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7 0

청소년의 자아효능감과 음주기대

Title
청소년의 자아효능감과 음주기대
Other Titles
Self-efficacy and alcohol expectancy in Adolescents
Author
이흔주
Alternative Author(s)
Lee, Heun-Joo
Advisor(s)
탁영란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청소년의 음주를 예측하는 음주기대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많으나 인지적 요인으로서의 자아효능감에 대한 것은 미비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음주와 관련된 자아효능감과 음주기대를 규명하고 이 변수들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소재 일개 중학교 학생 269명을 대상으로 Froman 등(2003)의 Middle School Self-efficacy Scale과 Christiansen 등(1989)의 개발한 음주 기대 설문-청소년유형(AEQ-A)을 사용하여 자아효능감과 음주기대를 측정하였으며 Cronbach α는 모두 .91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자아효능감은 3.31로서 비교적 높은 편이며, 음주기대는 5.16으로서 부정적 기대를 갖고 있음으로 나타났다. 자아효능감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일반적 특성으로는 주거상황, 경제수준, 성적, 건강상태, 화를 내는 정도였으며, 음주기대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특성으로는 학년, 성별, 한달용돈, 화를 내는 정도였다. 대상자 부모의 음주실태에 따른 자아효능감과 음주기대는 부의 음주유무가 음주기대와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으며, 모의 음주유무는 자아효능감, 음주기대와 유의한 차이가 있고 모의 음주회수는 대상자의 음주기대와 통계적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대상자의 자아효능감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음주 관련 항목은 음주경험이었다. 음주기대는 음주경험자의 음주관련 특성 중 음주경험, 최근경험, 술 구입 용이성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자아효능감과 음주기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상자의 자아효능감은 음주기대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 자아효능감이 높을수록 부정적 음주기대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음주기대와 자아효능감 사이의 관련성을 확인하였으므로, 음주기대와 자아효능감을 파악하는 것은 일차적 음주예방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alcohol expectancies in predicting alcohol consumption in Korean adolescents has been well studies. However, the role of self efficacy as cognitive factors is still not well understoo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elf efficacy and alcohol expectancy related to adolescents' drinking and investigate factors influence to these variables. The 269 middle schoolers completed Middle School Self-efficacy scale developed by Froman et al(2003) to measure an self efficacy, and the AEQ-A developed by Christiansen et al(1989) to assess their alcohol expectancies. Cronbach's α was .91 at both scales The data was analyzed bt SPSS WIN 12.0. The results are as follows; Self efficacy and alcohol expectancies were 3.31 and 5.16 each. The Self efficacy of participants was high comparatively. Students had negative alcohol expectacies. Demographic factors significant to self efficacy were residence, SES, grade, health status and anxiety frequencies. Alcohol expectancies were related statistically grade, gender, monthly poket money and anxiety frequencies. Alcohol expectancies were significant to parents' alcohol use, mother's drinking use and frequencies. Self efficacy was significant to mother's drinking use. Self efficacy related to drinking-based findings were only drinking experience. Alcohol expectancies were significant to drinking experience, recent alcohol use and alcohol accessibility. AEQ-A scale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MISSE scales, consequently alcohol expectancies were negative among adolescents with higher level of self-efficacy. Conclusively, Both alcohol expectancies and self-efficacy were associated significantly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correlations of these variables. The study indicate that postponing the onset of alcohol experimentation through examining alcohol expectancies and self-efficacy could be a major goal in primary alcohol prevention among adolescent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359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57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NURSING(간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