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5 0

비디오테이프의 증거능력에 관한 연구

Title
비디오테이프의 증거능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regarding video tape
Author
한성훈
Alternative Author(s)
Han, Sung-Hoon
Advisor(s)
김재봉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비디오테이프는 법률이 예상하지 못한 증거방법으로서 그 증거능력에 관하여 현행 형사소송법상 명문의 규정이 없다. 그러므로 비디오테이프의 증거능력에 대한 논의는 그 매체의 특수성을 고려한 학계와 판례의 입장을 토대로 고찰해야한다. 즉, 비디오테이프는 사진 이상으로 촬영대상의 상황과 피촬영자의 대화가 녹화된 것이고, 녹음테이프와는 달리 피촬영자의 동태를 그대로 재현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녹화부분은 사진에, 녹음부분은 녹음테이프에 준하여 증거능력을 인정할 수 있다. 먼저 비디오테이프의 증거능력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그 유형을 다음과 같이 나누어서 살펴보아야 한다. 첫째 비디오테이프에 수록된 일부화면을 정지화면으로 사진화 한 경우 진술증거설과 비진술증거설의 대립이 있으나 정지화면을 사진화 한 경우도 그 일부 화면도 녹화된 전체 중에서 이해해야 하고 촬영자나 편집자 등에 의한 인위적인 허위 개작의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진술증거설이 타당하다. 둘째 진술이 전혀 없이 자연현상만이 촬영된 비디오테이프 경우, 진술이 전혀 없는 경우라도 본질적으로 동적 화면에 의하여 그 상황이나 행동이 일정한 의미를 갖게 되어 진술로 환원할 수 있기 때문에 진술증거설이 타당하다. 셋째 진술을 내용으로 하는 비디오테이프의 경우는 녹화된 내용 중 사람의 대화나 진술이 포함된 경우 그 진술부분에 관한 테이프의 녹화내용이나 검증조서의 기재는 실질적인 면에서 공판준비 또는 공판기일에서의 진술에 대신하여 진술을 기재한 서류와 다를 바 없다. 그러나 녹음테이프처럼 그 근거규정으로 형사소송법 제313조를 따를 것인지 아님 제311조 내지 제313조가 적용할 것인지에 관하여 동일한 문제가 발생하나, 다수견해처럼 일반적인 원진술자의 성격에 따라 제311조 내지 제313를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수사기관 및 사인에 의하여 수집된 증거인 사진 · 녹음 및 비디오테이프는 수집과정상 문제 즉 적법한 한계를 벗어나 위법하게 수집된 경우에도 증거능력을 인정할 수 있는 것인가의 문제가 있다. 이는 수사기관에 의한 비밀촬영으로 인해 수집된 증거는 헌법상 보장된 사생활비밀권을 침해하는 중대한 위법이 있으므로 원칙적으로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의 관점에서 증거능력을 부정해야한다. 수사기관 및 사인이 위법하게 촬영한 비디오테이프의 증거능력 인정여부에 관해 수사목적으로 피촬영자의 동의 없이 비디오촬영이 이루어진 경우 임의수사와 강제수사가 대립하나, 수사기관의 비디오촬영은 피촬영자의 초상권(헌법 제10조, 제37조 제1항),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헌법 제17조), 통신의 비밀보호(헌법 제18조) 등의 기본권을 침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녹음테이프와는 달리 음성과 함께 사건현장 내지 피녹화자의 용모와 자태를 모두 담아 낼 수 있고, 사진과도 달라서 피녹화자와 대화하는 경우도 많고 대화를 하지 않고 있더라도 피녹화자의 행태를 통하여 그의 행동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알 수 있으며 사진 이상으로 초상권을 포함한 개인의 주거의 자유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기 때문에 녹음테이프나 사진보다 기본권 침해가능성이 훨씬 높다 라고 할 수 있으므로 수사목적의 비디오촬영은 영장을 필요로 하는 강제수사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비디오테이프의 증거능력에 대한 문제는 비디오녹음부분과 영상부분으로 나누어서 비디오녹음부분은 녹음테이프의 일반이론을 적용하고, 비디오영상부분은 사진에 관한 일반이론을 적용하여 비디오테이프의 증거능력에 전문법칙이 적용될 수 있는지를 양자를 나누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사람의 대화나 진술이 녹음된 비디오테이프는 그 진술부분은 녹음테이프와 동일하므로 녹음테이프에 준하여 그 증거능력을 규명할 수 있다. 비디오녹음테이프는 비디오테이프의 성질에 따라 유형화 시킨 진술내용이 포함된 비디오테이프에 해당한다. 비디오영상테이프는 수록된 일부화면을 정지화면으로 사진화한 경우와, 진술이 전혀 없이 물건이나 현장을 찍은 경우로 나누어 살펴봐야 한다. 비디오테이프에 수록된 일부화면을 정지화면으로 사진화한 경우 현장사진에 관한 이론을 적용하면 된다. 즉, 비디오영상테이프를 사진화한 경우에도 형사소송법 제312조 제1항의 검증조서에 준하는 것으로 보아 촬영자가 공판정에 출석하여 그 성립의 진정함이 인정되는 경우에 한해 증거능력을 인정할 수 있다. 진술이 전혀 없이 물건이나 현장을 찍은 비디오영상테이프의 경우는 본질적으로 동적화면 의하여 그 상황이나 행동이 일정한 의미를 갖게 되어 진술로 환원할 수 있기 때문에 전문법칙이 적용된다 할 것이다. 현행 통신비밀보호법은 비밀녹음의 적법요건과 및 비밀녹음된 녹음테이프의 증거능력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으나, 동법은 사진이나 녹음테이프의 특성을 가진 비디오테이프에 대해 아무런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녹음테이프의 증거능력에 대해서도 통신비밀보호법이 모든 범주를 포괄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듯이 비디오테이프를 녹음부분과 영상부분을 나누어서 녹음테이프와 사진의 일반이론을 적용하여 비디오테이프의 증거능력을 어느 정도 규명할 수 있지만 이 또한 통신비밀보호법이 녹음테이프의 모든 범주를 포괄하지 못하듯이 동일한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통신비밀보호법이 녹음테이프의 모든 범주를 포괄하지 못하는 한계와 사진이나 비디오테이프에 대한 아무런 규정이 없기 때문에 이러한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서라도 형사소송법 및 통신비밀보호법의 개정을 통하여 전자매체기구에 관한 통합적으로 입법하여 새로운 증거의 증거능력에 관하여 해결함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Videotapes are evidence which is not expected by law and their admissibility of evidence is not expressly stipulated in the text of the current Criminal Procedure Code. Therefore the discussion about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should be investigated on the basis of both the academic circles and judicial precedents which consider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i.e. Unlike photography, videotape captures the situation of an object and its conversation and unlike sound recording tape, videotape can reproduce all the movement of the object, so we can recognize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in accordance with the video tape recording and the audio tape recording as photograph and sound recording tape. To examine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of videotapes, we have to sort out and look into possible examples. First, a theory of written statement is reasonable in the case we stop the picture and make it as a photograph although there is a conflict between a theory of written statement and a theory of evidence statement. Because a photograph, stopped picture should be considered under the whole video picture and it is possible that its recorder or editor retouched the videotape. Second, a theory of written statement is reasonable in case of a videotape taken with no statement. Even though there is no statement at all, essentially dynamic picture enables a situation or an action to have a certain meaning which can be transformed to a statement. Third, if the videotape includes a conversation or a statement, the recorded contents with the conversation or mention of a protocol inspection is practically the same as the document that has the statement as a substitute of a statement in a preparation or a court day. Even though there is a problem which is same in case of a sound recording tape related to general provision mentioning the Criminal Procedure Code with Article 313, Article 311, like an opinion of the majority it is reasonable to apply Article 311 or Article in accordance to general character of stater. A photograph or a videotape collected by an investigation agency or a private individual has an issue whether it can have an admissibility of evidence when it is collected against the law. Because evidence collected by hidden camera of investigation agencies has a serious illegality that violates a person's right of privacy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There is a conflict between a voluntary investigation and a investigation in case of video recording without an agreement with admissibility of evidence of illegally taken videotape. However, filming videotapes by investigation agency can infringe on basic rights like the right of publicity (the constitution, Article 10, Article 37 Clause 1), secret and freedom of private life (the constitution, Article 17), protection of telecommunicational security. And also, it can record both figure and action of objects unlike sound recording tape. Moreover, unlike photographs, it can record conversations or meanings of behavior and it can violate private rights. Therefore videotapes have much more of a chance to violate the fundamental human right so it is right to consider video recording for investigation to be a forced criminal investigation which needs a writ. And also, the issue about admissibility of evidence needs to be considered separately for sound recording with general theories of sound recording tape and picture recording with general theories of photograph to see if we can apply special rules. A statement included in a videotape can be examined in accordance with a sound recording tape because the statement, itself is the same as sound recording tape. Video sound recording tape is equivalent to the video tape having statements embodied by characters. Video picture recording tape should be examined in case of photograph-looking paused picture and film recording objects or the scene without any statement. In case when we get some paused pictures from the videotape, we can apply the theory about a scenery photo. With the Criminal Procedure Code, Article 312 Clause 1, we can recognize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only if the recorder stands up in court. In case of the video picture recording tape not having objects or a scene, essentially the objects or the scene has certain meanings with its moving pictures, so special rules can be applied. Current telecommunication security protection law prescribes the lawful condition of secret recording and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of a sound recording tape secretly recorded but this law does not have any rules about videotapes which contains characteristics of photo and sound recording tape. There is a limit that the telecommunication security protection law does not include all ranges about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of sound recording tape. Likewise, even though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of videotape can be examined by appliance of general theories of sound recording tape and photograph, the same problem happens. Since the telecommunication security protection law does not include all ranges and there is no rule about photo or videotape, we should solve this problem about new evidence and an admissibility of evidence by integrating legislation about a scientific instrument with an amendment to the Criminal Procedure Code and telecommunication security protection law.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5005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03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LAW(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