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1 0

서울 도심 불량주거지의 주거환경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Title
서울 도심 불량주거지의 주거환경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Housing Environment of the Blighted Settlement in Seoul : Focused on the 244th Area of Bul-kwang , Eun-pyoung
Author
이기행
Alternative Author(s)
Lee, Kee-Haeng
Advisor(s)
한동수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우리나라의 경우 1970년대 이후 급격한 산업화의 영향에 의해 도시 내 인구증가에 따른 도시화 현상으로 토지, 주택, 교통, 환경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도시화 과정에서 형성된 주거지역들은 대부분 각종 기반시설 등의 부족과 도시계획의 미비로 주거환경의 질이 열악한 상태로 지속되었다. 이에 정부에서는 이와 같은 주거환경을 개선하기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으며, 이에 따라 주거의 물리적환경등은 개선되었으나, 커뮤니티 공간의 부재, 주민의 다양한 욕구에 따른 해결책 부재 등, 비 물리적 조건의 충족이 미흡하여 많은 문제점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서울지역의 무허가 불량주거지의 경우에는 여러 정책과 많은 연구들이 있었으며, 정비도 어느 정도 이루어졌으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 꾸준한 증가가 불가피 할 것으로 예상되는 1970년대 이후 생성된 저층주택 밀집지의 노후화에 따른 개선정책이나 연구들은 무허가 불량주거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당히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개발 기본계획이 수립된 지역 중에서, 현재 전면재개발로 추진 중에 있는 연구대상지(불광동 244번지 일대)에 대하여, 구체적인 조사와 분석을 실시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첫째, 현실적으로 실현가능한 건축 계획적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둘째, 현실적 한계를 수용하여 제시된 개선방안과 건축적 논리를 바탕으로 하는 이상적 개선방안 사이에 실제적으로 존재하는 한계가 얼마만큼 작용하고 있는지를 재인식하고자 한다. 1.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인 현황조사와 분석을 통하여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실적 한계를 수용한 건축 계획적 개선방안을 하나의 대안으로서 제시하였는데, 이를 몇 가지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기반시설의 정비와 확충 및 주거환경의 신속한 개선이 요구되므로, 주거환경정비방식은 전면재개발(Redevelopment)방식이 적합하다. 둘째, 주변지역과의 커뮤니티를 고려하여 근린생활권을 설정하고, 토지의 효율적 이용과 경제적 측면도 함께 고려하여 토지이용계획을 수립하였다. 셋째, 거주민들의 접근방식에 대한 기존의 이용행태를 활용하여 단지 내 도로를 계획하고, 보·차의 명확한 동선분리를 통하여 도로의 기능 및 안전에 대한 요소를 개선하고, 아울러 주차장을 세대당 1대이상으로 계획하여 주차난을 해소하고, 지형에 순응하는 Deck주차시스템을 적극 도입하였다. 넷째, 단지중앙부에 적극적 커뮤니티를 위한 클럽하우스와 대규모 이벤트광장을 연계하여 설치하고, 각 Zone별로 소형 커뮤니티공간을 배치하여 공간의 위계성을 확보하며, 보행자 도로를 따라 광장과 생활권이 연결되는 열린 단지계획 기법을 도입하였다. 다섯째, 주변지역과의 경관적 부조화를 해결하고, 시각적 개방감 확보를 위하여, 가로변과 단지 외곽부에 저층, 중앙부에 고층의 주동을 배치함으로서 Sky-line의 변화를 도모하였다. 여섯째, 앞으로 가계소득의 증가로 인해 소형주택의 수요가 감소하고, 중·대형주택의 수요는 증가 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주호 규모의 다양화가 필요하나, 본 대상지는 재개발이 전제된 지역이므로, 주호의 규모는 거주민의 경제적 실정을 감안하고, 관련법 및 건설교통부 [고시 2005-528호]에 의거 전용면적 85㎡ 이하의 주택을 80%이상을 건립하는 것으로 계획하였다. 일곱째, 주호의 평면계획은 구조적 한계 내에서 공간의 가변화를 고려하고, 주동의 형태는 획일적 외관형태에서 탈피함과 동시에 고밀도가 가능한 4호의 타워형과 2호의 판상형을 기본단위로 하여 최대 6호 이내로 계획하였다. 아울러 면적공간에 비해 선적공간의 위계와 성격이 불분명하게 나타나는 아파트주거단지의 일반적 공간형태를 탈피하기 위해 주동의 분절을 통해 구성요소를 늘림으로써 선형공간으로서 인식될 수 있는 기하학적 형태공간의 형성을 유도하였다. 2. 본 연구를 통한 도출된 문제점들은 좀 더 근본적이고, 원론적인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첫째, 가장 큰 현실적 문제는, 대부분의 거주자들은 보다 높은 질적 주거환경을 위한 재개발이라기보다는, 재산적 가치 상승을 위한 경제적 수단에 큰 비중을 두고 있는 인식의 차이가 건축 계획적 제안에 가장 큰 한계를 지우고 있다. 둘째, 우리나라의 주거환경개선사업, 재건축, 재개발등에 대한 도시계획의 법적, 제도적 정책에 비추어 보았을 때, 대부분의 기준이 기능주의적 관점에서 반영된 것으로서, 지역성 및 거주자를 위한 사회, 문화적 다양성의 반영에 융통성을 발휘하기에는 한계와 현 실정에 적용하는데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셋째, 사회적·문화적부문 전반에 걸친 지역성의 반영이나, 역사적 Context의 반영을 위한 시간적 차원의 결여 또한 현실적 한계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역사, 지리적인 도시계획 전반에 영항을 미치는 물리적 요소에 대한 순차적인 연구와 정책 마련은 좀 더 심사숙고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과 한계를 가지고 제시하는 노후지역재개발에 대한 개선방향은, 기 조성된 도시구조를 재편하고 갱신하여 도시기능의 효율성을 높이고 도시미관의 향상을 고려하는 종합적 측면에서 도시 내 노후불량 주거지의 주택개발과 주택공급확대의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으므로, 보다 종합적이고 발전적인 주거환경개선 방안들의 모색에 있어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주거환경의 개선방향은, 거주자 요구에 의한 경제성을 우선하여 전제한 하나의 개선방안을 제시한 것이므로 이론적 측면에서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이상적 대안으로서는 어느 정도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는 거주자의 경제적 부담이라는 현실적인 문제를 간과 할 수 는 없으며 거주자의 인식의 변화와 함께 향후 보다 구체적이고 다양한 개선방안들이 지속적 연구를 통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Since 1970's, Korea has suffered from various problems including shortage of land and houses, traffic conges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s due to the rapid industrialization. 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housing areas built in such a process have been obsolete with poor infrastructures and living environment. Meanwhile, the government has endeavored to improve the housing conditions and as a result, the physical environment seems to have been much improved, but other various quality problems such as lack of community spaces and citizens' diverse complaints not resolved are still to be solv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ddress the problems of a redevelopment area (243th area of Bul-kwang-dong, Eun-pyoung-gu, Seoul) through a field survey and thereupon, suggest some feasible architectural solutions to them, while identifying the gap between actual reform measures and ideal ones. The architectural solution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sample area should be redeveloped as a whole to rearrange and expand the infrastructures and improve the living environment effectively. Second, amenities should be constructed in consideration of the community with neighboring areas. Third, it is necessary to plan the in-complex roads in consideration of residents' circulations and separate the vehicle routes from pedestrians' and introduce a deck parking system conforming to its topography to solve the parking problems. Fourth, clubhouse and large-scale event plaza need to be built in the center of the complex to be connected with each other, while small-scale community spaces should be deployed in each zone to create a spatial hierarchy. Fifth, low-rise buildings should be laid out on street sides and outer blocks, while high-rise buildings be deployed in the center, to vary the skyline. Sixth, unit apartment sizes need to be more diversified to meet residents' changing needs, but in case of this redevelopment project, 80% or more of the unit apartments should be built as narrow as 85㎡ or narrower in terms of exclusive area. Seventh, the basic units of the apartment buildings should be #4 tower type and #2 flat type for higher density of living spaces and spatial variations. On the other hands, this study identified more fundamental problems of the subject redevelopment project as follows; First, the project focuses on higher asset values rather than residents' quality housing environment. Second, most of the criteria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regardless they are living environment improvements, reconstructions or redevelopment are too functional to meet residents' changing socio-cultural needs. Third, local conditions and historical contexts are seldom reflected on the redevelopment projects. This study may be significant in that it addressed the problems of urban redevelopment projects and suggested their solutions. However, since the solutions suggested by this study are dictated by residents' needs with the economic considerations, they may not be reasonable and ideal alternativ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which will suggest more detailed and diversified solutions to urban redevelopment project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71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07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ARCHITECTURAL ENGINEERING(건축공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