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3 0

20대 비만 남성을 위한 의복 치수 체계에 관한 연구

Title
20대 비만 남성을 위한 의복 치수 체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pparel Sizing System for Obese Men in the 20s : Focusing on Casual Wear-
Author
윤지원
Alternative Author(s)
Yoon, Ji- Won
Advisor(s)
서미아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 의류산업은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제품생산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나 기성복 업체는 여전히 체형의 다양성을 수용하지 못하고 있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비만 체형을 위한 치수 만족도가 높은 새로운 의류 치수체계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20대 비만 남성들의 캐주얼의복 만족도와 국내 기성복 캐주얼 브랜드의 의류 생산현황 및 치수체계 실태를 조사하고,‘제5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측정자료 중 20대 비만 남성의 인체측정치와 현재 브랜드 생산치수와의 적합성 분석을 통해, 비만 남성 체형의 구체적인 인체치수를 반영한 새로운 치수체계를 제안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20대 비만 남성 1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캐주얼의복 맞음새 만족도와 문제점을 알아보았으며, 국내 13개의 캐주얼 브랜드 조사를 통해 캐주얼의복 치수실태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에서 시행한‘제5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자료 중 BMI지수 25이상을 만족하는 20대 비만 남성 총 159명의 인체측정치를 이용하여 20대 비만남성을 위한 캐주얼용 상의와 하의의 새로운 치수규격을 제안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Ver.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하였으며,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교차분석,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20대 비만 남성들의 캐주얼의복 맞음새 만족도 조사결과, 20대 비만 남성들은 의복 구입시 사이즈에 불만이 가장 많았고, 해당 사이즈의 옷을 입었을 경우에도 46.7%가 맞음새가 좋지 않은 경험이 자주 있다고 응답하여 의류 사이즈 체계에 문제점이 많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부위별 맞음새는 티셔츠의 경우 앞품이 불만족이 가장 많은 부위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배둘레와 옷길이, 소매길이, 어깨사이길이, 가슴둘레, 허리둘레 순으로 나타났다. 남방 ? 셔츠의 경우는 목둘레가 가장 잘 맞지 않는 부위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옷길이와 소매길이 순으로 나타났으며, 점퍼와 캐주얼재킷의 경우 소매길이 불만족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옷길이 불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상의류의 불만족 부위 결과를 볼 때 티셔츠의 불만족 부위가 가장 많이 나타났는데 이는 티셔츠의 경우 대부분 신축성이 있는 소재가 사용되며, 최근 피트성이 요구되는 트랜드 경향으로 제품치수가 다른 상의류보다 작게 생산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라고 판단된다. 그리고 바지의 경우 바지길이가 가장 불만족이 높은 부위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넙다리둘레, 엉덩이둘레, 배둘레, 허리둘레 순으로 잘 맞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살펴볼 때 하의 치수체계 설정시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외에 비만 체형의 경우 넙다리둘레 치수 또한 중요 치수로 고려되어져야 한다고 판단된다. 2. 캐주얼 브랜드의 의류 생산현황 및 치수체계 실태 조사결과, 생산하는 호칭의 종류는 브랜드별로 차이가 있었는데, 상의류의 경우 3종류의 호칭을 생산하는 브랜드가 가장 많았으며, 하의류의 경우 4종류의 호칭을 생산하는 브랜드가 가장 많았다. 대부분의 브랜드에서 상의보다 하의의 치수를 더욱 다양하게 생산하고 있는 것은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이 의복을 구입할 때 허용하는 여유량의 범위가 가슴둘레보다는 허리둘레가 더 작고, 허리둘레는 신체에 잘 맞아야 착용할 수 있는 부위이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비만 남성의 인체치수는 가슴둘레 126.5cm, 허리둘레 126.6cm까지 분포되어 있으나, 티셔츠는 가슴둘레 98~115cm 사이에 대부분의 제품치수가 분포되어 있었고, 남방 ? 셔츠는 106~121cm, 점퍼는 106~120cm, 재킷은 103~117cm, 바지는 허리둘레 75~95cm 범위에서 대부분의 제품치수가 분포되어 있어 비만 체형의 치수는 일부 브랜드에서 확장된 치수가 다소 있기는 하나 대부분의 브랜드가 정상체형을 중심으로 치수가 전개되고 있어 비만 체형의 치수를 제대로 커버해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브랜드마다 품목별로 생산하고 있는 호칭의 종류가 다르고, 같은 호칭의 경우도 이에 적용하는 제품치수가 제각기 달라 업체간의 공통성이 결여되어 있었다. 또한 기준치수의 설정이나 제품치수 설정시 인체치수에 대한 인식이 낮아 실증적 인체측정자료에 근거한 과학적인 정보를 갖추고 있지 못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보다 적합한 의복을 구입하여 착용하고자 하는 비만층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주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사이즈 코리아 인체측정치 분석을 통해 알아본 20대 비만 남성 체형은 20대 비만 남성의 인체측정치를 BMI 18.5~25미만 범위의 보통체형과 비교 분석한 결과, 너비항목, 두께항목, 둘레항목 모든 부위와 높이항목 중 샅높이, 길이항목 중 겨드랑앞벽사이길이, 겨드랑뒤벽사이길이, 어깨사이길이, 샅앞뒤길이가 유의수준 p<0.001이하로 유의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길이항목 중 앞중심길이가 유의수준 p<0.01이하로 유의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높이항목 중 배꼽수준허리높이, 길이항목 중 등길이가 유의수준 p<0.05이하로 유의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차가 나타난 항목 중 샅높이, 배꼽수준허리높이는 비만체형이 보통체형에 비해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나머지 부위는 비만체형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비만체형의 경우 의복 제작시 너비치수에 영향을 주는 너비, 두께, 둘레항목은 보통체형보다 크고, 의복제작시 길이치수에 영향을 주는 키, 총길이, 팔길이, 다리가쪽길이는 체형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오히려 샅높이는 비만체형이 더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의류 생산업체에서 의복 제작시 큰 호칭일수록 일정량의 너비와 길이 편차를 모두 늘려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경향을 미루어 볼 때, 특히 비만 체형의 경우 너비가 몸에 맞는 큰 치수의 옷을 구입할 경우, 너비부위에 비해 정상체형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길이부위에 대한 맞음새가 좋지 않고 큰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소비자 조사에서도 의복길이에 대한 불만족이 많이 나타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의류 생산업체에서 의복 제작시 이러한 비만 체형의 특성을 고려한 의류 치수체계가 필요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4. 비만 남성을 위한 의류 치수체계를 제안하기 위하여 먼저 기본부위 설정에 있어 상의는 키와 가슴둘레, 하의는 키와 배꼽수준허리둘레로 하였다. 엉덩이둘레 항목은 참고부위 치수로 제시하였고, 치수간격은 키는 5cm로 구간을 설정하였고, 가슴둘레는 3~4cm, 허리둘레는 2~5cm로 치수에 따라 부등 간격으로 설정하였다. 상의의 치수체계로 98-165, 98-170, 101-175, 105-170, 105-180, 109-175, 109-185, 113-175로 8개의 치수체계를 제안하였다. 하의의 치수체계로 86-165, 86-170, 88-170, 88-175, 91-180, 94-175, 94-180, 98-185, 103-180으로 9개의 치수체계를 제안하였다. 또한 의복제작과 관련 깊은 항목, 즉 상의의 경우 목둘레, 어깨사이길이, 겨드랑앞벽사이길이, 겨드랑뒤벽사이길이,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위팔둘레, 팔길이, 앞중심길이, 등길이로 10항목과, 하의는 엉덩이둘레, 넙다리둘레, 샅앞뒤길이, 샅높이, 다리가쪽길이로 5항목을 선정하여 각 호칭별로 참고부위 치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소비자 맞음새 만족도와 캐주얼 브랜드의 치수실태 조사로 문제점을 이해하고, 실제 측정치를 기초로 한 비만 남성들의 치수체계를 제안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자료는 비만 남성들의 기성복 맞음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또한 20대 비만 남성을 대상으로 하는 의류업체의 치수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atisfaction to casual wear of obese men in twenties and status of casual wear production and sizing system about domestic ready to fit casual brand and to propose new apparel sizing system considering obese men's body size through the suitability analysis between body measurement of obese men in twenties reported in 'Fifth Korean national physical standard reports' and current sizing system of casual wear. For this study, satisfaction to casual wear fit was examined through the survey of 152 obese men in twenties and status of casual wear production and sizing system was examined through the survey of 13 domestic casual wear brand. and new apparel sizing system to casual wear was proposed for obese men in twenties through body measurement of 159 obese men in twenties of BMI 25 and over reported in ‘Fifth Korean national physical standard reports’ conducted by SIZEKOREA. For the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rosstabulation and t-test were performed and statistically analysed using SPSS Ver. 12.0.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The result of survey on satisfaction to casual wear fit of obese men in twenties regarding unavailability of proper size when they purchase casual wear and frequent experience by 46.7% of surveyed men to unsatisfactory fit when they put casual wear in their size showed lots of problem in current apparel sizing system. The dissatisfaction factors for the size of casual wear was found mostly the Front gnterscye length and next problems are belly circumference, total length, sleeve length, shoulder width, chest circumference and waste circumference in case of T-shirts. In case of shirts, most problem was neck circumference and next problems with total length and sleeve length. Jumper and jacket was investigated that sleeve length was first and total length was next problem. As it was mentioned above, most of dissatisfactory parts were on T-shirts in upper wears. It is considered to be caused by T-shirts being produced with smaller size than other upper wear because T-shirts are mostly produced with stretchy fabric and fitness is required in recent trend. In case of slacks, most problem was slacks length, next problems with thigh circumference, hip circumference, the belly circumference and waist circumference. Repair of apparel size was mostly on decrease of slacks length. The investigation on satisfaction to casual wear fit was resulted in length size should be considered as major important factor as well as circumference size for determination of apparel size system. 2. The result of survey of casual wear brand showed that there was lack of unification between each company due to that each brand produced with different size code and same size code produced with different dimensions between each company. And systematic information based on actual body measurement data was not available due to lack of knowledge about body size in determination of standard size or product siz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standard apparel sizing system is required for effective casual wear production because consumer's demand to wear more fitted clothes is not satisfied and especially sizing system for obese men is not covered. 3. The result of analysis between body measurement of obese men in twenties and ordinary body shape in BMI index 18.5-25 shows that width, depth and circumference items influencing width size when producing clothes bigger in obese body shape than ordinary body shape and stature, total length, arm length and outside leg length influencing to length size are similar between obese body shape and ordinary body shape but crotch height is rather shorter in obese body than ordinary body. The result of above mentioned analysis shows that length sizes are not fitted and longer than actual body size when purchasing bigger size of clothes to fit for obese body's width due to expand both of width and length deviation for bigger code size when producing clothes by garment company.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apparel sizing system considering specialty of such obese body size is required. 4. The control dimensions to propose apparel sizing system were stature and chest circumference for the upper garment and stature and waste circumference(omphalion) for lower garment. Interval between size were 5cm for stature and irregular for chest and waste circumference. Consequently, 8 sizes were proposed for upper garments by 98-165, 98-170, 101-175, 105-170, 105-180, 109-175, 109-185, 113-175 and 9 sizes were proposed for lower garments by 86-165, 86-170, 88-170, 88-175, 91-180, 94-175, 94-180, 98-185, 103-180.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problem was investigated through survey on satisfaction to casual wear fit of obese men in twenties and status of sizing system of casual wear company and new apparel sizing system based on actual measured data was proposed.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fitness of ready-made clothes for obese men, especially to plaining sizing system for clothes for obese men in twentie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30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525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LOTHING & TEXTILES(의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