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8 0

초기업무관계에서의 구성원의 신뢰형성과 직무행동에 관한 연구

Title
초기업무관계에서의 구성원의 신뢰형성과 직무행동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mployee`s trust formation and job behavior in initial work relationships
Author
심원술
Issue Date
2004-06
Publisher
한국인력개발학회
Citation
HRD연구, v. 6, No. 1, Page. 71-103
Abstract
본 연구는 기업조직에서 구성원들이 상대의 특성이나 정보를 충분히 얻을 수 없는 짧은 기간 내에 높은 협력이나 업무성과를 위해 업무를 수행하는 구성원간의 관계인 초기업무관계에서의 신뢰 형성과, 그렇게 형성된 신뢰가 직무행동으로써 협력 및 정보공유와 감시 및 방어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초기업무관계에서 신뢰를 유인하는 선행요인들과 직무행동 사이에서 신뢰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신뢰의 선행요인으로는 신뢰객체특성으로 평한(전문적 자격), 관계적 특성으로는 미래 기대이익 그리고 제도적 특성으로는 상황적 정상성과 구조적 보장성을 고려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먼저 평판(전문적 자격)과 미래 기대이익 그리고 상황적 정상성과 구조적 보장성이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신뢰와 신뢰행동과의 관계에서 신뢰가 상호간의 협력 및 정보공유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지지된 반면 감시 및 방어적 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은 지지되지 않았다. 세 번째로 협력 및 정보공유와 감시 및 방어적 행동에 대한 평판(전문적 자격)과 미래 기대이익, 그리고 상황적 정상성과 구조적 보장성의 직접적인 효과성을 분석한 결과 제도적 특성을 제외한 평판(전문적 자격과 미래 기대이익이 협력 및 정보공유 행동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평판(전문적 자격)과 미래 기대이익 그리고 상황적 정상성과 구조적 보장성은 감시 및 방어적 행동을 감소시킬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평판(전문적 자격)과 제도적 특성은 부정적인 관계를 보여주지 못하였고, 미래 기대이익은 오히려 긍정적인 관계를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신뢰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형성된 신뢰는 평판(전문적 자격), 미래 기대이익과 협력 및 정보 공유 행동과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based on importance of trust formation in initial work relationship. Process for swift trust formation in initial work relationship explains that antecedents of trust help to make swift trust and formed trust assists job behaviors. To examine this study, variables are selected reputation(professional credentials) as trustee's characteristic, future expectation benefit as relational characteristic and situational normality and structural assurance as institutional characteristic for trust formation and cooperation & information sharing and monitoring & defensive behavior as job behavior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n these variables' relationship is test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putation(professional credentials), future expectation benefit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 had positive effects on trust formation in initial work relationship. Second, trust had positive effects on cooper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but trust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monitoring & defensive behavior in relationship of trust & job behaviors. Third, reputation(professional credential) and future expectation benefit had positive effects on cooperation & information sharing. And trust's antecedents had negative effects on monitoring & defensive behavior in hypothesis, but reputation(professional credential)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 were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and future expectation benefit was positive effects on them. Lastly, formed trust perfectly mediate reputation(professional credential) and future expectation benefit between cooperation & information sharing as a result of trust's intervening effect analysi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are able to find several suggestions. First, high trust level is possible in initial work relationship, although interaction is not in interpersonal relations for a long time interaction. Second, Trust promote positive factor like cooperation & information sharing but not related negative factor like monitoring & defensive behavior in organization. These findings are mean high trust level formation in initial work relationship and trust is more promote positive factors in organization.
URI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2425548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49397
ISSN
1229-5086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BUSINESS AND ECONOMICS[E](경상대학) > BUSINESS ADMINISTRATION(경영학부)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