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8 0

도시건축의 장(Field)에 관한 연구를 통한 인사동 복합문화센터 계획안

Title
도시건축의 장(Field)에 관한 연구를 통한 인사동 복합문화센터 계획안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ield of metropolitan architecture : A design on Insa culture arts center
Author
박미영
Advisor(s)
이강업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인 양과 질의 양측 면에서 역동적인 양상으로 변화하는 도시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 건축의 영역에서 현대 도시 건축의 변화 양상을 인식하고, 이를 위한 새로운 전략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론을 찾는데 있다. 현대 도시의 변화에서는 특히 이전에는 인식하지 못했던 비물리적인 동인의 영향이 절대적으로 나타나는데, 이를 포착하고 그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방법론을 모색하는데 있어서 19세기에 비물리적인 요소를 인식하는 시발점이 된 현대 물리학의 장개념(field theory)과 그 이후의 세계 인식의 패러다임의 변화는 중요한 모범이 된다. 장개념 이전의 고전물리학에서는 세계를 현상세계에서 실질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물리적인 입자와 이를 둘러싸고 독자적인 질서를 가지는 배경 공간으로 분리하여 이해하였다. 반면 패러데이 이후 발전된 장개념은 세계를 공간에 변화를 일으키는 힘이 잠재해 있으며 그것이 물리적인 실체를 통해 현재화 하는, 시공간과 입자가 의존적인 통합체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과학 개념의 변화에 의해 인식의 패러다임은 물질(입자)과 비물질(공간)이 분리되지 않고 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변화하였다. 이는 도시 건축을 이해하는 방법에도 적용되는데, 우리는 비물리적이지만 공간에 산재해 있는 힘-정보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으며, 이것을 통해 변화하는 도시의 양상-탈영역화, 비위계화, 지역적 제한의 없음, 비물리적 네트워크화 등-을 이해하게 된다. 실계에서도 이러한 변화를 포착하기 시작한 것은 근대 건축가들이었지만 그들의 작업은 인식의 차원에서 머물거나, 이를 물리화하는 과정에서 정보의 흐름을 그대로 물질화하는 물질-배경의 이분법적 구도로 귀착하는 한계를 보여줬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장개념과 도시 건축 패러다임의 변화를 바탕으로 하여 ‘도시 건축의 장’이라는 개념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설계방법론들을 취득하고 프로젝트에 반영하고자 한다. 건축의 장 개념은 Stan Allen, Sanford Kwinter, Ben van Verkel 등 여러 현대 건축가들과 개념을 공유하는데, 도시 건축의 장이란 도시 건축의 비물리적인 동인과 그것이 현실세계에 구체적으로 나타나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한 사고의 틀이며, 비물리적인 동인을 정보의 흐름으로, 이것이 현상으로 드러나는 것을 사건의 발생으로 인식하며, 이러한 사건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시공간의 통합체적인 상태를 지칭한다. 이상의 도시 건축의 장은 현대 도시의 새로운 장소를 보여주며, 경험을 구축하는 건축으로 건축영역의 확장을 의도하며, 그리하여 새로운 공공영역으로서의 도시건축을 구축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시 건축의 장은 도시와 건축에서 나타나는 물리와 비물리의 경계, 도시와 건축의 경계를 소거하고 건축을 새로운 영역으로 확장하여 사고하는 방식을 보여주며, 우리는 이를 통해 ‘장’이 현대 도시 건축의 변화 양상에서 가능성을 가지는 하나의 방법론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653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587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ARCHITECTURE[S](건축대학원) > ARCHITRCTURE(건축디자인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