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58 0

중환자실 입원환자 가족의 요구에 관한 연구

Title
중환자실 입원환자 가족의 요구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Needs of the family members of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Author
장선영
Alternative Author(s)
Jang, Sun-Young
Advisor(s)
조성현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의 가족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경험하는 위기에 따른 간호의 요구를 파악하여 그들이 가족의 간호에 함께할 수 있고, 의료진과 상호 신뢰할 수 있는 관계를 이루며, 더 나아가 그들의 위기상황을 고려하여 가족의 위기까지 고려할 수 있는 간호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중환자 가족이 지각하는 요구도를 파악하고 그와 관련된 요인들을 파악하여 중환자실 입원 환자 가족을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더 나아가 변화해 가는 한국 사회에서의 중환자 가족의 요구를 범문화적으로 비교해 보고 중환자 가족 간호의 미래지향적 계획에 도움을 주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2개의 종합병원 중환자실 입원환자 가족이 지각하는 요구를 확인하고 그와 관련된 요인들을 규명함으로서 입원환자 가족을 위한 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얻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은 2006년 9월 18일~10월8일까지 서울시에 소재하는 2개의 대학병원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의 가족을 대상으로 110부의 설문지를 배포, 그 회수율은 96.36%로 대상자 선정 기준에 알맞은 97명의 중환자의 가족 106명에 의해 시행되었었고, 연구목적을 설명한 후 허락한 경우에 설문지를 배부, 작성하도록 하였다. 연구도구는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 가족의 요구도를 측정하기 위해 Molter(1979)가 개발하고 후에 1991년 Leske에 의해 적용된 Critical Care Family Needs Inventory(CCFNI)의 45문항을 전문가 3인, 영문학 전공자 1인에 의해 수정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alpha는 0.96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12.0)을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다. 전체 요구도는 3.42로, 확신을 받고자 하는 요구가 가장 높았으며, 치료 및 정보에 대한 요구, 접근(근접)에 대한 요구, 가족의 안락에 대한 요구, 정서적으로 지지받고자 하는 요구 순으로 나타났다. 각 세부 영역들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환자실 입실경로에 따른 전체 가족의 요구도는 응급실이 외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외과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의 가족들이 내과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의 가족들에 비해 정서적으로 지지받고자 하는 요구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환자실 입원경로에 따른 요구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정보에 대한 요구에서 외래보다는 응급실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접(접근)에 대한 요구는 응급실이 외래나 병동보다 높았고, 병동이 외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환자 가족의 특성에 따른 영역별 요구도를 보면, 종교가 없는 가족이 있는 가족보다 더 지지받고자 하는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가족을 환자의 간호계획에 포함하여 그들의 요구를 충족시켜주고 건강자원으로 이용하여야 하며 전인간호의 접근을 위해 가족의 요구에 대한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또한 각 영역별 요구도의 유의성에 따른 개별화된 간호중재 방안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부분별 요구는 미국의 여러 연구에서도 시간이 흐름에 따라 그 영역별 요구도가 본 연구와 비슷해지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도구가 요구도를 반영한 것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점차 우리 사회가 서구화 되는 요인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다가오는 미래의 간호전략에 변화하는 중환자 가족 요구도가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confirm needs of the family members of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in university- hospital. Also it will help hospital staff members provide effective nursing plans and make a good relationship with the family members. Futhermore, it compares other cultural needs with ours. For this purpose,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group of 106 family members of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in two university-hospitals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8th of September 2006 to 8th of October 2006. The instrument used for this study was translated Critical Care Family Needs Inventory(CCFNI) which was developed by Molter(1979). Chronbach alpha to show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was .96 for this subject group. SPSS 12.0/PC program was used to conduct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as follows: Needs of the family members of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are categorized into five types. The average point of needs was 3.42. The majority of the top ranked needs are consisted of assurance and information needs, which is compatible with other research using the CCFNI. According to the admitted route, average needs of the family members through the emergency room(ER) were higher than outpatient members, and needs of the surgery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family members were higher than others in support. Also, routes of admission affect the needs of information and proximity. And Needs of the support was related with having religion. In conclusion, careful interpretation of this study is required, family members of intensive care unit demand higher than needs of all parts, so hospital staff must consider not only patients but also their family members. Futhermore nurses must develop the effective nursing program covering all fields of needs and predict the future needs by comparing other countrie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358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51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NURSING(간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