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3 0

CSCL에서 조정지원도구 유형이 공유정신모형과 팀 활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CSCL에서 조정지원도구 유형이 공유정신모형과 팀 활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Coordination Supporting Tool Types on Shared Mental Models and Team Activity in CSCL
Author
김현송
Alternative Author(s)
Kim, Hyun Song
Advisor(s)
김동식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CSCL(Computer 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환경에서, 팀 과제 수행 시 학습자들의 계획 활동, 역할 분담, 자료 및 의견 공유와 같은 조정활동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도구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서부터 시작하였다. 이를 위하여 조정지원과 관련하여 선행되었던 실증적 연구 및 개발 연구들을 고찰하여, 두 가지 유형 (점검 기능이 포함된 조정지원도구, 점검 기능이 포함되지 않은 조정지원도구)의 조정지원도구를 설계, 개발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했을 때 팀의 공유정신모형과 팀 과제 수행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조정지원도구의 적용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정지원도구의 제공 여부, 유형에 따라 팀의 공유정신모형 형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조정지원도구의 제공 여부, 유형에 따라 팀 과제 수행 활동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은 72명으로 점검 기능이 포함된 조정지원도구 집단에 24명, 점검 기능이 포함되지 않은 조정지원도구 집단에 24명, 별도의 도구가 지원되지 않는 통제 집단에 24명을 무선 배치하였으며, 4명으로 팀을 구성하여 팀 과제를 수행하도록 설계하였다. 팀 과제는 ‘웹 기반 수업의 장, 단점 분석 및 웹 기반 수업의 사례 찾기’였으며 2주간 제공된 조정지원도구를 사용하여 과제를 진행하였다. 과제 수행 초기와 후기에 5점 평정 척도를 활용하여 공유정신모형을 측정하였으며, 자동 저장된 학습자들의 로그파일을 분석하여 팀 과제 수행 활동을 살펴보았다. 학습자 로그파일은 로그인, 글쓰기, 글읽기, 답글 달기, 자료 다운로드 하기 등으로 분류되어 저장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팀 과제 수행 초기에 측정한 ‘초기 공유정신모형’의 평균 점수는 점검 기능이 포함된 조정지원도구를 제공한 집단, 점검 기능이 포함되지 않은 조정지원도구를 제공한 집단, 별도의 조정지원도구가 제공되지 않은 통제 집단 순으로 높았으며,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팀 과제 수행 후기에 측정한 ‘후기 공유정신모형’의 평균 점수는 점검 기능이 포함된 조정지원도구를 제공한 집단, 점검 기능이 포함되지 않은 조정지원도구를 제공한 집단, 별도의 조정지원도구가 제공되지 않은 통제 집단 순으로 높았으며,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둘째, 학습자들의 로그인, 글쓰기, 글읽기, 답변하기, 자료 다운로드 하기를 포함한 팀 과제 수행의 양은 점검 기능이 포함된 조정지원도구를 제공한 집단, 점검 기능이 포함되지 않은 조정지원도구를 제공한 집단, 별도의 조정지원도구가 제공되지 않은 통제 집단 순으로 높았으며, 활동 양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활동 별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면 로그인, 글 읽기, 자료 다운로드하기, 답변하기 등의 횟수는 점검 기능이 포함된 조정지원도구를 제공한 집단, 점검 기능이 포함되지 않은 조정지원도구를 제공한 집단, 별도의 조정지원도구가 제공되지 않은 통제 집단 순으로 높았으며, 횟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글쓰기의 경우 점검 기능이 포함되지 않은 조정지원도구를 제공한 집단, 점검 기능이 포함된 조정지원도구를 제공한 집단, 별도의 조정지원도구가 제공되지 않은 집단 순으로 높았으며, 횟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CSCL 환경에서 공유정신모형 형성과 원활한 팀 과제 수행을 위하여 조정 과정을 시각적으로 나타내주는 조정지원도구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조정지원도구를 통한 자료공유, 의견 공유, 역할 분배, 계획하기 활동과 같은 활발한 조정 활동은 공유정신모형 형성에 도움을 주었으며, 형성된 유사한 공유정신모형은 활발한 팀 과제 수행 활동에 영향을 주었다. 그러므로 팀원들의 조정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된 도구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공유정신모형 형성을 보다 적극적으로 촉진하기 위하여 조정지원도구는 점검 혹은 성찰을 유도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과제 수행 초기에 제공된 점검하기 프롬프트는 각자의 역할 및 계획, 필요한 자료 및 과제 수행을 위한 할 일에 관하여 생각해보도록 유도함으로서 초기 공유정신모형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과제 수행 중반에 제공된 점검하기 프롬프트는 변경된 계획 또는 변경할 필요가 있는 계획에 대하여 생각해보고, 중요한 자료를 서로에게 알려줌으로서 초기에 형성된 공유정신모형을 수정하고, 더욱 유사한 공유정신모형을 획득할 수 있도록 도왔다. 셋째, 학습자 참여를 높이고,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하여 조정지원도구는 점검 혹은 성찰을 위한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팀 과제 수행 과정에서 팀원들의 역할 및 과제 진행 과정에 대하여 점검해 볼 수 있는 점검하기 질문 프롬프트의 주기적인 제공은 학습자들에게 과제 수행에 대하여 반성해 볼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서 좀 더 긍정적인 과제 수행 활동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주기적인 반성 및 점검 활동은 사이트 접속 빈도를 높여 팀 활동 참여도 높아 질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two types of coordination supporting tools, the tools with monitoring prompts and the tools without monitoring prompts, on the development of shared mental models (SMMs) and team activity in a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CSCL). The main Hypothesi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Hypothesis 1. The coordination supporting tools with monitoring prompts condition groups have more similar shared mental models than the coordination supporting tools without monitoring prompts condition groups and the control groups. Hypothesis 2. The coordination supporting tools with monitoring prompts condition groups perform their tasks more collaboratively than the coordination supporting tools without monitoring prompts condition groups and the control groups. An experimental study was undertaken for two week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wo types of these tools in terms of team activities and shared mental models. SMMs were assessed on a 5-point Likert scale and team activity was analyzed by examining learners' logfiles, such as log-in, reading, writing, commenting and downloading. Seventy two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conditions, including the coordination supporting tools with monitoring prompts condition, the coordination supporting tools without monitoring prompts condition, and the control condition (six groups per condition). Team task was 'Analyze strength and weakness of Web-based learning and find the best example of Web-based learni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With regard to the first research ques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ool supports could enhance the similarity of SMMs. The average score of the pre-SMMs of the tools with monitoring prompts condition groups was highest and that of the tools without monitoring prompts condition group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condition groups.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ase of the post-SMMs, the average score of the post-SMMs of the coordination supporting tools with monitoring prompts condition groups was substantially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condition groups.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it comes to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analysis of learners' logfiles indicated that the tool with monitoring prompts condition groups performed the team task in a more collaborative manner than the tool without monitoring prompts condition groups and the control condition groups. To sum up, the study suggested two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coordination supporting tools are necessary for learners to acquire more similar SMMs and work collaboratively by showing shared information and visualizing coordination processes. Second, it would be necessary for learners to be provided meta-cognitive scaffolding, such as reflection notes and monitoring prompts, for inducing learners' reflective participation and stimulating development of SMMs and positive interaction.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for the design of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 which are designed to help learners' coordination activity.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470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533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AL TECHNOLOGY(교육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