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1 0

고등학생의 성취목표가 미술학업에서의 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 미술의 효과지각에 미치는 영향

Title
고등학생의 성취목표가 미술학업에서의 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 미술의 효과지각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Study on the Effects of Achievement Objectives of Art Class on Stress, Psychological Emotion and the effect perception of Art Class : Comparing Students Planning to Major in Art and the Rest
Author
이영주
Alternative Author(s)
Lee, Young-Ju
Advisor(s)
장성수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학생의 미술학업 성취목표가 미술학업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그리고 미술의 효과지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본 신도시(분당)에 소재하는 인문계 고등학교 여학생 1,2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관련 변인들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성취목표와 미술학업 스트레스와 관계를 알아본 결과 숙달목표와 수행접근목표가 높으면 학업스트레스가 낮고 수행회피목표가 높으면 스트레스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술과정 자체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학습에 참여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으며 능력을 계발 하고자하는 학생들은 스트레스가 낮은 반면, 미술에 대한 자신의 무능함을 드러낼 수 있는 과제를 회피하거나 실패를 두려워하는 학생들은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성취목표와 미술학업에서의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숙달목표와 수행접근 목표가 강한 학생일수록 심리적으로 부정감이 낮고 긍정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행회피 목표는 수행회피가 강할수록 긍정감은 낮고 부정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술 학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능동적인 사람은 심리적 안녕감에서 높은 긍정감을 갖고 학업에 임하고 있으며, 학업을 회피하는 사람일수록 심리적 안녕감에서 부정감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술성취목표와 미술의 효과지각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숙달목표와 수행접근목표가 강할수록 태도효과, 학습효과, 흥미효과가 증가하고 수행회피목표가 강하면 태도효과, 학습효과, 흥미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입시 미술반과 비입시미술반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입시미술반 학생들은 목표가 뚜렷하고 도전감 있는 과제를 선택하여 보다 심층적인 방법으로 과제를 처리하는 바람직한 성취목표인 숙달목표를 더 많이 갖고 있으며, 수행접근목표 또한 더 많이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시미술반보다 비입시미술반이 학교 미술학업의 스트레스를 더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시미술반 학생들이 미술의 심리적 안녕감에서 매우 높았으나 비입시미술반 학생들은 심리적 안녕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숙달목표가 강한 입시미술반 학생일수록 미술학업을 통해 모든 학습자들은 즐거움, 유쾌함, 보람을 느낌으로써 자신에 대한 긍지와 정서적 안정감을 얻게 된다. 미술 학업의 효과지각측면에서 차이를 살펴보면 태도효과, 학습효과, 흥미효과에서 모두 입시미술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입시미술을 전공하고 있는 학생들은 숙달목표를 강하게 가질수록 태도, 학습, 흥미 효과 등이 많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학업성취목표에 따라 이들의 학업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미술의 효과지각이 다르게 나타나며, 이러한 학업성취목표는 성취태도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성취동기를 높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제공하고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미술 학업이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s of achievement objectives of art class on stress, psychological emotion and outcomes of art class in high schools. For this study, 364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Bundang area, including 164 students planning to major in art in college were surveyed through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nalyzed by means of simple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variabl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verification. The research results obtained from the above procedures are as follows: 1.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objectives and stress level in art class Students having higher level of mastery goal and performance-approach goal tend to have lower stress in class. Students who have higher level of performance-avoidance goal a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level of stress in class. That is, if students appreciate the importance of art class an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lass, they feel lesser stress, On the other hand, those who try to avoid the class which may show their inferiority in art skills tend to have high stress in art class. 2.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objectives and psychological emotion Students with higher level of mastery goal and performance-approach goal tend to have positive psychological emotion. On the other hand, students with lower level of goals are more likely to have negative psychological emotion in class. Therefore, students who show active participation are positive in psychological emotion. Students trying to avoid class tend to have negative level in psychological emotion. 3.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objectives and perception of the outcome in art class Students with higher mastery goal and performance-approach goal show increasing effects in attitude, outcome, and interests. However, those with higher performance-avoidance goal show 4.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planning to major in art in college(Group A) and the other students(Group B) Students planning to major in art in college are more willing to take challenging tasks and show desirable attitude toward the tasks, showing higher levels in mastery goal and performance-approach goal than the other students. In addition, Students in group B feel more stressful in art class and less positive psychological emotion than those in group A. Students with higher mastery goal feel more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composure in art class, and tend to show higher levels in attitude, outcome and interest in art class.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the objective of achievement has much to do with stress level, psychological emotion, and effects of art class, and that attitudes for the achievement have great effects on the level of achievement objectives. Those results also suggest that it is imperative to develop better educational programs for art class to enhance students' motivation of achievement.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79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567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