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0 0

교사개입전략을 통한 비사회적 유아의 또래관계 변화과정

Title
교사개입전략을 통한 비사회적 유아의 또래관계 변화과정
Other Titles
A Case Study on the Changing Process of Isolated Children‘s Peer Relationship through Teacher's Intervention Strategies
Author
박은미
Alternative Author(s)
Park, Eun-Mi
Advisor(s)
김명희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strategies of the teacher's intervention to improve isolated children's peer relations and to conduct an action research.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What were the characteristics of isolated children's behavior and peer relationship? 2. How were the teacher's intervention strategies to develop to improve isolated children's peer relationship? 3. How was the changing process of isolated children's peer relationship through the teacher's intervention strategies? The pilot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research institutions from March 7 to April 11, 2006.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May 10 to September 6, 2006 with two children who were selected in a non-random manner from the class five-year-olds at a kindergarten annexed to an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 Province. The methodology included classroom observations, in-depth interviews, and document reviews, whose results were analyzed in contents. Field notes, videotaping, photographs and recording were employed to collect data.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mmon behavioral characteristic of the two isolated children was social withdrawal. Individually, case 1 showed the maladaptive behavioral characteristic due to emotional uneasiness, and case 2 showed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disability due to the disability. The two kids revealed a low frequency of peer interaction and unsocial play as the common characteristic of peer relations. Individually, case 1 and case 2 showed passive isolation and active isolation, respectively. Second, the intervention strategies to improve their peer relations were reorganized as the teacher's intervention strategies combined with the actual edu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solated children's behavior and peer relations and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y. In the application process through the discussion with the participant teacher, the cycle of planning, implementation, and reflection was repeated. Applied over three times, the intervention strategies went through trial and error becoming stabilized and expanded. The essential contexts to the successful application of the intervention strategies included the situation outside the classroom, the teacher's receptive attitude, and the voluntary motivation. Third, the changing process of the participants was examined. As a result, case 1 child improved the peer relations by getting emotionally stabilized through the intimacy with the teacher, attempting peer contacts, experiencing positive peer relations, increasing prosocial behavior, and reducing maladaptive behavior. The individual changes of case 1 resulted in peer reception. Case 2 child enhanced the peer relations going through a transitional stage involving conflicts with peers, increased negative behavior, and negative self-perception. The positive attitude changes and cooperation of the teacher, peers, parents as well as the child led to effective peer reception. In the teacher's case, through the process of reflection, she came to conduct reflective teaching in implementing curriculum.; 본 연구는 비사회적 유아의 또래관계 개선을 위한 교사개입전략을 구성하고 이를 적용하는 질적 실행연구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관계 개선을 위한 개입전략 개발에 있어 비사회적 유아의 개별적 특성과 또래관계의 복합성, 그리고 자연적 교실 상황에서의 적용가능성을 고려한 실천적 사례 제시에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비사회적 유아의 행동특성과 또래관계 특성은 어떠한가? 2. 비사회적 유아의 또래관계 개선을 위한 개입 전략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3. 개입 전략을 통한 비사회적 유아의 또래관계 변화과정은 어떠한가? 연구의 절차는 본 연구에 앞서 3월 7일부터 4월 11일까지 3곳의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사전연구를 진행하였다. 사전연구를 통한 현장 이해, 연구 설계 보완과 수정과정을 거친 후 5월 10일부터 9월 6일까지 본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연구목적의 논리적 적합성과 연구동의 과정을 거쳐 경기도에 위치한 병설유치원 만 5세반에 재원중인 2명의 연구 참여 유아를 선별하였다.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 방법으로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문서자료와 선행문헌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고, 현장기록과 비디오, 사진, 녹음기를 병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들은 부호화하고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비사회적 유아 2명을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사회적 유아의 행동특성은 공통적으로 사회적 위축 특성을 나타내었다. 개별적으로 사례 1의 경우엔 정서불안으로 인한 부적응적 행동 특성을 나타내었고, 사례 2의 경우엔 선천적 장애로 인한 정서 및 행동 장애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래관계 특성은 공통적으로 낮은 또래상호작용 빈도와 비사회적 놀이특성을 나타내었다. 개별적으로 사례 1의 경우엔 참여유아와 또래들 간의 무관심으로 인한 소극적 고립 특성을, 사례 2의 경우엔 또래들의 거부와 같은 적극적 고립 특성을 나타내었다. 둘째, 또래관계 개선을 위한 개입전략은 비사회적 유아의 행동특성과 또래관계 특성, 문서자료, 선행문헌 분석을 근거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또래관계 개선을 위한 전략들은 실제 교육활동과 통합된 교사개입 전략으로 재구성하였다. 구성된 개입전략은 참여교사와의 협의과정을 통해 적용되었다. 적용과정은 개입전략의 구성, 적용, 평가와 이를 반영한 재구성과 같은 순환적· 반성적 과정을 거쳤다. 크게 1, 2, 3차로 나뉘어 적용된 개입전략은 시행착오를 거치며 안정화되고 확장되어갔다. 개입전략의 성공적 적용에 있어 교실 외부적 상황, 교사의 태도와 기대, 유아들의 자발적 동기부여가 중요한 맥락으로 작용하였다. 셋째, 연구 참여자의 변화과정은 사례 1의 경우엔 교사와의 친밀감 형성을 통한 정서적 안정, 또래접촉 시도, 긍정적 또래관계 경험, 부적응적 행동 감소와 친사회적 행동증가의 과정을 거치며 또래관계가 개선되었다. 소극적 고립 특성을 가진 사례 1의 경우 긍정적 정서경험을 통한 불안 완화, 긍정적 자아감 형성 같은 유아 개인의 변화가 또래수용으로 연결되었다. 사례 2의 경우엔 또래들과의 갈등과 부정적 행동 증가, 부정적 자기 지각 같은 과도기적 과정을 거치면서 또래관계가 개선되었다. 적극적 고립 특성을 가진 사례 2의 경우엔 유아 개인 뿐 아니라 교사, 또래, 부모의 긍정적 태도변화와 협력이 효과적 또래수용의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참여교사의 경우 반성적 사고과정을 거치면서 소극적 참여자의 모습에서 자율적 의사결정자로서의 변화과정을 나타내었다. 참여교사의 변화요인으로는 부모, 연구자와의 교류, 협력을 통한 동기부여와 지지, 스트레스 완화가 중요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하며, 학습과 평가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만들어가는 진행형 교육과정의 중요성을 시사하며, 하나의 협력적 실천 모델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25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573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ARLY CHILDHOOD EDUCATION(유아교육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