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5 0

한국적 특성이 반영된 랜드스케이프 건축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적 특성이 반영된 랜드스케이프 건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Landscape Architecture reflected on a Korean characteristics
Author
조문희
Alternative Author(s)
Cho, Moon-Hee
Advisor(s)
정인하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적인 특성을 바탕으로 한 1990년대 이후의 국내에서 이루어진 랜드스케이프 건축 작품의 분석을 통하여 한국에서의 랜드스케이프 건축의 표현특성과 그 의미를 파악하는데 있다. 1990년대 이후 한국의 랜드스케이프 건축은 국내외의 건축가들에 의해 한국의 특수한 상황에 맞게 적용되고 현대적인 방식으로 변화되어 왔다. 이는 서구와 다른 한국의 독특한 도시의 구조와 고유의 땅과 자연, 경관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 기인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2장에서 세계적 흐름의 랜드스케이프 건축에 대하여 일반적인 이론을 고찰하였으며 3장에서 한국적 특성에 대해 도시와 고유의 지형, 경관에 대한 특성을 규명하였으며 4장에서 한국적 특성에 따른 랜드스케이프 건축의 사례 분석을 중점으로 하였다. 사례의 분석은 현대 건축에서 일컬어지고 있는 랜드스케이프 건축 개념을 국내에서 사회적 논의의 대상으로 부각시켰던 90년대 이후의 국내 현상설계안과 건축 작품 중에서 한국적 특성이 잘 반영된 작품과 대표적인 외국건축가들의 작품을 선정하였다. 특히 한국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한국의 도시적 특징과 한국 고유의 대지와 경관에 대한 공간조직방식에 관련한 특징에 대한 국내와 외국건축가들의 사례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1) 한국의 도시적 특징과 연관된 특성으로 한국의 도시는 급속한 근대화 및 산업화와 더불어 시간의 퇴적 층위가 두터운 대지와 도시 내의 애매한 공간이 많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공간에 대하여 작품에서 나타나는 특성은 채움보다는 비움을 통해 공간의 잠재성을 확보함으로써 불확실한 도시의 변화에 대응하는 ‘도시의 여백’을 제공한다. 또한 ‘땅’이 가지는 의미를 드러내기 위해서 장소의 기억과 재생을 위한 공간적인 장치를 마련하는데, 이런 장치들에서 고유의 자연적인 요소를 도입하며 절제된 형태와 방식을 취하고 있다. 또한 전통적인 도시의 유형에서 추출한 공간적인 요소들 즉, 기존의 도시 ‘가로’와 ‘마당’의 개념을 현대적으로 새로이 해석하여 도시의 조직을 구성한다. 2) 한국 랜드스케이프 건축의 공간에 대한 조직 방식으로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첫째는 대지에 대한 조직화 방식이다. 이는 곧 건축이 놓이는 터에 대한 중요성을 바탕으로 하며 대표적으로 ‘마당’의 개념이 나타났다. 또한 도시적 맥락에서 도시조직을 최대한 반영하고 연속적인 수평의 면으로 인공화 하여 프로그램을 하나의 면으로 통합한다. 둘째는 동선과 시선의 처리에 있어 고유의 경관을 실내로 끌어들이거나 또는 외부에서 보이는 자연으로 그 경계를 모호하게 하는 수법을 적절히 배치하고 있다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차경은 한국의 고유한 경관을 기억하기 위한 장치로서 작용하며, 경관적 구성의 주요 특징은 주로 오브제로서의 랜드마크로 기억되는 것이 아닌 다층화를 통해 체험으로 기억되는 랜드마크적 역할을 부여한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랜드스케이프 건축은 서구의 랜드스케이프 건축과 개념상 유사성을 보이고 있으나 한국의 자생적이고 고유한 공간에 대한 원형을 바탕으로 한 특이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에 덧붙여 서구의 랜드스케이프 건축 개념을 통하여 현대적인 재해석을 가함으로써 한국의 도시에 대한 변화를 수용하고 독특한 한국적 리얼리티를 표현해 내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andscape architecture reflecting the Korean characteristics since 1990's and thereby, determine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the landscape architecture in Korea. Since 1990's, the landscape architecture in Korea has been adapted by domestic and foreign architects to our peculiar local conditions, being transformed in a modern way. Such adaptations and transformations seem to have been attributable to perceptions of our unique urban structure, soil, nature and its views, quite different from the Western's. This study consists of the following chapters; After introduction of the study in the first chapter, the world trend of the landscape architecture is overviewed theoretically. In the third chapter, characteristics of cities, topography and views in Korea are examined. In the fourth chapter, cases of the landscape architecture reflecting such Korean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To be more specific, the researcher sampled the works which had reflected the Korean characteristics well as well as foreign architects' model works, submitted to domestic architecture design competitions since 1990's. In order to analyze their Korean characteristics, the researcher comparatively analyzed those domestic and foreign architects' works in terms of urban features and Korean unique views of sites and landscap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ities, it was confirmed that our cities had produced thick-layered sites and obscure spaces due to rapid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Such sites and spaces may well provide for 'margins of city' if they can be more potential through not filling but emptying. In addition, some spatial mechanism are created to revive the memories of the places and regenerate them to reveal the meanings of 'earth', and some unique natural elements have been introduced into such mechanisms, while forms and methods were much moderated. Besides, those spatial elements extracted from the traditional city forms, namely the concepts of 'road' and 'court' are reinterpreted in a modern way to organize the cities. 2) The methods of organizing spaces of the landscape architecture were divided in large into two categories; The first method is organization of the site. Here, importance of the site for architecture is focused, and its good example is the concept of 'court'. In addition, in an urban context, the urban organization would be reflected to a maximum degree, while the programs are integrated into a single plane by means of artificial continuous horizon. The second method is to induce the unique view inside or make dim the boundary by using the nature and thereby, treat the circulation and views adequately. The eloquent example is borrowing of landscape to make the Korean unique landscape reminded of.He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organized are not remembered not as landmarks or objects, but some landmark-like roles are imposed to be remembered as experiences through multi-layers. In conclusion, the Korean the landscape architecture may be similar to its Western counterparts in terms of concepts, but it has its own unique characteristics based on our native and unique prototypes of space. Thus, our landscape architecture can be reinterpreted in a modern way to accommodate the changed city conditions and our unique Korean realit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72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71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ARCHITECTURAL ENGINEERING(건축공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