 고등학교의 정기고사 문항을 분석하여 제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평가 지침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인문계 고등학교 중 29개 학교에서 실시된 2005학년도 1학년 1학기 중간고사의 지필고사 문항을 선정하여 제7차 교육과정의 평가지침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또한, 2005~200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외국어 영역 중 독해 영역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기고사를 언어 기능별로 분석한 결과 읽기 영역이 52.3%로 가장 높은 비율로 출제 되었으며, 반면에 듣기영역은 2.6%, 쓰기는 4.6%로 출제되어 기능별 출제 비율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나 언어 기능이 고르게 평가되지 못한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정기고사의 평가 유형별 분석 결과 분리 평가가 38.4%, 통합평가가 61.6%로 출제되었다. 7차 교육과정의 지침에 맞추어 통합평가에 비중을 둔 것으로 보이지만, 어휘와 문법문항이 대부분 분리평가의 형태에 치중하여 이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하다. 셋째, 대학수학능력시험과 정기고사를 기능별 출제 비율에 따라 분석한 결과, 수학능력시험이 비교적 모든 영역에서 고른 출제가 이루어진 반면, 정기고사에서는 듣기 문항이 상당히 낮은 비율(2.6%)로 출제되는 등 의사소통능력이 제대로 평가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수학능력시험과 정기고사의 읽기영역을 출제 유형별로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정기고사에서 사실적 이해력을 묻는 문항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로 출제되었다. 특히 내용 일치 문항과 빈칸 채우기 유형의 문항이 거의 절반에 가깝게 출제됨으로써 지나치게 일부 유형에 치우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정기고사의 문항은 교과서의 지문을 그대로 반영하여 학습자의 읽기능력을 정확하게 평가하기에는 문제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영어 교육 현장에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언어의 기능별 평가가 균형 있게 평가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듣기영역의 비율을 높여 의사소통 능력이 고르게 평가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어휘와 문법 문항을 통합적으로 출제함으로써 학습자들이 다양한 맥락에서의 사용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정기고사의 평가 유형이 한두 가지에 치우침 없이 다양한 유형을 갖추어 학습자의 학습능력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교과서의 지문을 그대로 출제하기 보다는 본문의 단어를 유사어로 변형하거나 교사지침서의 자료를 참고하는 등, 피험자가 본문을 그대로 외워서 문제를 해결하는 한계를 극복하도록 한다. 다섯째, 수행평가를 통해 직접적인 쓰기와 말하기 평가를 함으로써 수학능력시험이 가지는 한계를 보완하여 학교 내신이 더욱 중요한 대입 평가 도구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test items in high school English examinations are appropriate to the guideline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o suggest how to improve them.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chose the midterm test items of the first semester in the school year 2005 from twenty-nine schools nationwide,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y were also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test items in the reading section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st item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ive language skills, which are reading, listening, writing, grammar, and vocabulary. The result shows that reading skills topped the list comprising 52.8% of the total questions, followed by grammar and vocabulary. However, the questions testing writing and listening skills were only 4.6% and 2.6% respectively. This suggests that the exams focus too much on reading but too little on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Second, when the test item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est type, integrative or discrete, there were more integrative type questions than discrete type questions (61.6% vs. 38.4%), which reflects that the tests fit very well in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most vocabulary and grammar questions tend to be tested discretely. Third, the regular English examinations were analyzed in comparison with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The result shows that, while the test items of the CSAT are well-balanced in the four language skills, the regular school examinations have only few listening items (2.6%). This suggests that the regular English examinations in high schools do not evaluate the skills in a balanced way. Fourth, according to the detailed analysis of the reading section of the regular English examinations and the CSAT by the test types, it is shown that there are more comprehension questions than other test types in regular examinations. In particular, correspondence and cloze tests take up almost 50%. Moreover, most test items are extracted only from the textbook, so that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reading skills are properly evaluated by those question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from the analysis, this study concludes as follows: First, questions should be better-balanced in testing the four language skills rather than focusing only on reading. Second, vocabulary and grammar should be tested more integratively within context so that students can develop their language competence. Third, there should be more variety in test items to encourage students' learning abilities. Fourth, examiners should make an effort to go beyond the textbook either by modifying the vocabulary or by using the teacher's manual to avoid the situation where students mechanically memorize the textbook for a test. Finally, by utilizing performance assessments in testing writing and speaking skills, school examinations can make up for the weakness of the CSAT and play the role as an important test tool for college admission.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84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567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LINGUISTICS AND LITERATURE SCIENCE(어문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