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8 0

일본어 조건표현에 관한 연구

Title
일본어 조건표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Conditional Expressions in Japanese
Author
엄홍경
Alternative Author(s)
Um, Hong-Kyoung
Advisor(s)
박순애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일본어의 조건 표현을 나타내는 형태, 「と」「たら」「ば」「なら」의 용법을 통해 기본 의미를 규정하고 그것을 토대로 하여 이들 간의 차이점을 밝히는데 있었다. 또한 이들「と」「たら」「ば」「なら」에 한국어가 어떻게 대응되는가를 알아보고, 이들 언어 간의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하나의 사태(전건의 사태)발생이 다른 사태의 발생(후건의 발생)에 관계할 때 이 두 사태(전-후건의 사태)가 나타내는 관계를 조건 표현이라고 정의하였다. 이러한 조건 표현의 정의를 기초로 하고 「と」「たら」「ば」「なら」의 용법을 살펴본 뒤 기본 의미를 규정하였다. 「と」의 기본 의미는 이미 존재하는 두 사태가 継 起関 係를 나타내며 독립적인 視点을 가지는 형태이다. 「たら」의 기본 의미는 전건의 사태가 완료․ 성립한 후 후건의 사태의 적극적인 継 係를 보증하는 형태이다. 「ば」의 기본 의미는 두 사태(전-후건의 사태)의 결합을 排他的․ 積極的으로 승인하는 형태이다. 「なら」의 기본 의미는 서술 내용으로서 통합된 전건 사태가 존재하는 것을 가정 하는 형태이다. 이러한 기본 의미를 가지는「と」「たら」「ば」「なら」는 같은 용법 영역에서 미묘한 차이를 나타내는데 그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と」와 「たら」,「と」와 「ば」,「たら」와 「なら」의 용법을 비교했는데, 이들의 차이를 나타내는 원인은 역시 「と」「たら」「ば」「なら」가 가지는 고유의 기본 의미에 기인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 일본어의 「と」「たら」「ば」「なら」에 한국어 가 어떻게 대응하는가를 고찰하였다. 일본어의 「と」「たら」「ば」「なら」가 나타내는 용법 중, 廣義의 継 起, 動機에는 「-자/-더니/고는」등으로 표현되며, 習慣 및 法則, 假定은 「-(으면)/-거든/-다면」등으로 표현되는 것이다. 전-후건의 사태가 事實인 경우에는 「-자/-더니/-는데」등으로 표현되고, 전건의 사태가 事實이나 非事實性인 경우에는 「-으(면)」등으로 표현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일본어의 「と」「たら」「ば」「なら」의 기본 의미의 차이는 한국어에서는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と」「たら」「ば」「なら」에 「-(으)면)」이 공통적으로 対 応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對應관계를 통하여 「-(으)면」의 기본 의미를 「대립하는 내용을 확실히 전제하고, 선택된 전건의 사태가 후건의 사태에 대해 중립적인 의미를 가지는」형태이라고 규정하였다. 「と」「たら」「ば」「なら」와 「-(으)면」의 공통된 영역은 仮 定用法인데, 이 용법을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하나는 「추론」의 가정이고, 또 하나는 「前件의 場面設定」의 假定이다. 「と」와 「ば」은 기본적으로 「추론」의 가정만을, 「たら」와「なら」는 「前件의 場面設定」의 假定을 표현한다. 반면에「-(으)면」은 「추론」가정과 「前件의 場面設定」의 仮 定 모두에 對應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define the basic meanings of 'to', 'tara', 'ba' and 'nara', which are the forms of the conditional expressions in Japanese, through their uses and to show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on the basis of the uses. Futhermore, this dissertation attempts to see which elements of Korean correspond to 'to', 'tara', 'ba' and 'nara',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nditional expressions in Korean and Japanese. The conditional expressions are defined as the relations between two events when the occurrence of an event (an event in subordinate clause) is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another event (an event in main clause). On the basis of the definition of the conditional expressions, the uses of 'to', 'tara', 'ba' and 'nara' are considered and the basic meanings of them are defined. The basic meaning of 'to' : two already existing events represent the relation of succession and have a pont of view respectively The basic meaning of 'tara' : after an event in subordinate clause is completed, the relation of succession between an event in subordinate clause and an event in main clause happens necessarily. The basic meanings of 'ba' : the connection of two events is approved explosively and positively. The basic meaning of 'nara' : it is supposed that an event in subordinate clause is in existence. 'To', 'tara', 'ba' and 'nara' with the above meanings show the delicate shades of meaning in the same domain of the uses. The uses of 'to' and 'tara', 'to' and 'ba', and, 'tara' and 'nara' are considered respectively. As a result, we come to know that their differences in meaning are due to their basic meanings. After that, it is observed which elements of Korean corresponds to 'to', 'tara', 'ba' and 'nara'. The 'succession in broad meaning' and 'motive' in the uses of 'to', 'tara', 'ba' and 'nara' are equivalent to '-ca/-teni/-konun’, and the habit, principle and hypothetic are corresponding to '-umyen/-ketun/-tamyen’. In case that an event in subordinate clause and in main clause are factive, '-ca/-teni/-nuntey‘ are used in Korean and that an event in subordinate clause and in main clause are factive or non-factive, '-umyen' is used in Korean. In the meantime, the differences in meaning between 'to', 'tara', 'ba' and 'nara' can not be shown in Korean, that is, '-umyen' is generally corresponding to 'to', 'tara', 'ba' and 'nara'. Using this relation between them, the basic meaning of '-umyen’ is defined as followings : it surely presupposes two opposing events and a chosen event in subordinate clause has neutral meaning regarding an event in main clause. The subjunctive uses are the common domain of 'to', 'tara', 'ba', 'nara' and -umyen, which is divided into two branches : one is the subjunctive uses for inference and the other is for scene settings. 'To' and 'ba' are used as the former, while 'nara' and 'tara' are used as the latter. On the contrary, 'umyen' is used all in two cases.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825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37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JAPANESE LANGUAGE & LITERATURE(일어일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