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1 0

손진태의 신민족주의와 신민족주의사학

Title
손진태의 신민족주의와 신민족주의사학
Other Titles
A Study on Sohn Jin-tae's Neo-nationalism and Writings of Korean History
Author
김지선
Alternative Author(s)
Kim, Ji-Sun
Advisor(s)
박찬승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이 논문은 손진태의 신민족주의와 신민족주의사학을 통해서 해방 직후의 시대상황을 들여다보고, 그 시기 지식인들이 무엇을 고민하였으며, 남북한 분단 상황을 막기 위한 노력으로 어떤 구체적인 이론을 도출하였는지 살펴보는 데 있다. 한반도는 일본의 패망으로 해방을 맞이하였으나 우리 민족의 기대와는 달리 즉각적이고 완전한 독립을 가져오지 못했다. 우리 민족이 맞이한 해방은 또 다른 외세의 군사적 점령하의 해방이었고, 이념이 다른 미·소가 분할 점령함으로써 좌우대립이라는 새로운 갈등이 시작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민속학자이자 역사가였던 남창 손진태는 민족적 차원에서 계급간의 알력이 해소된 이상적인 사회 건설을 주창하는 신민족주의를 제기하였고, 이를 역사학에 적용하여 신민족주의 사학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손진태는 일제하에서 주로 민속학을 연구하여 민간 속에 숨어있던 우리 문화를 발굴해서 소개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자연히 민속의 역사적 측면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마침내 일반대중에 기반을 둔 민족의 역사를 저술하게 된 것이다. 손진태는 우리 민족이 나아갈 길로 신민족주의를 제시하였다. 신민족주의는 안재홍에 의해 정치사상으로 이론화되었으며, 손진태에 의해서 사학이론으로 발전되었다. 부분적인 차이점은 있으나, 양자는 해방을 전후한 시기에 좌우익으로 분열되었던 혼란상을 극복하고 민족적 단결을 이루어 통일된 민족국가 건설을 목표로 했다. 그들은 서구의 민주주의와 사회주의를 거부하고 한국사의 특수성과 고유성에 적합한 신민족주의를 주창했던 것이다. 손진태는 한국사의 진정한 주체는 민족이라는 관점에서 한국사를 서술하였다. 당시 민족개념의 도출은 해방 직후 민족의 단합을 위한 시대적 요구였으며, 통일 민주국가를 이루려는 손진태의 의지가 반영된 이데올로기의 출발점이었다. 손진태의 신민족주의는 민족구성원 전체가 정치?경제?사회?문화적으로 균등한 행복을 누리는 것을 추구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손진태는 한국사의 큰 흐름을 새롭게 이해하였다. 한국사회가 어떻게 평등사회에서 불평등사회로, 그리고 다시 평등사회로 바뀌어 가고 있는가를 구체적으로 살폈던 것이다. 그는 나아가 종래의 왕실과 지배계급 위주의 구분에서 탈피하여, 사회의 발전단계를 기준으로 한 시대구분과 민족의 성장과정을 중심으로 한 시대구분을 병행시켰다. 그는 기존의 발전단계설을 따르지 않고 독자적인 시대구분을 제시하여 민족의 생성 발전과정을 단계적으로 해석하였다. 특히 귀족정치의 비판 속에서 민중이 사회의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발전과정을 설명하였다. 요컨대 손진태는 해방직후의 남북분단과 혼란상황을 극복하고, 민족에게 자부심을 심어주려 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그의 신민족주의사관은 민족적 현실을 타개하기 위한 적극적인 실천성을 띤 사관이었으며, 주체적인 민족관을 형성한 독창적인 이론이었다. 그는 민족의 발견을 통해 민족의 균등과 행복, 그리고 민족의 단합을 추구했으며, 기존의 발전단계설을 따르지 않고 독자적인 시대구분을 제시하였다. 민족의 주체성을 견지하면서 세계화의 대열에 동참하고자 했던 손진태의 신민족주의사관은 시대를 앞서가는 지도이념으로서 그 의의가 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a concrete and practical theory of unification suggested by the intellectuals of those days, right after the Liberation, as part of efforts to prevent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looking into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through Sohn Jin-tae's Korean history of neo-nationalism. The Korean people finally accomplished their long-cherished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colonial rule, but it was an incomplete one contrary to our expectations, that is, passive liberation by the world powers. Consequently, a new conflict between the north and south has started as the military forces from the United States and Soviet Russia stationed in Korea in order to divide it into two parts. Under these international circumstances, Sohn Jin-tae, a historian and folklorist, proposed neo-nationalism to build an idealistic society, where all kinds of conflicts among the classes have been resolved in terms of a nation. He was also trying to do his best efforts to establish his own unique Korean history of neo-nationalism based on national reconciliation. His theory is still valuable for the theory of unification considering the exchanges between the two Koreas increasingly are becoming active these days. The main poi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ohn Jin-tae's research activities began with folklore in Japan. In the course of studying folklore, he came to have an deep interest in historical aspect of folklore. And after the 1945 Liberation he wrote a national history from the standpoint of the public. Neo-nationalism has developed as a political theory by Ahn Jae-hong, meanwhile a historical one by Sohn Jin-tae. Even 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ory partially, the two were trying to build a unified national country overcoming Korea's social and political chaos which was split into two factions, right after the Liberation. And both refused to accept Western democracy and socialism, advocating neo-nationalism, which i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history. He strongly believed that individual and national freedom and equality would make the peace and prosperity among the Korean people. Hence, he has created a new system of Korean history by writing about the common people of all classes equally, not by writing about the royal family and the ruling classes, which was the traditional way of historical description. Furthermore, he harshly criticized what was far from the principle of national equal opportunity, in particular, regarded a primitive clan community as the ideal that we must pursue to achieve, and denounced the split and inequality among the masses caused by the avaricious governing classes. He also analyzed the development stage of Korean history, centered on the advent of the common people as a leading part in history. Since he made much of the Korean people, he strongly believed that the target of Korean history was to find out where the Korean people should go, by reflecting on the past. He hoped to overcome the partition and chaos of Korea in the wake of the Liberation with his creative unification theory and inspire Koreans with national pride as a racially homogeneous nation. He was a leading historian in that he wrote a history based on the common people, not on the royal family and the ruling classe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82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11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SOCIAL SCIENCE(사회과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