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41 0

수중재활운동 중재 방법이 경직성 뇌성마비아의 기능적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Title
수중재활운동 중재 방법이 경직성 뇌성마비아의 기능적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in Interventions on Functional Movement in Paediatric with Spastic Cerebral Palsy
Author
정병국
Alternative Author(s)
Chung, Byoung-Koog
Advisor(s)
조근종
Issue Date
2007-0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뇌성마비아의 정상적 자세반응과 근육의 불균형으로 인한 정적선 자세 및 보행의 기능적 운동수행에 있어 수중재활운동의 효과를 규명하고 재활운동의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서 뇌성마비아중 경직성 양하지 마비 5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9주간, 주 2회씩, 1회 45분으로 수중재활운동을 실시하였다. 수중재활운동 처치 전과 처치 후 선 자세의 관절각 변인과 보행 시간,거리요인을 적외선 3D Motion Analysis system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운동방법은 한국수중재활운동연구소의 정병국에 의해 개발된 『BK's Aq-uatic Protocol for Paediatric with Spastic Cerebral Palsy 』방법을 적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1.5 vers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측정항목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운동 전·후의 차이는 paired t-test로 검증 하였다. 본 연구의 운동효과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 1~5의 보행주기에 따른 항목별 결과 1) 체간경부 굴곡각 변화 체간 경부의 굴곡각도는 수중재활운동 처치 전 24.79±17.55(deg)에서 재활 운동 처치 후 16.34±12.0(deg)으로 경부 굴곡각도가 작게 나타나 운동 후 경부각이 신전되어 향상된 결과를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 연구 대상자 1~5의 흉요부 굴곡각 변화. 흉요부의 굴곡각도는 수중재활운동 처치 전 16.98±13.44(deg)에서 재활운동 처치 후 10.02±6.95(deg)로 굴곡각도가 작게 나타나 운동 후 흉요부각이 신전되어 향상된 결과를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3) 연구 대상자 1~5의 우측 상완 굴곡/ 신전각 변화. 우측 상완 굴곡각도는 수중재활운동 처치 전 26.97±22.29(deg)에서 재활운동 처치 후 21.71±13.88(deg)로 굴곡각도가 작게 나타나 운동 후 우측 상완각이 신전되어 향상된 결과를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4) 연구 대상자 1~5의 좌측 상완 굴곡/ 신전각 변화. 좌측 상완 굴곡각도는 수중재활운동 처치 전 24.36±18.83(deg)에서 재활운동 처치 후 12.61±12.01(deg)로 굴곡각도가 작게 나타나 운동 후 좌측 상완각이 신전되어 향상된 결과를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5) 연구 대상자 1~5의 우측 상완 내전각 변화. 수중재활운동 처치 전 27.66±7.17(deg)에서 재활운동 처치 후 17.32±4.92(deg)로 외전각도가 작게 나타나 운동 후 우측 상완각이 내전되어 향상된 결과를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6) 연구 대상자 1~5의 좌측 상완 내전각 변화. 수중재활운동 처치 전 29.19±18.59(deg)에서 재활운동 처치 후 23.82±11.63(deg)로 외전각도가 작게 나타나 운동 후 좌측 상완각이 내전되어 향상된 결과를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7) 연구 대상자 1~5의 우측 주관절 굴곡각 변화. 주관절 굴곡각도는 수중재활운동 처치 전 123.31±48.26(deg)에서 재활운동 처치 후 153.87±17.35(deg)로 굴곡각도가 크게 나타나 운동 후 우측 주 관절각이 신전되어 향상된 결과를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8) 연구 대상자 1~5의 좌측 주관절 굴곡각 변화. 수중재활운동 처치 전 116±43.71(deg)에서 재활운동 처치 후 143±12.68(deg)로 굴곡각도가 크게 나타나 운동 후 좌측 주관절각이 신전되어 향상된 결과를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9) 연구 대상자 1~5의 우측 고관절 굴곡각 변화. 수중재활운동 처치 전 147.15±19.63(deg)에서 재활운동 처치 후 155.52±12.26(deg)로 우측 굴곡각도가 크게 나타나 운동 후 우측 고관절각이 신전되어 향상된 결과를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10) 연구 대상자 1~5의 좌측 고관절 굴곡각 변화 수중재활운동 처치 전 147.95±18.33(deg)에서 재활운동 처치 후 157.17±9.35(deg)로 좌측 굴곡각도가 크게 나타나 운동 후 좌측 고관절각이 신전되어 향상된 결과를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11) 연구 대상자 1~5의 우측 슬관절 굴곡각 변화. 수중재활운동 처치 전 우측 슬관절각은 156.09±3.31(deg)에서 재활운동 처치 후 158.54±6.56(deg)로 굴곡각도가 크게 나타나 운동 후 우측 슬관절각이 신전되어 향상된 결과를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12) 연구 대상자 1~5의 좌측 슬관절 굴곡각 변화. 수중재활운동 처치 전 좌측 슬관절각은 156.90±5.89(deg)에서 재활운동 처치 후 160.45±5.5(deg)로 굴곡각도가 크게 나타나 운동 후 좌측 슬관절각이 신전되어 향상된 결과를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13) 연구 대상자 1~5의 우측 족관절 굴곡각 변화. 수중재활운동 처치 전 우측 족관절각은 88.82±7.89(deg)에서 재활운동 처치 후 95.97±7.18(deg)로 굴곡각도가 크게 나타나 우측 족관절이 신전되어 신체정렬과 족관절 동작을 위한 준비자세가 향상된 결과를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14) 연구 대상자 1~5의 좌측 족관절 굴곡각 변화. 수중재활운동 처치 전 좌측 족관절각은 95.52±6.06(deg)에서 재활운동 처치 후 102.06±11.07(deg)로 굴곡각도가 크게 나타나 좌측 족관절이 신전되어 신체정렬과 족관절 동작을 위한 준비자세가 향상된 결과를 나타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 연구 대상자 1 5의 보행주기에 따른 항목별 결과 1) 연구 대상자 1 5의 우측 발 입각기 국면의 시간변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수중재활운동 처치 전 우측발의 입각기 유지시간은 368.2±477.41(frame)에서 재활운동 처치 후 302.8±412(frame)로 감소되어 나타냈다. 이는 운동 후 좌측 발의 입각기 시간과 상관하여 좌측 발과 비슷한 시간을 나타낸 것으로 보아 보행 중 좌, 우측 발의 체중 지지시간이 균등하게 향상된 결과를 의미 한다. 2) 연구 대상자 1 5의 좌측 발 입각기 국면의 시간변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수중재활운동 처치 전 좌측발의 입각기 시간은 277.4±308.8(frame)에서 재활운동 처치 후 336.2±526(frame)로 증가하여 나타냈다. 이는 운동 후 우측 발의 입각기 시간과 상관하여 우측 발과 비슷한 시간을 나타낸 것으로 보아 보행 중 좌,우측 발의 체중 지지시간이 균등하게 향상된 결과를 의미 한다. 3) 연구 대상자 1 5의 우측 발 유각기 국면의 시간변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수중재활운동 처치 전 우측 발의 유각기 시간은 64.0±46.1(frame)에서 재활운동 처치 후 54.2±33.4(frame)로 감소하여 나타냈다. 이는 상대적으로 좌측 발의 유각기 시간이 단축되면서 대칭적인 보행 시간을 이루려는 것으로 사료된다. 4) 연구 대상자 1 5의 좌측 발 유각기 국면의 시간 변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수중재활운동 처치 전 좌측 발의 유각기 시간은 55.6±33.7(frame)에서 재활운동 처치 후 80.6±30.0(frame)으로 증가하여 나타냈다. 이는 우측 발의 지지 시간이 운동 처치 전 보다 향상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 된다. 5) 연구 대상자 1 5의 우측 발 보폭 변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수중재활운동 처치 전 우측 발의 보폭은 244.4±270.6(mm)에서 재활운동 처치 후 326.8±311.0(mm)로 증가하여 나타냈다. 이는 좌측 발의 보폭과 비슷하게 내딛을 수 있게 된 것을 의미한다. 6) 연구 대상자 1 5의 좌측 발 보폭 변화. 수중재활운동 처치 전 좌측 발의 보폭은 99.68±140.6(mm)에서 재활운동 처치 후 381.45±294 .2(mm)로 증가하여 나타냈다. 이는 운동처치 전 좌측 발의 체중 지지능력이 낮은 상태에서 운동 후 우측 발의 체중 지지능력이 많이 향상된 것을 의미한다. 통계적으로도 p<0.05 유의수준에서 차이가 나타냈다. 7) 연구 대상자 1 5의 우측 발끝 높이의 변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수중재활운동 처치 전 우측 발끝의 높이는 40.54±31.98(mm)에서 재활운동 처치 후 41.12±27.58(mm)로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8) 연구 대상자 1 5의 좌측 발끝 높이의 변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수중재활운동 처치 전 우측 발끝의 높이는 42.02±28.14(mm)에서 재활운동 처치 후 88.02±68.35(mm)로 많은 증가를 나타냈다. 이는 체중 지지도가 낮았던 우측 발의 체중지지에서의 향상을 의미 한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보면 경직성 뇌성마비에 대한 수중재활운동 중재 방법이 선 자세에서의 경부, 체간, 상지, 하지의 각 관절에 대한 관절각 변화와 보행 시의 시간 및 거리요인에 대한 변화에 있어 향상 된 결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좌측 발 보폭의 거리변화를 제외한 나머지 측정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은 연구 대상자 사례수가 적은 것과 같은 유형의 장애라 하더라도 개인의 편차가 큼으로 인하여 나타난 통계적 결과라 사료된다.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각 대상자별 측정 항목에서는 운동 처치 전, 후 비교결과, 수중재활운동 처치 후 향상을 나타낸바, 뇌성마비의 기능적 움직임을 향상시키는데 있어 수중재활운동이 보조적인 수단이라는 편견을 제고하고 적극적으로 수중에서의 장애유형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재활운동에 적용한다면 뇌성마비아의 기능적 운동능력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on the static standing posture and walking exercise. The writer chose 5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for this study(hemiplegia-1person and diplegia-4 person) and they perfor-med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for 9weeks, 2times a week for 45 minutes a time. I measured change of standing posture and gait duration and step length of the children before and after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by using an infrared 3D Motion Analysis system. For exercise method, I applied the『BK's Aquatic Protocol for Paediatric with Spasticity Cerebral Palsy』developed by Byung-Kook Chung.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each test item was calculated by a SPSS 11.5 version program and th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was checked by a paire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1. The result of each item according to the Standing posture from Subject 1~5. 1) Cervical spines flexion angle from Subject 1~5. The cervical spines flexion angle was 16.34±12.0(deg) after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which is smaller than 24.79±17.55 (deg) before exercis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tatistics. 2) Thoracic & lumber spine flexion angle change from Subject 1~5. The thoracic & lumber spine flexion angle change was 10.02±6.95 (deg)after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which is smaller than 16.98±13.44(deg) before exercis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tatistics. 3) Right humerus flexion/ extension angle change from Subject 1~5. Right humerus flexion/ extension angle was 21.71±13.88(deg) after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which is smaller than 26.97±22.29(deg) before exercis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tatistics. 4) Left humerus flexion/ extension angle change from Subject 1~5. Left humerus flexion/ extension angle was 12.61±12.01(deg) after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which is smaller than 24.36±18.83(deg)before exercis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tatistics. 5) Right humerus abduction angle change from Subject 1~5. Right humerus abduction angle was 17.32±4.92(deg) after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which is smaller than 27.66±7.17(deg) before exercis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tatistics. 6) Left humerus abduction angle change from Subject 1~5. Left humerus abduction angle was 23.82±11.63(deg) after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which is smaller than 29.19±18.59(deg) before exercis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tatistics. 7) Right elbow flexion angle change from Subject 1~5. Right elbow flexion angle was 153.87±17.35(deg) after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which is larger than 123.31±48.26(deg) before exercis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tatistics. 8) Left elbow flexion angle change from Subject 1~5. Left elbow flexion angle was 143±12.68(deg) after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which is larger than 116±43.71(deg) before exercis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tatistics. 9) Right hip joint flexion angle change from Subject 1~5. Right hip joint flexion angle was 155.52±12.26(deg) after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which is larger than 147.15±19.63 (deg) before exercis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tatistics. 10) Left hip joint flexion angle change from Subject 1~5. Left hip joint flexion angle was 157.17±9.35(deg) after aquaticrehabilitation exercise, which is larger than 147.95±18.33(deg) before exercis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tatistics. 11) Right knee joint flexion angle change from Subject 1~5. Right knee joint flexion angle was 158.54±6.56(deg) after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which is larger than 156.09±3.31 (deg) before exercis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tatistics. 13) Left knee joint flexion angle change from Subject 1~5. Left knee joint flexion angle was 160.45±5.5(deg) after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which is larger than 156.90±5.89(deg) before exercis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tatistics. 13) Right ankle joint flexion angle change from Subject 1~5. Right ankle joint flexion angle was 95.97±7.18(deg) after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which is larger than 88.82±7.89 (deg) before exercis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tatistics. 14) Left ankle joint flexion angle change from Subject 1~5. Left ankle joint flexion angle was 102.06±11.07(deg) after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which is larger than 95.52±6.06(deg) before exercis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tatistics. 2. The result of each item according to Gaiting from Subject 1~5. 1) Right foot stance phase duration change from Subject 1~5. Right foot stance phase duration was 302.8±412(frame) after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which is smaller than 368.2±477.41 (frame)before exercis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tatistics. 2) Left foot stance phase duration change from Subject 1~5. Left foot stance phase duration was 336.2±526(frame) after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which is larger than 277.4±308.8 (frame)before exercis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tatistics. 3) Right foot swing phase duration change from Subject 1~5. Right foot swing phase duration was 54.2±33.4(frame) after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which is smaller than 64.0±46.1 (frame)before exercis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tatistics. 4) Left foot swing phase duration change from Subject 1~5. Left foot swing phase duration was 80.6±30.0(frame) after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which is larger than 55.6±33.7 (frame) before exercis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tatistics. 5) Right foot step length change from Subject 1~5. Right foot step length was 326.8±311.0(mm) after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which is larger than 244.4±270.6(mm) before exercis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tatistics. 6) Left foot step length change from Subject 1~5. Left foot step length was 381.45±294.2(mm) after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which is larger than 99.68±140.6(mm) before exercise. Statistically, the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 test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was p<0.05 7) Height change for right toe from Subject 1~5. Height change for right toe was 41.12±27.58(mm) after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which is larger than 40.54±31.98(mm) before exercis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tatistics. 8) Height change for left toe from Subject 1~5. Height change for right toe was 88.02±68.35(mm) after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which is larger than 42.02±28.14(mm) before exercis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tatistics. From the above results, the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method had an effect on static standing posture, gait duration and step length by improving cervix righting reaction, trunk muscle strength and low limbs muscle strength. In other words, I consider that the appropriate water temperature and buoyancy helped the body to improve exercise performance ability by helping righting reaction, equilibrium reaction and gait ability. I believe that this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will help th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o rehabilitate by improving their exercise performance ability if we actively apply this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instead of being skeptical about this exercise.
URI
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467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40612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PHYSICAL EDUCATION(체육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