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0 0

시청이전에 따른 상업지 업종분포변화특징에 관한 연구

Title
시청이전에 따른 상업지 업종분포변화특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Pattern's Distribution on the City Hall's Relocation : Focused on Jung-Gu in Busan
Author
김주완
Alternative Author(s)
Kim, Joo-Wan
Advisor(s)
이명훈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부산의 최대중심상업지인 중구상권이 점점 쇠퇴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중구상권 중에서도 광복동은 부산시가 2020년 도시기본 골격으로 설정한 1도심 5부도심 5지역중심에서 도심부분에 해당되는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1990년 이후 상권이 점차 쇠퇴하고 있다. 이는 1990년대 부산시청 및 주요관공서 이전으로 상업지내 수요를 창출하는 배후건물들이 사라지면서 유동인구가 감소한 것이 쇠퇴의 주원인이라고 보고 있다. 한편, 정부가 추진하는 공공기관 이전은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장기 전략이라는 관점에서 지역전략 산업과 공공기관의 기능적 특성을 위해 수도권 소재 공공기관 중 국가 균형발전법령에 의한 기준에 따라 약 180개 기관에 대해 이전 검토 중임에도 불구하고 기존에 형성된 상권 및 기성시가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질적인 검토가 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도시의 내부를 구성하고 있는 중심상업지를 대상으로 업종의 분포가 시계열적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보고자하며, 생태학적 측면에서 도시공간구조가 변화한다는 전제하에서 상업지내 수요를 창출하는 배후건물들이 이전함에 따라 업종의 종류별로 분포정도 및 업종간의 관계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연구의 공간적 범위를 1998년 부산시청이 이전함에 따라 주위 상업지가 쇠퇴하는 현상을 보이는 부산 중구상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시간적 범위 또한 1998년을 기준으로 1990년 이전, 1991~1998년, 1999년~2006년의 세 시기로 나누어 시행했다. 연구의 방법은 도시생태학적 방법론을 통하여 업종의 분포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첫째, 건축법상 용도별 건축물의 종류(법 제3조의4), 건축물관리 대장을 통하여 업종을 체계적으로 분류한 분석체계를 설정하고 연구 대상지내 업종을 분석체계에 따라 분포 현황을 시계열적으로 파악한다. 둘째, 각 시기마다 업종의 분포현황을 각 시기마다 실증적으로 비교 검토하기 위하여 도시생태학모형에서 업종의 군집형성원리에 사용되었던 모리시타 분산지수 모형식을 이용하여 대상지내 업종의 군집정도의 변화를 분석한다.; Jung-gu commercial area, the biggest central commercial on in Busan, tends to decrease gradually. Although Gwangbok-dong particularly among Jung-gu district belong to the central parts of 'one urban center, 5 sub-urban centers and 5 area centers in the year 2020' planned by Busan city government, its commercial power has gradually decreased since 1990. It is mainly because of decrease of flowing population due to disappearance of rear buildings creating demands in the area by the movement of Busan city hall and other main governmental departments in 1990s.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public organizations promoted by the national government for national competitiveness about 180 organizations presently located in the capital are being examined on movement for regional strategic industry and functional features of organizations in terms of long-term strategy. Nevertheless, it has not been practically examined how the project affects the existing commercial area and established downtown. This study takes the central commercial areas making up of the internal city to examine the changing process of business types by time-series. With the proposition that the urban space changes in terms of ecology, as moves the rear buildings creating demands within commercial area it analyzes the relation of distribution range and business type. Accordingly, the spatial scope of study is Jung-gu commercial area, Busan, in which the surrounding commercial location tends to decrease as Busan city hal moved out in 1998, and its scope of time is divided into 3 parts based on 1998: before 1990, between 1991 & 1998, and between 1999 & 2006. The methodology is the urban ecological one to survey the distribution status of business type. Firstly, the type of building by usage according to architecture law(4 of Article 3), through building management books it sets up the analysis system to classify the types systematically to grasp the distribution status by time-series with the analysis system. Secondly, to empirically examine the distribution status of business type by each period it analyzes the change of gathering within the collected area with Morisita diffusion coefficients modelling used for gathering forming principle of business in terms of urban ecological model.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666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15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DEPARTMENT OF URBAN ARCHITECTURAL DESIGN(도시건축설계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