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0 0

소화기내시경실 간호사의 

Title
소화기내시경실 간호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Title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owerment and the Job Satisfaction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Nurses
Author
오주
Alternative Author(s)
Oh, Joo
Advisor(s)
조성현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and the job satisfaction of gastrointestinal nurses. The range of collected data includes 15 general and university hospitals which were located in Seoul and in Gyeonggi-do. Among those institution above 115 nurses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room are selected and given questionnaire of self-reporting. Their responses are collected from the 9th October 2006 to the 27th October for this research. Two methods used in this study is included empowerment designed by Chandler(1986) based on Kanter's 'Structural theory of empowerment in organization', job satisfaction amended to meet gastrointestinal endoscopy section's needs, designed by Soon-Sun Lee(1995) based on Slavit(1978) and the 3 others the 'index of work satisfaction'. The analysis was performed in t-test, one way ANOVA, pearson correlation's coefficient by using SPSS Win 12.0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st general feature of research object was their age: 53% of them are between 20-29, status: 54.8% are single and their education: 59.1% graduated from junior college. Regarding their nurse experiences, 29.6% are over 10 years. Regarding their experiences in gastrointestinal endoscopy, 28.7% are under 1 year and over 6 years. Regarding their position, 85.2%, which is the largest, are in general position, Regarding their payment by month, over 250,000WON, which is the largest,42.6%. Regarding their No. of nurse in gastrointestinal endoscopy section, 28.7% are between 1 and 9. Second, the level of empowerment was 3.43 on average and among substructure, support was in the highest level, opportunity and information followed by order. Third, the most influential factor were age, marrage, experience payment, the number of nurse in gastrointestinal endoscopy section for empowerment and support, experience and the number of nurse in gastrointestinal endoscopy section for opportunity and nurse experience, the number of nurse in gastrointestinal endoscopy section. Fourth,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empowerment and support were the highest(r=0.884, p<.001). empowerment and information(r=0.803, p<.001), empowerment and opportunity(r=0.763, p<.001),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r=0.763, p<.001) followed by order. Fifth, the higher the level of substructure of empowerment such as opportunity, information and support was, the higher job satisfaction became.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empowerment is remarkab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By promoting job satisfaction through empowerment in gastrointestinal endoscopy section, Efficiency of endoscopy nursing job will be improved.; 본 연구는 소화기내시경실 간호사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상관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서울ㆍ경기지역 소재 15개 종합병원의 소화기내시경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115명 이었다. 연구도구로 임파워먼트는 Kanter(1979)의 ‘조직의 임파워먼트 구조이론’을 근거하여 Chandler(1986)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직무만족도는 Slavit(1978)외 3인이 개발한 The index of Work Satisfaction을 이순선(1995)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소화기내시경실 실정에 맞게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6년 10월9일부터 10월27일까지 우편을 통해 설문지를 배포 회수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2.0을 이용하여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연령은 20-29세가 53.0%로 가장 많았고, 결혼여부는 미혼이 54.8%를 차지했으며, 종교는 기독교가 40.0%로 가장 많았다. 학력은 3년제 졸업간호사가 59.1%를 차지했으며, 간호사 경력은 10년 이상이 29.6%로 가장 많았고, 내시경실 경력은 1년 미만과 6년 이상이 각각 28.7%로 같게 나타났다. 직위의 경우 일반간호사가 85.2%로 가장 많았고, 월수입은 250만원 이상이 42.6%로 가장 많았고, 소화기내시경실 간호사 수는 1-9명이 28.7%로 나타났다. 둘째, 임파워먼트 수준은 평균 3.43을 보였고, 구조요인 중 지지가 가장 높았으며, 기회, 정보, 자원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임파워먼트의 구조요인 중 지지는 연령과 결혼 여부, 간호사 경력, 월수입, 소화기내시경실 간호사 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기회는 간호사 경력과 소화기내시경실 간호사 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직무만족도는 평균 3.20으로 구조요인 중 인간관계에 대한 만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근무조건에 대한 만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직무만족도에서는 연령, 간호사 경력, 소화기내시경실 간호사 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여섯째,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의 상관관계에서는 임파워먼트와 지지(r=0.884, p<.001)가 가장 높았고, 임파워먼트와 정보(r=0.803, p<.001), 임파워먼트와 기회(r=0.763, p<.001),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r=0.736, p<.001)의 순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변수들 사이에도 서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일곱째, 임파워먼트의 하부구조인 기회, 정보, 지지, 자원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 역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 하면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도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화기내시경실 간호사를 임파워 시켜 직무만족도를 높임으로써 내시경 간호업무의 효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겠다.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742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10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S](행정대학원) > DEPARTMEMT OF MEDICAL ADMINISTRATION(의료행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