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1 0

'알레고리Allegory'의 관점으로 본 해체적 실험성과 해체 디자인 '형상언어'에 대한 연구

Title
'알레고리Allegory'의 관점으로 본 해체적 실험성과 해체 디자인 '형상언어'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onthedeconstructiveexperimentationandthedeconstruction design‘FigurativeLanguage’viewedintheaspectof'Allegory'
Author
김민정
Alternative Author(s)
Kim, Min-Jeong
Advisor(s)
최인영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시각 디자인은 시각 커뮤니케이션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비언어적 시각 기호를 통해서 이루어지며 정보제공과 동시에 '설득하기'라는 기능을 수행한다. 설득을 위해 예로부터 알레고리라는 수사어법이 사용되어 왔다. 알레고리는 한 시대의 문화와 미적 현상을 매개하는 역할을 해왔으며 또한 예술과 삶을 매개하는 범주로 활용되어 왔다. 이미지와 텍스트가 단독적으로 사용될 경우 서술 능력의 한계에 부딪히게 된다. 따라서 전통적 디자인에서 이미지와 텍스트는 서로 상호보완적 관계로 서로의 시각적 특징을 보완하거나 고정시켜주는 기능을 담당해왔다. 그러나 현대로 오면서 이미지의 역할은 커지게 되고 조형성을 추구하게 된다. 특히 형상언어는 텍스트라는 기호를 사용하여 시각 커뮤니케이션의 작용을 한다. 이는 언어적 속성과 시각적 속성의 양면을 지니고 있어 메시지 전달을 효과적으로 해왔다. 하지만 오늘날의 형상언어는 해체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의미 해석에 있어서 모호성, 난해성, 불확정성을 지니며 수용자의 참여를 유도한다. 메시지 전달보다는 수용자의 다양한 해석을 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형상언어가 언어-시각 기호로서 어떻게 이미지와 텍스트 사이의 관계를 형성하며 어떠한 의미를 생성하는지, 어떻게 독자들에게 설득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지를 연구하면서 알레고리와의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특히 오늘날 현대 해체 디자인 형상언어에 있어서 알레고리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접근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대적, 미적 매개체로서 알레고리에 관한 이론적 토대를 고찰한다. 한 시대의 디자인은 그 시대 문화의 반영이다. 이는 알레고리라는 수사어법을 통해 시각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졌다. 전통적 개념의 알레고리는 교훈적, 종교적, 우화적으로 풀어내는 표현 방식으로 의미전달 기능이 강한 표현이었다. 즉 커뮤니케이션 측면을 강조한 수사어법이었다. 그러나 현대로 내려올수록 매체의 발달과 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의 변화로 조형성이 강조되었고 알레고리 역할 또한 변화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현대 해체 디자인 형상언어에 있어서 알레고리의 새로운 가능성을 찾고자 한다. 둘째, 디자인 분야에서 특히 주목할 것은 형상언어의 해체현상이다. 이는 그 기초가 텍스트에 있어 해체의 가장 논리적인 시각적 확장 영역이 된다. 이미지와 텍스트는 해체, 중첩, 반복 등으로 조형성의 극대화 및 해석의 모호성과 난해성, 불확정성을 초래한다. 이러한 현대 디자인 형상언어의 표현과 데리다의 해체주의 철학을 연관 짓고 조형적 측면에서 해석한다. 셋째, 현대 해체 디자인 형상언어의 표현은 단순히 새로운 사회 환경과 발전된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른 산물로만 생겨 난 것이 아니라 역사적으로 밀접한 연계성이 있다. 해체 디자인 형상언어의 표현은 과히 실험적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실험성은 모던 디자인 형상언어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이로써 현대 형상언어의 해체적 실험성의 근간에 모던 디자인 형상언어가 존재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따라서 먼저 모던 디자인 형상언어에서 해체적 실험성이 강한 추상적 형상언어를 실험 형상언어 인자를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특정 정보를 강조하고, 각 요소들 간의 관계를 드러내며, 의미해석이 가능하도록 도와주는 형태 구성 원리를 통해 추상적 디자인 형상언어와 해체 디자인 형상언어 표현의 특징을 분석한다. 이로써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한다. 첫째 현대 해체 디자인 형상언어의 표현은 알레고리적이며 설득력 있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된다. 현대 해체 디자인 형상언어의 이미지와 텍스트는 중첩, 해체, 왜곡 등의 조형적 극대화로 존재하며 그 의미는 난해하고 모호하며 독서불가능하다. 따라서 의미는 지속적으로 치환된다. 현대에서 알레고리는 단지 비유적으로 다르게 말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해석에 있어서 지속적으로 치환되어 결정적인 의미에 다다를 수 없음을 지적했다. 해체 디자인 형상언어에서의 알레고리는 커뮤니케이션의 접촉 가능성 혹은 독자 기능성에 강조점을 둔다는 점에서 일방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아닌 양방향의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현대 디자인 형상언어의 표현은 알레고리적이라 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설득적 시각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해체 디자인 형상언어는 디자이너와 독자와의 새로운 대화의 장으로 인터랙티비티interactivity의 공간이 된다. 오늘날 해체 디자인 형상언어는 먼저 난해하다. 무엇을 의미하는지, 무엇을 표현하려는지 그 의미를 이해하기가 어렵다. 텍스트가 위주가 되어 읽기 쉽고 이해하기 쉬워야하는 디자인 형상언어가 해체되고 흩어지고 중첩됨으로써 커뮤니케이션에 어려움이 뒤따른다. 메시지보다 메시지의 전달 상황을 강조하는 기능이 우선시 된다고 볼 수 있다. 결국, 이는 해석 행위의 중요성 그리고 독자의 개입과 그 해석과정을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여러 가지 갈래로 그 해석들이 나올 수 있는 열린 지평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해체 디자인 형상언어에 있어서 이미지와 텍스트는 중첩, 해체, 왜곡된 표현을 통해 지속적인 기호를 탄생시키며 끊임없이 의미는 생산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해체 디자인 형상언어를 디자이너와 독자와의 새로운 대화의 장으로 독자에 말 건네며 다른 의미로의 치환을 유도하는 인터렉티비티의 공간으로 해석한다. 셋째 현대 해체 디자인 형상언어의 표현은 역사적으로 연계성을 지닌다. 현대에서의 해체적 디자인 형상언어의 표현은 단지 새로운 사회 환경과 발전된 디지털 기술의 산물로 생겨난 디자인 스타일이 아니다. 오늘날 형상언어에서 해체적 표현은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으로 연계성이 있다. 이에 먼저 모던 디자인 형상언어에서 해체적 실험성을 가진 추상적 형상언어를 실험 형상언어 인자와 형태 구성 원리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실험 형상언어의 가능성을 탐색하였고 알레고리의 역할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추상적 형상언어의 현대적 위상 및 현대 디자인 형상언어가 매체의 발달에 의한 산물이 아니라 역사적으로 뿌리를 두고 발전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오늘날 해체 디자인 형상언어 표현은 추상적 형상언어의 실험적 연장이 되며 그의 확대 개념으로 해석하였다. 이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디자인 형상언어에 대한 재조명과 더불어 해체 형상언어 디자인 패러다임 정립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고자 한다. 또한 해체 디자인 형상언어의 알레고리 표현을 통한 새로운 시각 커뮤니케이션 인식의 장의 확대를 기대해 본다.; Visual design aims for visual communication. This is realize through non-linguistic visual signs, and performs functions of providing information and persuasion at the same time. For persuasion, a rhetoric called allegory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This has played the role of mediating each age’s culture and aesthetic phenomenon, as well as art and life. If image and text are independently used, each element faces limits in their descriptive capacity. Therefore, in traditional design, image and text are complimentary, supplementing or fixing each other’s visual characteristics. However, with the advent of the modern age, the role of image became greater, pursuing formativeness. Especially, formative language conducts visual communication using a sign called text. This has a two faced characteristic, that of linguistic and visual, being capable of effective message conveyance. However, formative language of our age is being disintegrated. This induces the participation of the receiver, having traits such as ambiguity, abstruseness, and in determine ability in the interpretation of meanings. That is, it rather pursues the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e receivers than message conveyance. In this study, I intend to observe how figurative language forms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 and text as a linguistic visual sign, how it creates meanings, and how it conveys messages persuasively to readers, while attempting access to allegory. Especially, I plan to study the role of allegory in the aspect of modern, disintegrated design formative language. First, I observe the theoretic foundation about allegory as a historical and aesthetic medium. The design of a specific age reflects the culture of the time. Visual communication occurred through the rhetoric of allegory. Therefore, in this study, I view allegory as a historical, culture medium as well as the tool of persuasive communication. The traditional concept of allegory was a representative that emphasizes the function of conveying meaning, as a descriptive method that uses instructive, religious, and fable-like strategies. However, as time went by, formativeness was stressed with the development of media and the changes in the communication paradigm and the role of allegories have also chang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the new possibility of allegory in the aspect of modern disintegrative design figurative language. Second, what we should especially fix our attention to, is the disintegration of formative language in the design sector. The foundation becomes the most logical visual realm of expansion with regards to texts. Image and text has brought the maximization of formativeness through disintegration, overlapping and repetition, and entails ambiguity, abstruseness, and in determine ability in the interpretation of meanings. In this study, I will interconnect such representations of the modern design figurative language and the Deconstruction of Derrida, and interpret it in the formative aspect. Third, the representation of the modern disintegrative design figurative language is not a mere product of the new social environment and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but historically has close interrelation. The representation of the disintegrative design figurative language can indeed be regarded as being experimental. Such experimental traits can also be found in modern design figurative language. Therefore, I will first analyze the representation of the arbitrary figurative language into experimental figurative language factors. This emphasizes specific information, shows the interrelation among each element, and helps the interpretation of meaning. Thus, I intend to prove that the representation of arbitrary figurative language becomes the root of the modern disintegrative design figurative language descriptions. First, The representation of modern disintegrative design formative language is allegorical, and becomes a persuasive communication method. Image and text of modern deconstruction design 'Figurative language' is abstruse, ambiguous, and illegible, due to the formative maximization such as overlapping, disintegration and manipulation. Therefore, the meanings are constantly replaced. In the modern times, I had pointed out that allegory is not only a metaphorical and different description, but is constantly replaced in its interpretation and consequently cannot reach a definite meaning. Allegory in disintegrative design figurative language enables not unilateral but bilateral communication, in the aspect that it emphasizes the accessibility of communication or its individual functionality. Therefore, I could say that the representation of modern design figurative language is allegorical, and understand that more persuasive visual communication is possible though this. Second, Deconstructive design figurative language becomes the site of interactivity, as the new place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designer and readers. Nowadays, the deconstructive design figurative language is first, abstruse. What does it mean? What does it try to represent? It is hard to understand its meaning. The texts are difficult to comprehend as well. As design figurative language, which should be easy to read and understand by having texts in its central position, has been dispersed and overlapped, causing hindrances in communication. It can be said that the function of emphasizing the conveyance state of the message is being further stressed than the message itself. Consequently, this refers to the importance of the action of interpreting, the interference of readers and the interpretation process; it becomes an open horizon that leads to the interpretations through various paths. Also, image and text in disintegrative design formative language gives birth to consistent signs through overlapping, disintegration and manipulative representations, and the meanings are ceaselessly created. Therefore, I understand disintegrative design formative language as a space of interactivity, which accosts the readers through new conversations and induces replacement by another meaning. Third, The representation of modern disintegrative design formative language has historical connection. The representation of modern deconstruction design figurative language is not merely a design style born from new social environments and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These days, the disintegrative representation of figurative language has social, cultural and historical connection. First, I analyzed the arbitrary formative language that has disintegrative experimentalism in modern design formative language into experimental formative language factor sand formative organizing factors. By doing so, I observed the possibility of experimental formative language as well as the role of allegory. Also, I was able to find out that the modern status of arbitrary figurative language and modern design figurative language are not the result of the media’s development, but have progressed based on historical foundations. Also, the modern design formative language representation becomes the experimental expansion of arbitrary formative language, and I interpreted it as an expanded concept. Based on the above mentioned results, I intend to refocus on the design formative language, and assist the establishment of the disintegrative formative language design paradigm. Also, I expect the expansion of a new notion through allegorie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584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18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ESIGN(디자인학부)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